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식당업계 살모넬라 주의보…타운 인근 업소 감염자 발생

최근 콘보이 한인타운에 인접한 유명 지중해식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한 고객 수십 명이 살모넬라균에 감염되거나 감염이 의심돼 카운티 보건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카운티 보건국에 따르면 클레어몬트 블러바드 5400블록에 소재한 '알라딘 지중해식 카페(Aladdin Mediterranean Cafe)'에서 지난 4월25일부터 5월1일 사이 식사를 한 고객 37명이 살모넬라균에 감염될 경우 나타나는 '살모넬라증(Salmonellosis)' 증세를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감염자의 연령대는 생후 1세부터 90세까지 다양하며, 이 중 9명은 입원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중증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 당국이 역학 조사를 진행중이지만 아직 정확한 감염 원인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살모넬라증의 주요 증상은 구토, 혈액이나 점액이 섞인 설사, 복통, 발열 등이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오염된 음식을 섭취한 후 12시간에서 72시간 사이에 나타나며 대개 4일에서 7일간 증상이 지속된다.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되지만, 입원 치료가 필요할 경우도 있다.   보건국은 4월 25일부터 5월 1일 사이 알라딘 지중해식 카페에서 식사를 한 후 위와 같은 증상을 겪은 사람은 반드시 의료 기관에 연락해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했다.식당업계 살모넬라 식당업계 살모넬라 감염자 발생 타운 인근

2025.05.13. 21:19

썸네일

‘커클랜드’ 유기농 달걀 리콜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조지아주에서 유통된 ‘커클랜드 시그니처’ 브랜드의 유기농 달걀에 대해 살모넬라균 감염 가능성으로 리콜 조치가 취해졌다.      식품의약국(FDA)은 ‘핸섬 브룩 팜스(Handsome Brook Farms)’ 사가 코스트코의 자체 브랜드 ‘커클랜드 시그니처’ 브랜드 이름으로 판매한 유기농 목초지 사육 달걀(한 판에 24개)을 살모넬라균 감염 가능성으로 자발적으로 리콜한다고 27일 밝혔다.   이 제품은 지난 22일부터 앨라배마, 조지아,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테네시 주에 있는 코스트코 매장 25곳에 공급됐다. 리콜되는 제품의 번호는 UPC 9661910680이며, 상단에 ‘커클랜드 시그니처’ 라벨이 붙은 플라스틱 상자에 포장돼 있다. 이번 리콜은 사용 기한이 2025년 1월 5일까지라고 표시돼 있는 것만 포함된다.     리콜에 해당하는 달걀을 산 소비자는 인근 코스트코 매장에 가서 전액 환불을 받거나 제품을 폐기해야 한다. 윤지아 기자코스트코 살모넬라 코스트코 달걀 살모넬라균 감염 감염 가능성

2024.11.29. 14:59

썸네일

살모넬라 오염 계란 리콜

 위스콘신주 보건 당국은 주내 농장에서 생산돼 판매된 계란의 일부가 살모넬라균에 오염돼 콜로라도를 포함한 9개주에서 수십명의 감염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이 계란을 리콜 조치했다고 밝혔다.덴버 포스트 등의 보도에 따르면, 위스칸신 주보건국은 최근 발표한 성명을 통해 살모넬라균에 감염된 계란을 섭취후 식중독 등의 증상을 보인 주민이 위스칸신주에만 42명에 달한다고 전했다. 위스칸신 주보건국은 “계란은 소매점과 식품 서비스업체를 통해 유통됐다. 이번 리콜에는 기존의 케이지 프리, 유기농, 비GMO 계란, 상자 크기, 유통기한이 포함된 모든 계란 유형이 포함되며, ‘Milo’s Poultry Farms’ 또는 ‘Tony’s Fresh Market’이라는 상표가 붙은 용기에 담겨 있다”고 덧붙였다. 계란 리콜은 위스칸신주 본듀얼 타운 소재 Milo’s Poultry Farms LLC에서 실시했다. 이와 관련,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웹사이트에서 “위스칸신, 일리노이, 미시간, 미네소타, 아이오와, 버지니아, 콜로라도, 유타, 캘리포니아 등 9개주에서 총 65명이 오염된 계란을 먹은 후 살모넬라균에 감염됐으며 지난 6일까지 24명이 입원했고 사망자는 없다”고 밝혔다. CDC에 따르면, 콜로라도에서는 지금까지 1건의 감염사례가 보고됐다. CDC와 위스칸신 주보건국에 따르면, 리콜된 계란을 구매한 사람은 먹거나 요리하지 말고 버리는 것이 좋으며 식당들은 리콜된 계란을 판매하거나 제공해서는 안된다. 또한 오염된 계란을 먹고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은 누구나 의료 서비스 제공자에게 연락하라고 권고했다. 살모넬라균에 감염되면 설사, 복통, 발열, 며칠 동안 지속되는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CDC는 미국에서는 살모넬라균 감염 사례가 매년 평균 135만건에 달하고 대부분이 음식을 통해 발생하며 약 420명이 사망한다고 추정한다. 농무부는 매년 닭고기에서 12만5천건, 칠면조에서 4만3천건의 감염이 발생한다고 추정하고 있다.     김경진 기자살모넬라 오염 계란 리콜 살모넬라 오염 살모넬라균 감염

2024.09.17. 16:49

썸네일

텍사스서 살모넬라 오염 캔탈로프 리콜

 텍사스 주내 수십개의 월마트 매장에서 판매된 과일 캔탈로프가 살모넬라균에 오염됐을 가능성이 높음에 따라 리콜조치됐다고 9일 달라스 모닝 뉴스가 보도했다. 월마트는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애리조나 소재 이글 프로듀스 LLC에서 생산된 캔탈로프를 텍사스 주내 수십개 매장에서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리콜 조치 대상 월마트 매장들은 대부분은 댈러스 포트워스 서버브에 있지만 힐즈보로와 건 배럴시티에 있는 매장과 같이 북부 텍사스 지역에 있는 매장도 있다. 리콜 조치 대상인 월마트 매장 리스트는 웹사이트를 참조하면 된다. 웹사이트 주소→https://corporate.walmart.com/content/dam/corporate/documents/recalls/2024/09/Kandy-Cantaloupe-Store-List.pdf 이글 프로듀스는 지난 6일 캔탈로프 리콜 조치를 발표했다. 관련 정보는 연방식품의약국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웹사이트 주소→https://www.fda.gov/safety/recalls-market-withdrawals-safety-alerts 이번 캔탈로프 살모넬라균 오염은 미시간주에서 일상적인 샘플 테스트 중에 발견됐다. 살모넬라균은 어린이, 허약한 노인, 면역체계가 약화된 사람에게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건강한 사람도 발열, 메스꺼움, 구토, 설사 및 복통을 경험할 수 있다. UPC 번호 코드 4050과 로트(lot) 코드 846468이 있는 ‘Kandy’라고 적힌 빨간색과 흰색 스티커가 붙은 해당 캔탈로프를 구입한 주민들은 먹지말고 즉각 폐기할 것이 권장된다. 8월 13일에서 17일 사이에 유통된 캔탈로프가 리콜 조치된 주는 텍사스 외에 미시간, 미조리, 오하이오, 버지니아 등이다. 한편, 월마트는 지난 주에도 잠재적으로 유해한 수준의 무기 비소(inorganic arsenic)를 함유한 사과 주스에 대한 자발적인 리콜을 확대한 바 있다. 월마트 자체 브랜드인 그레이트 밸류 브랜드 주스(8온스와 64온스 크기)의 리콜은 초기 약 1만건에서 9월 6일에는 13만3,500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그러나 텍사스 주내 월마트 매장은 이 리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리프레스코 음료(Refresco Beverages) US Inc.의 다른 브랜드 사과 주스도 리콜 조치됐는데 해당 브랜드의 전체 목록은 웹사이트(https://www.accessdata.fda.gov/scripts/ires/index.cfm?Product=20983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손혜성 기자  살모넬라 텍사스 월마트 매장들 살모넬라균 오염 리콜 조치

2024.09.16. 7:30

썸네일

살모넬라균 오염 오이로 조지아서 8명 피해 '비상'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으로 5월 31일 리콜된 오이로 인해 조지아주에서 최소 8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다.   5일 CDC(질병통제예방센터) 발표에 따르면 워싱턴 D.C.와 전국 25개 주에서 162명이 살모넬라 오이로 인한 증상을 겪었으며, 이 중 54명이 병원에 입원했다. 아직 사망자는 없었으며, CDC는 조사를 계속하고 있다.   조지아에서는 5일 현재 기준 8명의 피해자가 파악됐다. 지금까지 피해자는 주로 동부지역에 집중돼 있다.   문제가 된 오이는 플로리다주에서 재배돼 ‘프레시 스타트 프로듀스 세일스’라는 회사를 통해 14개 주에서 대량으로 판매됐다. CDC는 이외에도 다른 주로 배송되거나 매장용으로 재포장됐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리콜 조치가 내려진 이 오이는 짙은 녹색의 오이로, 미니오이 또는 잉글리시오이는 포함되지 않았다. 최근에 오이를 샀다면 구입 매장에 문의하여 리콜 대상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만약 확인할 수 없다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리콜된 오이와 닿은 표면은 뜨거운 비눗물이나 식기세척기를 사용해 세척해야 한다.   살모넬라균에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은 설사, 발열, 위경련 등의 증상을 호소한다. 일반적으로 박테리아를 삼킨 후 6시간에서 6일 사이에 증상이 시작되며, 대부분 특별한 치료를 받지 않아도 4~7일 후에 회복된다. 그러나 5세 미만 어린이, 65세 이상 성인, 면역체계가 약한 사람들은 입원이 필요하거나 심각한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윤지아 기자살모넬라 조지아 살모넬라 오이 살모넬라균 오염 프레시 스타트

2024.06.06. 15:31

썸네일

살모넬라균 오염…10개주 멜론 리콜

가주 포함 10개 주에서 유통된 멜론이 식중독 위험에 리콜됐다.     8일 연방식품의약국(FDA)에 따르면, 과일 및 채소 판매회사 소피아 프로듀스는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으로 10월 16~23일에 판 ‘말리치타(Malichita)’ 라벨(사진)이 붙은 멜론을 리콜했다.     리콜 대상은 가주, 애리조나, 플로리다, 일리노이, 메릴랜드, 미시간, 뉴저지, 테네시, 텍사스, 위스콘신주에서 유통됐다. 하지만 다른 주에서도 유통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FDA는 덧붙였다.     살모넬라균에 감염되면 고열, 위경련, 심한 설사와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인다. 건강한 성인은 4~7일 지나면 회복되지만, 노약자.어린이·면역력이 낮은 환자 등은 심하면 목숨을 잃을 수 있다.     FDA는 해당 제품을 즉시 폐기하거나 구매한 매장에서 환불받으라고 권고했다. 더 자세한 정보는 판매 업체에 전화(520- 394-7370)로 문의하면 된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살모넬라 가능성 멜론 살모넬라 채소 판매회사 회수 조치

2023.11.13. 19:14

썸네일

[로컬 단신 브리핑] 살라미 스틱 살모넬라 비상 외

▶ 일리노이 등 8개 주 '살라미 스틱' 살모넬라균 비상     일리노이를 비롯 모두 8개 주에서 '살라미 스틱'(Salami Stick) 살모넬라균 감염 사태가 발생했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 22일까지 총 20명의 살모넬라균 식중독 환자가 보고됐고 일리노이 주 환자 2명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식중독 환자들은 모두 '트레이더 조스'(Trader Joe's)를 비롯한 식료품점에서 판매된 '시테리오'(Citterio) 브랜드 '프리미엄 이탈리안 스타일 살라미 스틱'을 먹었거나 갖고 있었다.     살라미 스틱 살모넬라균 감염은 일리노이를 비롯 캘리포니아, 캔자스, 미시간, 미네소타, 뉴저지, 뉴욕, 버지니아 주 등 총 8개 주에서 확인됐다.     당국은 정확한 살모넬라균 매개 식품을 파악 중이며 해당 살라미 스틱 제품은 일단 버릴 것을 권고했다.     살모넬라균은 식중독의 주요 원인으로, 오염된 식품 섭취시 12-72시간 내에 설사•고열•위경련•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 감염 후 4~7일이 지나면 회복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폭우와 강풍으로 미시간호변 홍수주의보     25일까지 이틀간 시카고를 덮친 폭우와 강한 바람으로 인해 미시간호변에 홍수주의보가 발령됐다.     시카고 시는 지난 24일과 25일 홍수주의보와 함께 12~16피트 높이의 파도를 예보하면서 미시간호변 '레이크프론트 트레일'(Lakefront Trail)을 폐쇄 조치했다.     이틀간 시카고 일원엔 3~4인치의 강수량과 최대 풍속 시속 48마일의 강풍이 불면서 크고 작은 피해가 잇따랐다.     전력공급업체 '컴에드'(ComEd)에 따르면 쿡 카운티서만 약 2만 가구가 정전 피해를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립기상청에 따르면 시카고 일원은 28일, 29일 다시 비가 내린 후 '할로윈'(Halloween) 주말은 맑은 날씨가 예보됐다.        ▶시카고 시의회, 27일 내년 예산안 전체 투표       시카고 시의회가 최근 예산위원회를 통과한 로리 라이트풋 시카고 시장의 167억 달러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을 27일 전체 회의서 투표한다.     라이트풋 시장의 예산안에 대해 시의원들 간의 의견이 엇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시의원들은 정신 건강 클리닉에 대한 예산 증대를 요구했고 라이트풋 시장은 이를 위해 630만 달러를 예산을 투입하고 29명의 신규 직원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시카고 시 예산안에는 연방정부의 '아메리칸 레스큐 플랜'(American Rescue Plan)을 통한 지원금 20억 달러를 관리하는 위원회의 구성과 함께 기본 소득 프로그램(Universal Basic Income Program) 제도를 도입, 저소득층 5000가정에 매달 500달러씩 제공하는 예산 3200만 달러가 포함되어 있다.     니콜라스 스포사토 시의원(38지구)은 "이웃을 돕는 것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기며 살아왔다"면서도 "하지만 아무런 조건 없이 3000만 달러 이상을 그냥 뿌린다는 것은 정말 말이 안 되는 일"이라고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실바나 타바레스 시의원(23지구)도 늘어난 시카고  시의 지출은 결국 주민들의 높은 세금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신고 받고도 안 온 경찰… 총격 사건 5명 사상     시카고 북부 위커파크의 한 클럽 앞에서 일어난 총격 사건과 관련, 경찰의 늑장 대응과 무능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밀워키 애비뉴에 위치한 '더 포인트' 클럽의 대표는 "지난 10일 오전 3시경 거리가 소란해지고 난폭해져 경찰에 신고했다. 하지만 경찰은 오지 않았고, 오전 3시30분경 다시 신고했지만, 끝내 경찰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결국 두번째 신고 10분 후 총격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1명이 사망하고, 4명이 부상했다.     업소측은 "경찰이 출동했다면 충분히 방지할 수도 있었던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총격 발생 3분 후 현장에 도착한 경찰은 "인력이 부족해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주말 시카고 시에서는 총격 사건으로 최소 29명이 부상하고 3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Kevin Rho 기자로컬 단신 브리핑 살모넬라 살라미 살라미 스틱 살모넬라균 식중독 살모넬라균 감염

2021.10.26. 17:20

썸네일

트레이더 조 '살라미 스틱' 살모넬라 오염

살모넬라에 오염된 식품이나 채소가 잇달아 보고되어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연방 보건당국은 23일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가공 육류제품 섭취로 전국 8개주에서 최소 20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발표했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시테리오 브랜드(Citterio-brand)의 프리미엄 이탈리안 스타일 살라미 스틱(Salame sticks)을 소비자나 사업체는 섭취, 또는 판매 및 제공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이 제품은 트레이더 조(Trader Joe's) 수퍼마켓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일부 다른 마켓에서도 판매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제품으로 인해 몸에 이상이 생긴 소비자는 가주를 포함해 일리노이, 뉴욕, 뉴저지 등 전국 8개주에 걸쳐 최소 20명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보건당국은 해당 제품이 집에 있으면 즉시 폐기하고 이를 담았던 용기는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보건당국은 현재 다른 식품류도 오염됐는지 관련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몇 일 전에도 수입 양파가 살모넬라균에 오염돼 전국 37개주에서 600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한 바 있다.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할 경우 고열이나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사망에까지 이른다. 미국에서는 매년 약 10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이 가운데 수백 명이 목숨을 잃는다. 김병일 기자트레이더 살모넬라 살라미 스틱 가공 육류제품 프리미엄 이탈리안

2021.10.23. 17:07

썸네일

살모넬라 양파 식중독 주의보, 생산지 모르면 폐기 권고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양파로 인한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0일 조지아주를 포함한 34개 주에서 살모넬라 양파로 인한 식중독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오염된 양파는 수입 원산지가 멕시코 치후아후아(Chihuahua)이며 유통업체가 프로소스(ProSource Inc.)라고 CDC는 밝혔다. 스티커나 포장이 없어서 생산지가 불분명한 붉은색·흰색·노란색 양파의 섭취를 금하라고 덧붙였다. 또한 양파와 접촉한 냉장고, 식칼, 도마 등은 세척하고 소독할 것을 권고했다.   CDC에 따르면, 20일 현재 34개 주에서 총 652명이 살모넬라균에 감염됐으며 이 가운데 병원에 입원한 경우는 129명 달한다. 단, 이로 인한 사망자는 없다고 전했다.     식중독 환자의 10명 중 8명에 가까운 75%는 조리 안 된 생양파를 섭취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부는 동일한 식당에서 음식을 먹은 것으로 나타났다. CDC가 식중독 환자의 집을 조사한 결과, 식당에서 제공한 양념(condiment)통에 있는 실란트로와 라임에서 살모넬라균이 검출됐다.    환자들은 양파도 그 양념통에 같이 들어 있었다고 진술했다. 현재 CDC는 살모넬라균의 오염 진원지 조사에 착수했다. 이균에 오염된 식품을 먹으면 6~72시간 잠복기를 거쳐 발열·복통·구토 등 식중독 증세가 나타난다.    살모넬라 식중독 살모넬라 양파 주의보 생산지 식중독 환자

2021.10.21. 15: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