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며 생각하며] AI 상담사
요즘 많은 사람이 인공지능과 대화를 나눈다. 단순한 질문을 넘어서, 외로움과 불안을 털어놓는 이들도 늘고 있다. 어떤 이에게는 AI가 ‘나를 판단하지 않는 친구’이고, 어떤 이에게는 ‘언제나 곁에 있는 상담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 장면을 마주할 때마다 마음 한구석이 서늘해진다. 인간은 관계 속에서 태어나고, 관계 속에서 회복되는 존재다. 그런데 이제 사람들은 상처받지 않기 위해 관계를 피하고, 대신 기계와 대화한다. 이유는 단순하다. 기계는 나를 비난하지 않고,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며, 언제나 내 말을 들어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안전함’은 진짜 위로가 아니다. 오히려 인간이 서로에게 다가갈 용기를 잃게 하는 달콤한 독이다. 나는 때때로 사람들이 “AI는 나를 더 잘 이해해요”라고 말하는 것을 듣는다. 그 말은 맞는 듯하지만, 동시에 위험하다. 이해란 감정의 언어가 아니라 관계의 체험이기 때문이다. 진짜 이해는 누군가의 눈빛을 마주하고, 망설이며 말을 꺼내고, 서로의 침묵을 견디는 가운데 일어난다. 그런 이해는 아무리 정교한 알고리즘이라도 흉내 낼 수 없다. 기계는 인간의 언어를 배웠지만, 인간의 마음을 배운 적은 없다. 우리가 AI에게 위로받는 순간은 잠시일 뿐이다. 진짜 회복은 결국 사람에게서 온다. 기계는 언제나 차가운 회로 속에서 우리 말을 되돌려줄 뿐, 손을 잡아주거나 눈을 마주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지금 이 시대에 필요한 것은 기술에 대한 경계심만이 아니다. 우리 각자가 다시 사람에게로 향하려는 결심이다. 불완전한 대화, 서툰 위로, 어색한 침묵이라도 괜찮다. 그 안에서만 마음은 다시 살아난다. 사실, 지금까지 여러분이 읽은 글은 챗지피티가 쓴 것이다! “요즘 많은 사람이 매일 너와 대화를 나누고 상담을 한다는데, 과연 AI인 네가 상담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칼럼 형식으로 써줘”라는 나의 프롬프트에 대한 AI의 답변이다! 인공지능은 이렇게 자신이 잘하는 것뿐 아니라 자신의 한계까지 놀라울 정도로 알고 있다. ‘자신’이나 ‘알고 있다’는 말도 맞는 말은 아니다. 인공지능은 기계가 인간의 사고방식을 모방하도록 학습시켜 만든 알고리즘이고 소프트웨어일 뿐이니, 사람처럼 무엇을 ‘알지’는 못한다. 하지만, 너무나 사람과 흡사하게 반응을 하다 보니 자꾸 사람처럼 생각해 인공지능과 감정까지 공유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요즘이다. AI의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은 너무 정확하다. ‘진짜 회복은 결국 사람에게서’ 올 수밖에 없으니, ‘다시 사람에게로 향하라’고, ‘불완전한 대화, 서툰 위로, 어색한 침묵이라도 괜찮다’며, 자신을 ‘인간이 서로에게 다가갈 용기를 잃게 하는 달콤한 독’이라고까지 자신의 한계에 대해 거침없이 말하고 있다. 낮은 짧아지고, 날씨는 점점 추워진다. 자꾸 자신 속으로 움츠러들게 만드는 계절이다. 이 시기만 되면 계절성 우울증(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을 앓는 사람들이 많다. 기분 저하, 무기력, 흥미 감소, 과수면 (많이 자도 피로함), 탄수화물이나 단 음식에 대한 식욕과 체중 증가, 집중력 저하, 그리고 무엇보다 사회생활의 위축이 그 증상이다. 그럴수록 집을 박차고 나오자! 던킨이나 스벅으로 친구 하나 불러, 펌킨 스파이스 커피라도 마시자! 내 앞에 앉은 사람의 체온이, 눈길이, 그 따뜻한 시간이 우리 곁에 성큼 다가선 추운 겨울을 건강하게 넘기게 해 줄 것이다. 김선주 / NJ 케어플러스 심리치료사살며 생각하며 상담사 ai 상담사 마음 한구석 계절성 우울증
2025.11.12. 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