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캘리포니아에서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단속에 나선 가운데, 체포된 이들 중 상당수가 범죄 전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자 권익 옹호단체들은 연방 정부의 단속 기준이 허위이며, 특정 인종을 표적으로 한 무차별 단속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LA타임스는 UC버클리 로스쿨 추방 데이터 프로젝트를 통해 입수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지난 1일부터 10일 사이 샌루이스오비스포(중가주)부터 오렌지카운티 사이에서 체포한 722명 가운데 69%가 전과가 없는 불법체류자였다고 최근 보도했다. 이중 58%는 기소된 적조차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출신 국가는 멕시코(48%)가 가장 많았으며 과테말라(16%)와 엘살바도르(8%)가 그 뒤를 따랐다. 중위 연령은 38세였고, 전체 체포자 중 72%가 라틴계였다. 이민자 권익 옹호단체들은 단속이 중범죄자 또는 전과자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번 결과로 거짓임이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단속 대상이 라틴계에 집중된 것은 명백한 인종 프로파일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중 다수는 홈디포 주차장, 노점상, 스왑밋 등에서 체포됐다. 이와 관련 캐런 배스 LA시장은 LA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체포된 이들은) 열심히 일하던 노동자들”이라며 연방 정부의 무차별 단속을 비판했다. 배스 시장은 이어 “우리 시에서 무분별하게 벌어진 체포작전으로 아이들은 부모가 집에 돌아오지 못할까 봐 두려워하고, 사람들은 식당 가는 것도 겁을 먹고 있다”고 설명을 더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단속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DHS) 장관은 지난 12일 웨스트LA에서의 기자회견에서 “국경을 불법으로 넘어온 행위 자체도 범죄”라고 말한 바 있다. 한편 ICE 구치소에 수감된 불법체류자 수는 급증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 당시 연간 1만~4만 명 수준이던 수감 인원이 트럼프 2기 들어 이미 5만6300명을 넘어섰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이민자 상당수 이민자 상당수 이민당국 중범죄자 범죄 전력
2025.06.25. 20:18
대형약국 체인 월그린이 국내 약 2150개 매장의 문을 닫을 예정이다. 27일 CBS뉴스에 따르면, 월그린이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향후 3년 동안 국내 8600개의 매장 중 약 25%(2100여개)에 대한 매출을 확인해서 폐점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월그린의 팀 웬트워스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조치는 회사 수익성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필수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들의 가격에 대한 민감성 등 시장 환경 변화도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쳤음을 강조했다. 업체는 매출 하락률, 고객 감소, 임대료 부담 등을 고려해 실적이 부진한 매장 위주로 폐쇄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정리해고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직원을 다른 매장에 배치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컨설팅 기업 글로벌데이터의 닐 손더스 전무이사는 최근 월그린의 실적에 대해 “단순히 프로모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보다 근본적인 운영 방식 개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월그린 상당수 월그린 상당수 최근 월그린 매장 위주
2024.06.27. 21:38
뉴욕시 신규 어포더블하우징 상당수는 중산층 대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매체 고다미스트가 뉴욕시 주택보존개발국(HPD) 데이터를 분석 보도한 결과, 에릭 아담스 시장 취임 이후 2022년 1월부터 시 전역에 건설된 약 2만4000개의 어포더블하우징 가운데 가장 큰 비율(34%)을 차지한 유닛은 3인 가족 기준 연간 15만3000달러~21만 달러 소득을 올리는 집단을 위한 유닛이었다. 연 소득 6만4000달러~10만2000달러(26%), 3만8000달러 이하(20%), 3만8000달러~6만4000달러(14%)인 가족 대상 유닛이 그 뒤를 이었다. 2023년 뉴욕시 지역중위소득(AMI)이 3인 가족 기준 연간 12만7100달러임을 고려할 때, 뉴욕시가 ‘중간 소득’으로 간주하는 집단을 위해 신규 건설된 어포더블하우징 유닛은 5%에 불과했다. 한마디로 신규 건설된 어포더블하우징 유닛 3개 중 1개가 AMI보다 훨씬 높은 소득을 올리는 이들에게 돌아가는 셈이다. 이에 샘 스타인 커뮤니티서비스소사이어티 정책 분석가는 “어포더블하우징을 신청 가능한 집단 중 최고 소득 수준의 임차인을 위한 유닛 수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유닛 수보다 많은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노숙자 셸터에서 사는 이들이 거주 가능한 유닛을 집중 개발해야 한다”고 전했다. 6년 전 살던 곳에서 퇴거 명령을 받은 후 셸터에 거주하다가 2020년 어포더블하우징 로터리에 당첨돼 브루클린 아파트로 이사한 저소득층 주민 카림 워커는 “당첨을 위해 50곳 넘는 아파트에 지원했고, 어포더블하우징이 내 인생을 바꿨다”며 “저소득층을 위한 유닛이 확대돼야 한다”고 호소했다. 윤지혜 기자상당수 중산층 상당수 중산층 뉴욕시 신규 뉴욕시 지역중위소득
2024.03.25. 19:55
콜로라도 주내 상당수 도시들의 자녀 키우는데 드는 비용이 미전역 다른 도시들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재정 자문업체인 스마트에셋(SmartAsset)이 육아(childcare), 음식비, 교통비, 주거비, 의료비 등의 비용을 기준으로 미국내 381개 메트로폴리탄 지역에서 아이들을 키우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순위를 선정한 자료에 따르면, 콜로라도 주내 대표적인 7개 메트로 지역 대다수가 연간 2만달러에서 약 3만달러의 비용이 드는 것으로 파악돼 상위권에 속했다. 비용은 MIT 생활 임금 계산기(MIT Living Wage Calculator)를 이용해 산출했다. 순위에 포함된 콜로라도 주내 메트로지역은 볼더, 덴버-오로라-레이크우드, 포트 콜린스, 콜로라도 스프링스, 그릴리, 그랜드 정션, 푸에블로 등 7개 지역이며 이중 푸에블로를 제외한 6개 지역이 상위 50위 안에 들었다. 아이 키우는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곳은 볼더로 연간 2만9,486달러에 달했으며 전국 순위도 11위로 제일 높았다. 볼더는 육아비용이 연 1만4,914달러, 음식비 2,111달러, 주거비는 5,568달러로 집계됐다. 이어 덴버-오로라-레이크우드가 연간 2만6,838달러로 전국 23위를 차지했고 이어 포트 콜린스 전국 32위($25,185), 콜로라도 스프링스 전국 40위($24,456), 그릴리 전국 43위($24,406), 그랜드 정션 전국 67위($23,212), 푸에블로 전국 136위($21,283)의 순이었다. 미전국 메트로지역 가운데 아이 키우는 비용이 가장 높은 곳은 샌프란시스코-오클랜드-버클리 지역으로 연간 3만5,647에 달했다. 2위는 샌타크루즈-왓슨빌로 연 3만3,877달러, 3위는 샌 호세-서니베일-샌타 클라라로 연 3만3,228달러에 달했다. 이어 4위는 매사추세츠주 반스테이블($33,184), 5위 보스턴-캐임브리지-뉴튼($32,307)의 순이었다. 톱 3를 비롯해 총 5곳이 캘리포니아 주내 메트로지역이었다.반면, 아이 키우는 비용이 가장 낮은 메트로지역은 테네시주 모리스타운으로 연간 1만4,577달러(전국 381위)에 그쳤다. 1위인 샌프란시스코 메트로지역에 비해 절반에도 못미치는 금액이다. 두 번째로 낮은 곳은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섬터($14,702/380위)였고 테네시주 잭슨($15,246/379위), 앨라바마주 가즈든($15,261/378위), 텍사스주 롱뷰($15,345/377위),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콜럼비아($15,389/376위)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최하위권 톱 10에 사우스 케롤라이나 주내 6개 지역이 포함됐다. 이밖에 주요 메트로지역의 순위를 살펴보면, 로스앤젤레스-롱비치-애나하임($29,131/전국 13위), 디트로이트-워런($28,917/14위), 뉴욕-뉴왁-저지 시티($27,449/18위), 호놀룰루($27,223/21위), 워싱턴-알링턴-알렉산드리아($25,563/25위), 시애틀-타코마-벨빌($25,004/34위), 필리델피아-캠든-윌밍턴($24,355/45위),솔트 레이크 시티($22,890/79위), 시카고-네이퍼빌-엘진($21,597/127위), 댈러스-포트 워스-알링턴($21,096/147위) 등이다. 이은혜 기자도시 상당수 상당수 도시들 미전국 메트로지역 샌프란시스코 메트로지역
2023.06.09. 13:56
가주 지역에서 현대자동차의 결함 등과 관련한 소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로펌이 상당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현대차 도난 건 급증과 관련, 차량 결함 등을 주장하는 집단소송이 잇따라 제기되고 불법고용 등의 혐의로 논란이 된 가운데 현대차에 대한 신뢰도 및 브랜드 이미지 하락이 우려된다. ‘LK법률그룹’ 제이미 김 변호사는 “가주에서는 최근 레몬법과 관련해 현대차와 같이 특정 차량 브랜드의 결함만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다수의 로펌들이 활동 중”이라며 “북미 지역에서 현대차의 인지도가 높아진 만큼 소비자들 사이에서 차량 결함을 주장하는 사례 역시 많아졌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본지가 가주 지역 레몬법 관련 로펌들을 조사한 결과 MLG(코스타메사), 존슨어터니스그룹(뉴포트비치), 워츠로우(샌디에이고), 소레타 앤더슨(LA), 나이트로우그룹(LA), 퀼&애로우(LA), CAA(LA), 게일로우그룹(채츠워스), 알파로펌(베벌리힐스) 등이 현대차 결함 등과 관련해 소송에 필요한 무료 상담 등을 제공하고 있다. 알렉스 차 변호사 그룹 역시 현대차와 관련한 레몬법 소송을 담당하고 있다. 이 로펌의 정대용 변호사는 “우리가 맡은 레몬법 관련 케이스 중 약 30%가 현대차와 관련될 정도로 결함 사례가 많다”며 “케이스 중에는 제네시스, 소나타, 산타페 등에서 주로 엔진오일이 새거나 주행 중 시동이 꺼지는 등 엔진 관련 이슈가 많았다”고 말했다. 실제 사례도 있다. 2020년형 제네시스 G70 차량을 소유한 김모(사이프리스)씨의 경우 주행 중에 시동이 꺼지고,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등 여러 결함이 발생해 지난 4월 알렉스 차 변호사 그룹을 통해 레몬법 케이스를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각 로펌은 웹사이트 등을 통해 현대차의 차종, 결함 사례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까지 하고 있다. 나이트로우그룹의 경우 ‘현대차의 8대 이슈’라며 현대차 소유주는 ▶오일 누출 ▶브레이크 고장 ▶치명적인 엔진 고장 ▶가속 결함 ▶엔진 라이트 켜짐 ▶전기 문제 ▶주행 중 엔진 정지 ▶엔진 화재 등을 주의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워츠로우 법률 그룹은 “현대차는 ‘미국에서 최고의 워런티’를 제공한다고 내세우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그러한 마케팅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며 “일부 소비자들이 결함 있는 자동차를 구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현대자동차 측도 “최상의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을 다한다. 하지만, 때로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현대자동차 고객 지원센터 측은 웹사이트를 통해 “불만족스러운 서비스 경험, 보증 관련 우려 사항, 차량 관련 컴플레인, 레몬법 변호사로부터 요청하지 않은 서신을 받은 적이 있다면 알려달라”며 “거래개선국(BBB), 레몬법 전문 변호사, 법무부에 문의하는 방법도 있지만, 고객 센터를 먼저 찾아준다면 어떤 문제든 해결해주겠다”고 당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시 정부는 최근 현대자동차 측에 공문을 발송, “오는 9월 19일까지 도난방지 기술 없이 만들어진 차량을 고치거나 시정하지 않을 경우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공문에서 타이쇼우라 존스 시장은 “현대차의 결함 차량은 도시의 공공 안전 위기를 초래하고 시민들의 안전 등을 위협한다”며 “소송을 피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모든 차량을 회수하고 관련 결함을 해결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현대자동차는 집단소송 외에도 최근 앨라배마 공장 등에서 미성년자를 불법 고용한 혐의 등이 잇따라 드러나 전국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현대차 상당수 소송 로펌 레몬법 소송 차량 결함
2022.08.31. 2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