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비자 인터뷰 100만건 늘릴 것”

연방정부가 2024~2025회계연도 비자 인터뷰 건수를 전년대비 100만 건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할 것이라고 29일 밝혔다.     토니 블링컨 국무부 장관은 이날 지나 러몬도 상무부 장관과 ‘외국인의 미국 여행 관련 대언론 발표’를 통해 역대 최다였던 2023~2024회계연도보다 더 많은 비자 인터뷰를 이번 회계연도에 진행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2023~2024회계연도의 비자 인터뷰 건수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외국인에 대한 미국의 비자 발급 건수가 2023~2024회계연도에 1150만건으로, 역대 가장 많았다고 전했다. 이 가운데 방문비자는 직전 회계연도 대비 10% 늘어난 850만건이었다고 설명했다.     블링컨 장관은 2026년 축구 북중미월드컵, 2028년 LA 여름올림픽 및 패럴림픽, 2031년 럭비 월드컵 등 앞으로 미국에서 열릴 대형 스포츠 이벤트와 관련해 미국을 찾을 사람들이 제때 비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러몬도 상무장관은 “여행·관광 산업은 미국인 일자리 1000만개와 2조3000억 달러 규모의 경제 활동을 지원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작년 미국 방문자가 재작년 대비 크게 늘어난 6600만명에 달했다”며 미국의 관광.여행 산업이 코로나19 여파에서 완전히 벗어났으며, 2026년 미국 방문객 9000만명 시대에 돌입하기 위한 궤도에 올라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비자를 받아 미국에 오는 것이 더 쉽고 빠르고 간소하도록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인터뷰 상무장관 인터뷰 건수 직전 회계연도 이번 회계연도

2024.10.29. 21:14

썸네일

서상표 총영사, 앨라배마 상무장관 면담

서상표 애틀랜타 총영사가 지난달 30일 앨라배마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투자 동향 등을 논의하기 위해 그렉 캔필드 앨라배마 상무장관(Secretary of Commerce)을 찾았다. 이들은 주의 한국 기업뿐 아니라 한국과 앨라배마주간의 경제협력 방안에 관한 면담을 진행했다.앨라배마 상무장관 총영사 앨라배마 애틀랜타 총영사 경제협력 방안

2023.11.01. 15:10

썸네일

“아시아 국가들과 ‘강력한’ 경제협정”…러몬도 상무장관 밝혀

조 바이든 행정부는 내년에 아시아 국가들과 새로운 형태의 “매우 강력한” 경제 기본협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지나 러몬도 연방 상무장관이 지난 9일 밝혔다.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러몬도 장관은 이날 뉴욕 블룸버그 본사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공급망 관련 공조, 수출 통제, 인공지능(AI) 기준 마련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현재와 같은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재가입은 고려하지 않고 있지만, 지난 4년과는 달리 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강화하는 것이 바이든 대통령의 정책적 우선 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달 아시아 방문도 전통적인 무역 협상이 아닌 형태의 경제 대화에 대한 이들 국가의 반응을 살피기 위한 것이었다면서 미국의 존재와 재개입에 대한 요구가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하려는 것은 새로운 경제를 위한 새 경제적 틀이라면서 이는 국가에 따라 모든 구성요소에 서명하지 않아도 되는 유연한 형태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또한 전통적인 무역협정처럼 의회의 승인이 필요한 형태가 되지 않을 것이지만 매우 강력한 형태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일본이나 싱가포르, 호주, 뉴질랜드 같은 선진국들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와 베트남, 태국 같은 개발도상국도 포용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면서 내년 1분기에 공식적으로 협정 관련 공식 절차를 시작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러몬도 장관은 반도체와 관련해 “미국의 대만 의존도가 이렇게 높은 것은 문제”라며 새 경제 협정에서 반도체 등 핵심 상품의 공급망 문제에 특히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또 민감한 상품의 중국 등 독재 국가에 대한 수출 통제를 조율하는 것도 협정의 주요 내용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제협정 상무장관 아시아 국가들 지난달 아시아 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2021.12.12. 18:3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