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부산, 2028 세계디자인수도 선정…‘롯데캐슬 드메르’ 북항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부산이 ‘세계디자인수도(World Design Capital)’로 선정되며 글로벌 도시브랜드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지난 7월 말, 부산은 세계디자인기구(WDO)로부터 ‘2028 세계디자인수도(WDC)’로 공식 선정됐다. 서울(2010년)에 이어 국내에서는 두 번째 사례로, 헬싱키, 밀라노 등 세계적인 도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 북항 재개발, 시민 참여형 공공디자인 정책 등 도시 혁신 사례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분석이다. 세계디자인수도는 WDO가 2년마다 지정하는 국제 프로그램으로, 디자인을 통해 경제·사회·문화·환경의 균형 잡힌 발전을 이룬 도시에 주어지는 명예다.   최근 부산은 국제행사 유치와 관광객 증가 등으로 활기를 띠고 있으며, 주말마다 부산행 열차표가 매진되는 풍경이 일상이 됐다. 국제 크루즈 기항 확대와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을 통한 일본·동남아 관광객 유입, 여기에 K-컬처와 결합된 젊은 층의 발길까지 더해지며, 부산은 단순한 관광지를 넘어 글로벌 관광 허브로 빠르게 도약하고 있다.   실제 부산시는 2024년 기준 62건의 국제행사를 유치했으며, 2025년 상반기에도 44건의 추가 유치에 성공했다. 이 중에는 2028 세계디자인수도를 비롯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2028 세계마술챔피언십, 2026 세계도서관정보대회 등 굵직한 대형 국제행사들이 포함돼 있다. 국내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관광 수치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부산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부산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168만2,415명으로, 전년 동기(138만1,444명) 대비 22% 증가했다. 특히 지난 4월에는 외국인 관광객 100만 명을 역대 최단 기간 내에 돌파하는 기록도 세웠다.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올 상반기 부산을 찾은 국내 외지인은 7,825만1,24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372만7,925명)보다 6% 이상 증가하는 등 국내 관광객 수 또한 꾸준히 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북항 재개발사업지에 위치한 ‘롯데캐슬 드메르’가 북항을 대표하는 새로운 랜드마크로 주목받고 있다.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과 부산역 인근에 위치해, 부산을 찾는 관광객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는 초고층 건축물로서 도시의 ‘첫인상’을 바꾸는 상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서울 출장이 잦은 영앤리치 비즈니스 고객에게도 최적의 접근성을 자랑한다.   51층에 설치되는 스카이 브릿지는 프랑스 개선문을 연상시키는 장엄한 구조미를 갖추고 있어, 북항 친수공원과 조화를 이뤄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에 버금가는 환상적인 야경을 선사할 전망이다.     여기에 관광객의 증가에 발맞춰, 롯데캐슬 드메르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와 호텔 브랜드 도입을 위한 양해각서(MOU) 및 기술컨설팅 계약(TSA)을 체결하고, 라이프스타일 호텔 브랜드 ‘마티에(MATIÈ)’를 유치하기로 했다. 마티에는 단순한 숙박 공간을 넘어, 고객들에게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브랜드로, 세계디자인수도 부산이 지향하는 도시 비전과도 부합한다.     부산은 해운대 마린시티를 통해 고급 주거와 관광의 중심지를 성공적으로 구축해 왔다. 이제 북항의 롯데캐슬 드메르가 그 역할을 이어받아, 부산의 새로운 대표 지역이자 미래의 신(新) 부촌으로 떠오를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세계디자인수도 선정은 단순한 명예를 넘어 도시 이미지와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롯데캐슬 드메르와 같은 랜드마크와 글로벌 호텔 브랜드 유치는 관광객 증가를 도시 발전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세계디자인수도 선정과 북항 개발, 글로벌 브랜드 유치는 부산이 ‘디자인·문화·관광이 융합된 국제 도시’로 도약하는 데 있어 중대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동현 기자 [email protected]롯데 세계디자인수도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글로벌 도시브랜드 상반기 부산

2025.09.10. 18:0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