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자기 안에 부처 있음을 깨달아야

불교에서 말하는 진여(眞如)의 상태란 절대의 상태, 공(空)의 상태, 무심, 평정심, 하심을 말한다. 인간은 본질과 현상 속에서 산다. 진여의 상태가 본질(바탕 마음)이라면, 현상은 상대가 있는 상태 즉, 생멸하는 세계, '색(色.불교에서 말하는 물질적인 형체가 있는 모든 존재)'의 상태를 말한다.   본질과 현상을 잡으려면 '현재'를 잡으라고 한다. 현재를 어떻게 잡나? 모든 것이 제행무상(諸行無常)이거늘 현재가 있나?     과거는 흘러갔고, 미래는 오지 않았고, 현재를 생각하는 순간, 새로운 현재가 생긴다. 매 순간이 현재다. 순간마다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것을 무슨 재주로 잡나? 본질이 진여의 상태에서 보인다면, 그곳은 공의 상태, 무심의 상태. 즉, 무의식의 세계일 수 있다. 의식의 세계에서는 잡념이 많아서 무심의 상태가 되기 어렵다.   그런 상태에서 평정심(외부의 어떤 자극에도 동요되지 않고, 항상 편안한 감정을 유지하는 마음)을 갖기란 어렵다. 한 생각이 없이 여여(如如)한 상태. 이런 상태가 현상이 배제된 상태일 것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인 헤라클레이토스는 시간은 강물과 같다고 했다. 즉, 한번 발을 담근 물은 다시 오지 않듯이 시간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우리가 있는 지금, 바로 여기, 우리가 사람을 만나든지 연구하든지 같은 시간은 절대로 오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에 머물러야 본질을 깨달을 수 있다고 한다.   불교에서는 자기 안에 부처가 있다는 깨달음이 있어야 진여의 세계에 머문다고 한다. 어떤 이들은 산속에서 고행을 통해야만 깨달음을 얻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다. 50년 동안 산속에서 불경을 외워도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을 것이다.   반면에 깨달은 사람 중에는 단박에 깨닫는 사람도 있다. 육조 혜능스님이 그랬다고 한다. 도시에서도 얼마든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우리들의 본질 즉, 본래 마음은 예전 우리가 태어나기 전부터도 있었다. 늘 청정한 마음으로 공의 상태로 존재했다.   본래 마음속에서는 모두가 하나다. 우주 만물이 하나라는 얘기다. 나와 식물과 집에 있는 반려견도, 그리고 우리가 만난 적도 없는 다른 사람들도 모두 하나다. 즉, 모두가 연결돼 있다는 것이다. 모두가 한마음인데 욕심과 탐욕이 있을 필요도 없다. 이런 청청한 마음속에서 몰두할 수 있고, 몰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상태는 거의 무의식의 상태다. 이런 상태에서는 우주 만물이 하나가 되어 에너지를 모을 수 있다. 모든 진여의 세계 속에 존재하는 에너지를 받아 엄청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아마도 이것이 깨달음의 세계일 것이다.   우리 눈앞에 보이는 모든 것은 사라지고, 생로병사하지만, 무심(無心)의 마음은 그 자리에서 영원하다. 현재의 육체는 내가 아니고, 나의 마음은 무심한 상태다. 다시 말해 나는 진여의 세상에 있고, 부처도 거기에 있다.     사람의 죽음은 이승에서의 인연으로 인한 한 개인의 생로병사이지 '참나'가 아니다. 이것을 깨우쳐야 윤회하지 않고, 진여의 세계에 영원히 머물게 된다.   백범 김구 선생이 독립투사들에게 거사 직전에 마지막으로 한 말은 '현애살수장부아(懸崖撒水丈夫兒.중국 송나라 야부도천(冶父道川) 선사의 선시)'였다. 즉, 낭떠러지에서 붙잡은 손을 내려놓는 것이 대장부라는 것이다.   마음의 집착과 욕심, 탐욕을 버리면 텅 빈 고요한 마음을 얻는다. 부처가 되는 것이다. 비록 육체는 죽으나 참마음은 원래 있던 그곳에 계속 존재하니 죽음을 두려워 말라는 뜻이다. 즉, 공적영지심(空寂靈知心)으로부터 견성성불(見性成佛) 하라는 것이다. 부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속 깊은 곳에 영원히 죽지 않고 살아 있다. 생사를 초월할 수 있는 공(空)의 세계에 살고 있다면 내가 바로 붓다다.   ◆박검진 단국대 전자공학과 졸업. 한국기술교육대에서 기술경영학(MOT)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LG반도체 특허협상팀 팀장, 하이닉스반도체 특허분석팀 차장, 호서대 특허관리어드바이저, 한국기술교육대 산학협력단 교수를 거쳐 현재 콜라보기술경영연구소 대표.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부처 생로병사 상태 무심 본래 마음속 부처 있음

2025.01.27. 18:09

썸네일

연세사랑병원 김헌 원장, 생로병사의 비밀서 환자 치료 도와

연세사랑병원 척추센터 김헌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생로병사의 비밀에 출연해 환자의 치료를 도왔다.   이 날 방송에서 김헌 원장은 잘못된 자세와 습관으로 인해 발생한 목디스크로 어깨 통증과 손 저림에 시달리던 이종실 씨를 만났다. 김 원장은 이 씨의 몸 상태를 확인하며 잘못된 자세와 습관 등이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점에 대하여 설명했다.   연세사랑병원 척추센터 김헌 원장은 “이종실 씨처럼 왼쪽으로 틀어진 잘못된 자세가 지속될 경우 디스크 왼쪽 부분으로 혈액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유난히 더 망가지게 될 수 있다”면서 “잘못된 자세로 운동을 하는 것 또한 디스크에 무리가 갈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 날 방송에서는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인해 나타나는 질병에 대한 설명과 건강수명을 늘리는 좋은 습관이 소개됐다.    박원중 기자 ([email protected])연세사랑병원 생로병사 연세사랑병원 김헌 연세사랑병원 척추센터 김헌 원장

2023.05.12. 17:00

썸네일

[수필] 생로병사의 길

지난여름 오후였다. 재활용 물 버킷을 들고 나갔던 남편이 놀라 말했다. 안마당 언덕에 코요테가 서 있다가 담장을 넘어 이웃집으로 갔다는 것이다. 흠, 내 가슴이 철렁했다. 최근에도 이른 아침이나 어둠이 내리던 저녁이면 길가에 서성이는 모습을 차를 타고 오다 보곤 했지만 집 마당까지라니. 하긴 코로나가 유행하는 두 해 사이에 길거리에는 왜 그리도 배고프고 집 없는 홈리스가 늘어났는지, 야생동물 코요테도 배가 고프겠지. 야생 동물을 잡아먹다 이제는 집고양이와 개까지 노리고 있다. 우리 집도 철망을 설치하는 등 준비를 미리 좀 해놓았지만 어이없는 일은 순식간에 일어났다.   11월 초였다. 개가 집안에서 실수를 할까 봐 남편이 잠깐 밖에 내놓았다는데, 우리는 그 순간 그 자리에 없었다. 내가 개를 찾아 안아 들었을 때는 내 손 위로 굵은 핏방울이 뚝뚝 떨어지고 있었다. 한쪽 귀가 찢어져 사라진 것이다. 마당에 들어온 코요테가 기다렸다가 공격을 한 모양이다. 딸은 엉엉 통곡했고 죄인이 된 남편은 울상이었기에 나는 강아지를 데리고 화장실로 갔다. 소독하고 지혈제인 마데카솔 가루를 듬뿍 뿌리고 피를 멈추게 했다.   그리고 손전등을 들고 강아지 화장실인 닭장의 그물망을 살펴보았다. 화분이 넘어져 있는 등 동물이 다녀간 흔적이 보였다. 허술한 철망의 구멍 하나를 찾아냈다. 코요테가 그 구멍으로 주둥이를 처넣고 우리 강아지의 귀를 물어버린 모양이다. 그 야수는 마치 삶은 돼지 귀처럼 얼마나 졸깃하게 먹었을까. 난 채식을 좋아하는 편이기에 분통이 터져 닭살이 돋았다. 얼마 쓰리고 아팠을까마는 참을성 많은 개는 무표정이었다. 눈만 깜박거렸다. 다음날 병원에 데려가 염증을 예방하려니 항생제를 받아와 먹였다. 그런대로 상처는 회복되어 밥도 잘 먹고 잘 걸었다.   사실 기다랗고 쫑긋하게 쭉 뻗어 있는 명품 귀를 가진 개는 닥슨과 치와와의 잡종이다. 어릴 적엔 데리고 동네를 산책하면 몸에 비해 귀가 워낙 커서인지 사람들은 잠시 멈추어 귀 모양이 재미있다며 한참 웃곤 했다. 약 18년 전 한 라티노가 길가에 강아지를 놓고 팔았는데 어느 한인 청년이 사서 여자 친구에게 선물했고 두 사람이 헤어지는 바람에 로스앤젤레스에서 가든그로브, 또 우리 집까지 오게 된 사연의 강아지였다.   6개월 만에 진짜 부모를 만나 정착한 셈이다. 그런데 입양을 해준 딸아이는 한국역사 대학원 과정을 공부하러 떠났다가 잠시 방학에 집에 와 있었다. 그러니 내가 돌봐야 하는 상황이었다.신기한 일은 국제전화 속에서 들리는 딸의 목소리를 알아채고 달려와 수화기 앞에 앉아 듣곤 했다는 것이다. 또 주인이 싫어하는 일은 절대로 하지를 않았다. 지난번 강아지는 미워하는 남편 방에 들어가 오줌이나 똥을 싸면서 화가 난 자기 의사 표시를 했는데 말이다. 이 녀석은 큰 것은 현관문 앞으로, 작은 것은 패티오 문 앞으로 가 앉아 기다리며 나가자고 했다.   개들의 지능지수와 감성지수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미국에 살며 다섯 마리의 개들이 잠시 또는 길게 인연이 있기에 그들의 지능지수도 각각임을 알게 되었다. 몸짓과 꼬리 흔들기, 가지가지 슬프고 기쁜 감정의 눈망울들, 사랑스럽기 짝이 없다. 동물에 무심한 편인 남편의 마음까지도 사랑하도록 움직였으니 말이다. 어찌 그런 개들을 잔인하게 죽이고 식탁에 올릴 수가 있단 말인가.   강아지 때부터 주말이면 우리 가족이랑 테니스장에 가공 튀는 소리에 익숙해졌다. 발바닥이 벗겨져 피가 날 정도로 뛰곤 했다. 스포츠맨이다. 우렁찬 목소리와 당당함에 나는 ‘똘장군’이라 불렀다. 만나는 사람들에게 행복한 기운을 보내주니 ‘복돌이’라고도 불렀다.   11살 무렵에 드디어 딸이 집으로 돌아왔다. 입 냄새가 나서 병원에 데려가 치석 제거를 하다 어금니에 금이 간 것을 보고 그 날부터 딸은 매일 이빨을 손수 닦였다. 여태 하루도 빠짐없이. 자기가 못 돌보아 준 십년을 더 살아 달라며 간절히 애원하면서. 왜냐하면 강아지가 그동안 현관문만 바라보며 행여나 주인님이 오는지 소파 방석에서 긴 세월 자면서 살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네 번째 수필집의 각장마다 뜰의 꽃길에서 장하게 걷는 노견의 뒤태를 사진으로 찍어 책에 실었다. 그런데 최근 그 녀석이 두 눈을 못 뜨더니 또 위장에서 밥이고 물이고 소화를 못 한다. 흡입기 빨아대듯이 사료를 먹었었는데 말이다. 그리고 밤중에도 자리에서 꼭 일어나 토를 하거나 화장실을 찾고 있다. 인간 나이로 치면 구십이 넘었으니, 생로병사의 고행의 길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최미자 / 수필가수필 생로병사 야생동물 코요테 지난번 강아지 우리 강아지

2022.12.15. 19:2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