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주경야독으로 석사 학위 딴 ‘79세 청년’

80을 목전에 둔 나이에 주경야독으로 목회학 석사 학위를 받은 한인이 화제다.   주인공은 부에나파크에 사는 오경선(79)씨다. 오씨는 지난 7일 웨스트코비나의 선한청지기교회에서 열린 캘리포니아 프레스티지 대학교(구 미주장로회신학대학교) 제45회 학위 수여식에서 석사모를 썼다.   오씨는 자신을 ‘79세 청년’이라고 소개했다. “주치의가 놀랄 정도로 건강하다”는 오씨의 말에서 자신감의 원천을 짐작할 수 있었다.   오씨는 지난 2014년 운영하던 마켓을 정리했다. 은퇴가 당연한 수순이었겠지만, 그는 라하브라의 월마트에서 시간제 직원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오씨는 “난 예수를 잘 믿기 위해 40대 중반에 미국에 이민 왔다. 건강엔 자신이 있으니 일하면서 직장, 도시 선교를 하겠다는 결심을 한 것이다. 하루에 한인 고객을 20명쯤 만나는데 기회가 닿으면 자연스럽게 복음을 전한다. 타인종도 마찬가지다. 어떻게 월마트에 취업했냐며 부러워하는 시니어에겐 지원 방법도 알려준다”고 말했다.     오씨는 4년 전, 신학 공부를 시작했다. 만학도로서 일과 학업을 병행하기 쉽지 않았지만, 노력으로 어려움을 극복했다. “좀 더 젊었을 때 공부하고 싶었지만, 그땐 상황이 여의치 않아 꿈만 품고 있다가 2021년 여름 학기부터 등록했다. 늦공부가 힘들었지만, 매 학기 열심히 하다 보니 어느새 끝이 보였다.”   오랜 기간 남가주 사랑의교회에 다닌 오씨는 올해 초, 우연히 기도원에서 라미라다의 개척교회인 소명교회 이정호 담임목사 일행을 만난 것이 계기가 돼 집사 임명도 받았다. 식사 중 오씨가 목회학 석사 공부를 곧 마친다는 말을 들은 이 목사가 10분쯤 대화한 뒤, 청빙 제안을 했다는 것이다. 오씨는 “나중에 알고 보니 이 목사가 기도원에서 동역자를 찾는 기도를 했다더라. 나도 기도에 응답을 받아 집사가 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오씨는 ‘100세 시대’를 맞은 교회가 젊어지기 위해선 시니어 세대가 역동적으로 청, 장년 신앙 교육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날로그 시대 디지털 시대, 인터넷 시대를 거쳐 이제 AI 시대를 살고 있다. 뒤처지지 않기 위해 노력한 내 경험을 토대로 일상 속에서 복음을 전하며, 시니어 세대의 재충전과 사회 재진출을 도와 그들이 하나님 나라의 일꾼으로 세상에 기여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다짐했다.   육군3사관학교를 나와 육군 대위로 1976년 전역한 오씨는 무역 사업을 하다가 1991년 미국에 왔다. 이후 건축 회사, 마켓을 운영했다. 부인 오상숙(75)씨와 30여 년째 부에나파크에 살고 있다.   지난 2006년 남가주 사랑의교회가 라티노 선교를 위해 마련한 스패니시 교실 프로그램을 추진했으며, 오렌지카운티 선거관리국 투표소 관리원을 맡는 등 교회와 사회에서 다양한 활동을 해왔다.  임상환 기자주경야독 석사 석사 학위 목회학 석사 학위 수여식

2025.06.09. 20:00

썸네일

74세에 한의학 석사됐다…중풍 남편 돌보며 만학의 꿈

“인생의 제3막, 소외된 이웃 돕는 따뜻한 한의사로 살아보렵니다.”     젊은이들로 힘들다는 한의학 공부를 일흔이 다된 나이에 시작해 당당히 석사 학위를 따낸 한인이 있다.       올해로 74세. 레돈도 비치에 거주하는 티나 한(한영희·사진)씨는 여유로운 은퇴 생활을 즐겨야 하는 나이지만 손에서 펜을 놓지 않는다.       지난 5월 한씨는 사우스베일로 한의과 대학교에서 그해 최고령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4년제 과정을 5년 3개월이 걸려 이룬 성과다.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들 때도 많았다. 낮에는 중풍으로 쓰러진 남편을 돌보며 살림을 해야 했기에 한씨에게는 저녁이 유일하게 허락된 공부 시간이었다.     한씨는 “젊은 학생들이 일주일 만에 외우는 걸 나는 두 달이 걸렸다”며 “늦은 나이에 두뇌의 한계를 경험한 적도 많았지만 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끝까지 도전했다”고 말했다.       한씨는 또한 간호사로서 일한 경력이 학업에 많은 도움이 되기도 했다고 전했다.       1973년 LA에 이민 와 38년간 간호사로 근무하다 지난 2012년 은퇴한 한씨는 이후 5년간 한의사였던 선교사와 남미 각국에서 의료 선교를 하면서 한방의 매력의 눈을 떴다고 전했다.       한씨는 “양방으로 못 고치는 병들을 한방의 큰 꽃이라 할 수 있는 침을 통해 치료되는 것을 보면서 큰 감명을 받았다”며 “남은 여생은 한의사가 되어 어려운 이웃을 돕고 싶다는 마음에 사우스베일로 대학에 입학원서를 제출하게 됐다”고 계기를 전했다.       일흔넷인 한씨는 개인 한의원 개원을 목표로 지금도 공부 중이다.       한씨는 “오는 9월 한의사 면허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며 “면허를 취득하면 한의원을 개원해 한의사로서 활동할 계획이며 또 해외 의료 선교도 계속하고 싶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가족 뒷바라지하며 보냈던 희생의 시간이 인생의 2막이었다면, 남은 인생을 그저 흘려보내는 것이 아닌 소중한 시간으로 채워진 진정한 인생의 3막을 다들 보내시길 바란다”며 다른 한인 시니어들의 새 출발을 독려했다.   장수아 기자한의학 석사 중풍 남편 한의학 공부 석사 학위

2022.03.24. 20:3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