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주 다수의 아동 보육시설의 수돗물에서 높은 수준의 납 성분이 포함되었다고 보고됐다. 가주 사회복지국의 보고에 의하면, 자격증을 보유한 아동 보육시설(Child Care Center) 6866곳에서 식수로 제공되는 수돗물의 수질 검사 결과, 30%에 가까운 시설에서 ‘위험’ 수준의 납이 검출됐다. 이번 검사는 지난 2018년 가주 의회에서 통과된 법(AB 2370)에 따라 가주 역사상 처음으로 진행됐다. AB 2370은 자격증을 소지한 아동 보육시설 내 수돗물의 납 농도를 5년마다 검사하고, 이에 따라 조처를 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있다. 어린이들의 경우 극소량이라도 납에 노출되면 성장 과정에 큰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납은 아이들의 뇌와 신경계를 손상해 지능을 낮출 수 있고 청력, 학습 및 행동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가주 교육구 내 시설 중 53%에서 납이 검출됐다고 한다. 특히 납 성분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납 배관이 있는 오래된 주택에 사는 아동이 납에 중독되는 경우가 많다. 오래된 주택을 개조하며 페인트칠을 다시 하는 작업 중에 떨어진 입자로 납에 노출될 수 있는데 어린아이들이 페인트 조각을 먹고 납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물론 요즘 사용하는 페인트에는 납 성분이 들어 있지 않으나 1978년까지는 내구성을 높이고 좋은 색깔을 내기 위하여 페인트에 납 성분을 포함했다. 1978년 이전에 지어진 건물의 소유주들은 주택의 납 페인트 위험감축법에 따라 반드시 입주자들이나 건물을 사려는 바이어들에게 납 성분 사용 여부에 대해 미리 알려주어야 한다. 납중독 문제는 당사자는 물론이고 테넌트가 납중독에 걸릴 경우 건물주의 피해가 대단히 크다. 요즘도 주택 내에 칠해진 납 성분을 함유한 페인트를 통해 납중독에 걸리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납중독의 가장 큰 피해자는 어린이들로 건강하게 보이는 아이들이라도 혈액 속 납 성분 수치는 위험 수준 이상일 수 있다. 납 먼지 또는 페인트 조각, 흙 등을 호흡기나 손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납중독을 예방하려면 어린아이들이 페인트가 칠해진 조각들에 노출되지 않도록 특히 주의해야 한다. 어린이가 음식을 먹기 전에는 손과 얼굴을 닦도록 하고, 장난감 등 아이가 만질 수 있는 물건들도 자주 씻어 줘야 한다. 납은 적은 양으로도 독성이 강하며 체내에 흡수된 납은 뼈와 근육조직에 축적되어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고, 납에 노출되면 두뇌 계발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2016년부터 연방주택도시개발부(HUD)는 정부가 지원하는 저소득층용 주택에 사용됐을 수 있는 납 성분 페인트와 관련해 보다 강화된 새 규정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HUD 지원 주택에 거주하는 6세 미만 아동의 혈중 납 성분 농도가 제한치를 초과할 경우 해당 건물주는 HUD에 관련 사항을 보고해야 한다. 보고서가 제출되면 HUD는 즉시 납 성분 페인트 사용 여부 등 환경오염 여부에 대해 조사를 한다. 조사에서 납 성분 페인트가 사용된 사실이 밝혀지거나 토양에서 납 성분이 검출되면 건물주는 유해 물질 제거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문의: (818)497-8949 미셸 원 / BEE부동산 부사장부동산 이야기 위험성 성분 성분 페인트 성분 사용 성분 농도
2023.05.24. 18:05
인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6대 영양소 중 수분은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6대 영양소 중 수분이 인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수분은 체온 조절, 신진대사 등 일상적인 신체 유지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신체 기관 곳곳의 세포 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가장 많은 수분을 함량하고 있는 신체 기관은 두뇌인데, 두뇌의 약 85%가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심장의 경우 약 80%, 폐와 근육의 경우 약 75%가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몸의 주요 신체 기관에서 수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우리 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임산부와 영유아의 수분 섭취는 더 중요하다. 우리 몸의 체수분 함량은 신생아 시기 80% 수준에서 나이가 들수록 점차 줄어들어 성인기에는 약 60%, 노년기에는 50% 수준까지 줄어들게 된다. 체내 수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임산부와 영유아에게 더 크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 권위 있는 영양학술지 Nutrients에 따르면 생후 12개월 이하는 약 0.7L, 1년에서 2년까지는 1.3L, 4년에서 8년의 경우 1.7L의 일일 수분 섭취가 권장된다. 그러나 생활 속에서 물 섭취는 꼭 따져봐야 할 것들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미네랄 함량이 부족한 물을 지속해서 마시는 경우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미네랄이 부족한 물을 마시게 되면 칼슘이나 포타슘, 아연, 철분 요오드 같은 필수 미네랄이 결핍되기 쉽고, 성장기인 태아 및 영유아의 성장 지연 또는 신경 기능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이를 장기간 지속해서 마시게 되는 경우 임산부의 조산 및 저체중 출산, 아동 골절의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마시고 있는 물의 양뿐만 아니라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지 또한 확인해야 한다. 그렇다면 가정에서 미네랄이 풍부한 물을 마시려면 어떻게 해야하나. 자연 상태의 물에 풍부하게 함유된 미네랄은 이온화되어 있어 식품 또는 영양제를 통해 미네랄을 보충하는 것보다 체내 흡수율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가정에서 가장 간편하게 미네랄이 풍부한 물을 섭취하는 방법은 미네랄 함유량을 유지해주는 정수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정수기는 해수를 담수로 바꾸기 위한 필터 기술을 그대로 적용해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미네랄까지 걸러낼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사용 중인 정수기가 유해 물질은 걸러내면서 미네랄은 보존하는 최신 필터 기술이 적용되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가족 구성원 중 임산부 또는 영유아가 있다면, 가족 건강을 위해 음용중인 물을 꼭 확인해 볼 것이 권장된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미네랄 성분 미네랄 함유량 미네랄 함량 수분 섭취
2023.02.07. 17:39
얼마 전에 방영된 ‘옷소매 붉은 끝동’이라는 TV 드라마는 조선 시대 정조 대왕과 후궁의 사랑 이야기인데 필자도 아주 재미있게 시청했다. 그래서 정조의 이야기를 찾아보니 49세 병사한 정조가 피부병으로 인해 밀폐된 공간에서 약재를 태워 연기로 치료하는 훈증요법을 사용했는데, 연기 중의 납 성분 때문에 납중독으로 사망하였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그만큼 납 성분의 폐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무서운 것이라 다시 정리해 본다. 100만 달러 내외 작은 규모의 유닛이나 아파트는 모두 1900년대 초, 중반에 지어진 것들이 많아 구매할 때 꼭 알아 두어야 할 사항들이 몇 가지 있는데 그중의 하나가 페인트나 상수도 파이프에 남겨진 납 성분이다. 납 성분이 포함된 물건들을 통해 섭취된 납으로 인한 중독은 일부 도자기 유약이나 간혹 납으로 오염된 조개류나 생선 등의 음식을 통해서도 중독된다. 특히 납 성분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납 배관이 있는 오래된 주택에 사는 아동들이 중독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오래된 주택을 개조하며 페인트칠을 다시 하는 작업 중에 떨어진 입자로 납에 노출될 수 있는데 어린아이들이 페인트 조각을 먹고 납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요즘도 어린아이들의 납중독 피해 사례가 있어 가끔 있어 당사자는 물론이고 테넌트가 납중독에 걸릴 경우 건물주의 피해가 대단히 크다. 물론 요즘 사용하는 페인트에는 납 성분이 들어 있지 않으나 1978년 이전에 지어진 집의 페인트 된 벽 등에는 새로 칠해진 페인트 밑에 납 성분이 든 페인트가 들어 있다. 그러므로 납 성분 페인트가 묻은 조각이 노출됐을 때 단맛이 있어 어린아이들이 주워 먹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주택과 관련된 납 성분의 유해성에 관하여 알아보자. 1978년까지는 내구성을 높이고 좋은 색깔을 내기 위하여 페인트에 납 성분을 포함했다. 그러므로 1978년 이전에 지어진 건물의 소유주들은 1992년 제정된 주택의 납 페인트 위험감축법(Residential Lead-Based Paint Hazards Reduction Act)에 따라 반드시 입주자들이나 건물을 사려는 사람들에게 납 성분 사용 여부에 대해 미리 알려주어야 한다. 보통 페인트를 할 때 기존의 페인트 위에 덧칠하게 되므로 직접 접촉이 안 되어도벽 속에 납 성분 페인트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1978년 이전에 지어진 주택을 매매할 때 셀러는 반드시 그 주택에 납 성분이 있을 수 있음을 바이어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요즘도 주택 내에 칠해진 납 성분 함유 페인트를 통해 납중독에 걸리는 사례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납중독의 가장 많은 피해자는 어린이들로 건강하게 보이는 아이들이라도 혈액 속 납 성분 수치는 위험 수준 이상일 수 있다. 이유는 납 성분을 함유한 먼지 또는 페인트 조각, 흙 등을 호흡기나 손을 통해 입 안으로 삼키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납중독을 예방하려면 어린아이들이 페인트칠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들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납은 더운물이나 고여 있는 물에 더 쉽게 녹아 들어가기 때문에 수돗물 사용할 때는 찬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 시간 동안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찬물을 쓰기 전에 2분 동안 틀어 놓아 나오는 물을 버리는 것이 좋다. 납은 체내에 적은 양이 유입되어도 독성이 강한 성분이며 체내에 흡수된 납은 뼈와 근육조직에 축적되어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청소년이 납중독에 노출되면 두뇌 계발 등에 영향을 받는다. ▶문의: (213)505-5594 미셸 원 / BEE부동산 부사장부동산 투자 페인트 성분 성분 페인트 페인트 조각 페인트 위험감축법
2022.04.13. 1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