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아들러·융, 프로이트의 성욕 보편성 거부
프로이트가 창설한 정신분석학회의 회원이었던 아들러는 성욕은 에너지의 일부일 뿐, 절대적인 것이 될 수 없다고 했다. 대신, 인간은 열등감으로 인한 단점을 보상받기 위하여 더 열심히 큰 목표를 세우고 노력함으로써 위대한 인간 또는 작품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가령, 나폴레옹은 신장이 작고, 우월한 귀족 출신이 아니었기에 더 열심히 노력하여 영웅이 될 수 있었다고 했다. 또한, 열등감이 강한 사람들은 모임이나 대인 관계를 회피함으로써 자신의 단점을 숨기려고 한다고 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타인들보다 더 높은 목표를 세우고 노력함으로써 과거나 현재의 열등감을 이겨낼 수 있다고 했다. 또 한 명의 정신분석학회의 회원이었던 칼 융은 아들러와 마찬가지로 성적 욕구 보편성의 논리를 거부했다. 그러나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에서 등장하는 무의식의 세계는 동경했다. 또한 성적 욕구에 의한 에너지도 일부는 긍정했다. 프로이트는 성적 불만족은 신경증의 증세인 히스테리를 불러온다고 했다. 히스테리는 이미 기원전 20세기부터 이집트에서 파피루스에 적혀 3900년을 내려온 사실이다. 히스테리라는 뜻은 '여성의 자궁'이란 의미였다. 성적으로 만족을 못 하면 자궁이 쪼그라들어서 몸 안의 이쪽저쪽을 옮겨 다닌다고 했다. 치료법으로는 고약한 냄새가 나는 증기를 그 여성의 입에 불어넣어서 자궁이 밑으로 내려가게 하거나 독한 술을 먹였다. 이런 치료법은 그리스 히포크라테스조차도 그렇게 믿었고, 심지어 플라톤도 '티마이오스'라는 그의 저서에서 이것을 인정했다. 당시의 여성들은 히스테리가 있으면 마녀로 오인되어서 사형도 당했다. 이런 오진은 중세까지도 이어졌다. 불과 500년 전 해부학이 발달하면서 자궁은 이동할 수 없다는 것을 의학적으로 증명하면서부터 히스테리가 신경증의 한 증세로 인정되었고,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걸린다고 밝혀졌다. 그러나 지금도 노처녀 히스테리라고 해서 결혼이나 임신이 특효약으로 여겨지고 있다. 인도 고전인 '우파니샤드'에서 인간은 스스로 세상이라는 고통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했다. 불교와도 사상이 겹친다. 사르트르는 인간은 세상에 자기 의지로 태어난 것이 아니라 던져졌기 때문에, 애초에 주어진 사명은 없다고 했다. 그러므로 인간의 본질이란 없고, 자기 스스로 본질을 만들어가야 하는 고된 역경을 겪는다고 했다. 선택도 자기가 해야 하고 그 책임도 자기가 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의구심이 생긴다. 사회는 이미 짜인 언어로 구성된 사회이고 아이 때부터 그 구조 속에서 살아야 한다. 마치 붕어빵 같은 사회 속에서 자신의 본질을 찾아야 한다는 얘긴데 과연 이것이 가능할까? 자기라는 자아는 이미 사회 구조 속에서 만들어져 있다. 즉, 무의식 속에서 존재할 뿐이다. 그러나 그런 무의식을 표출하지 못하도록 의식이 가로막고 있다고 프로이트는 주장했다. 자크 라캉도 무의식조차도 타자들이 만들어낸 담론이라고 주장한다. 그럼 구조주의 속에 나란 존재는 무엇인가? 끝없이 솟아나는 욕심과 분노 그리고 어리석음은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내 안에 내가 아닌 악마라도 살고 있단 말인가? 니체는 선과 악은 인간이 만든 거짓말이라고 했다.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서 인간들이 만든 조작물이라고 했다. 박검진 단국대 전자공학과 졸업. 한국기술교육대에서 기술경영학(MOT)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LG반도체 특허협상팀 팀장, 하이닉스반도체 특허분석팀 차장, 호서대 특허관리어드바이저, 한국기술교육대 산학협력단 교수를 거쳐 현재 콜라보기술경영연구소 대표.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프로이트 보편성 성욕 보편성 노처녀 히스테리 사회 구조
2025.11.24. 1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