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75세 이상 여성 43% 혼자 산다

미국에서 65세 이상 시니어 10명 중 3명은 혼자 살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지난달 30일 센서스국이 발표한 ‘연령대에 따른 다양한 생활 방식’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65세 이상 성인 10명 중 약 3명은 혼자 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18~34세 청년 그룹의 경우 10명 중 1명이 가족이나 파트너 없이 혼자 사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여성들의 수명이 남성보다 통상적으로 긴 탓에 나이가 들수록 여성이 혼자 사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 65~74세 그룹의 경우 여성은 27%, 남성은 21%가 혼자 살고 있어 비슷한 비율을 기록한 반면, 75세 이상 그룹에선 혼자 사는 여성의 비율은 43%까지 높아졌다. 75세 이상 남성 중 혼자 거주하는 비율은 24%로 계속해서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센서스국은 “남성 시니어는 여성이 생존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파트너, 배우자 등과 같이 사는 비율이 여성보다 높은 편”이라며 “여성의 기대 수명이 길어졌음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전했다.     18~24세 젊은 층은 부모 집에서 사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에 따르면, 18~24세 중 남성은 56%, 여성은 54%가 부모와 함께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서 사는 경우는 각각 6%, 5%밖에 되지 않았다.     특히 젊은 청년들이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비율은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였다. 과거와 달리 여성이 대학에 가고 결혼을 늦게 하는 추세가 반영되면서 특히 여성 청년층이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비율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     1960년대에만 해도 18~24세 남성 52%가 부모와 함께 거주하고, 여성은 35%만 부모 집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여성도 부모 집에 거주하는 비율이 50% 이상으로 높아졌다.     한편 25~34세 연령층에서는 남성(34%)보다 여성(43%)이 배우자와 함께 사는 비율이 높았다. 해당 연령층의 성인 남성과 여성의 각 17%가 미혼 파트너와 거주하고 있었다. 2022년 기준 미국에서 결혼한 가구 비율은 47%로, 1970년(71%) 대비 대폭 낮아졌다. 김은별 기자여성 센서스국 여성 청년층 이상 여성 남성 시니어

2024.06.03. 20:23

65세 넘으면 넷 중 한 명 장애

전국 65세 이상 74세 이하 노인의 24%는 장애를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퓨리서치센터가 7월 ‘장애 프라이드 달(Disability Pride Month)’을 맞아 인구조사국의 2021 미국 지역사회 조사(ACS)를 토대로 내놓은 장애 관련 통계에 따르면, ▶75세 이상 미국인의 46% ▶65세 이상 74세 이하 미국인의 24%가 장애를 가진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35세 이상 64세 이하 성인의 12%, 35세 미만 성인의 8%가 장애를 가진 것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치다.   아시아계 미국인의 경우 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 ACS 추정치에 따르면 아메리칸 인디언과 알래스카 원주민이 장애를 가졌다고 응답할 확률은 18%로 타인종보다 높았고, 백인과 흑인은 각각 14%, 히스패닉은 10%, 아시아계는 8%에 불과했다.     가장 흔한 장애 유형으로는 보행 장애, 인지 장애 등이 꼽혔다. 미국인의 약 7%는 계단을 오르는 데 어려움을 겪는 등 보행 장애를 겪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65세 이상 노인이 이러한 장애를 갖고 있다고 응답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이에 비해 35세 이상 64세 이하는 6%, 18세 이상 34세 이하는 1%로 보행 장애를 갖고 있을 확률이 비교적 낮았다.     또 미국인의 약 6%는 신체·정신·감정 문제로 인해 독립적인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응답했으며, 5%는 기억력·집중력·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인지 장애를 가졌다고 응답했다.     장애 여부는 취업과 수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2022년 전국 취업자 중 장애인 취업 비율은 4%에 불과했다. BLS가 22개 직업군을 조사한 결과, 장애인의 경우 관리직(12%)과 사무 및 행정 지원직(11%)에 취업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교내 장애 학생 비율도 10년 동안 꾸준히 증가했다. 국립교육통계센터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전국 공립학교 학생들이 특수 교육 및 관련 서비스를 받는 비율이 증가해 왔다. 2021~2022학년도에 공립학교에서 특수 교육 및 관련 서비스를 받은 학생은 730만 명으로 전체 등록학생의 15%를 차지했고, 이는 640만 명의 장애 학생이 전체 등록학생의 13%를 차지했던 2010~2011학년도에 비해 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뉴욕주의 경우 2021~2022학년도 기준 전국 공립교 장애 학생 비율 5단계 중 가장 상위 단계인 20% 이상을 기록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장애 센서스국 장애인 취업 보행 장애 결과 장애인

2023.07.25. 21:02

미국 인구 증가 역사상 최저 기록…센서스국 2021년 추정치 발표

미국이 건국 이래 가장 적은 인구 증가율을 기록했다.   연방센서스국이 21일 발표한 2021년 전국·주 인구 추정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7월 1일부터 2021년 7월 1일까지 증가한 인구는 총 39만2665명(0.1%)으로 건국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연방센서스국은 인구 성장속도가 느린 이유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미국으로 이주하는 이민자가 줄었고 출산율이 감소하고 사망률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꼽았다.   연방센서스국의 크리스티 와일더 인구통계학자는 “낮은 출산율과 국제 이주율이 감소하면서 인구증가가 수년째 둔감하고 있는 반면 국내 인구의 고령화로 사망률은 상승하고 있다”며 “이러한 조합이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받아 가장 느린 인구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통계를 보면 인구조사를 실시한 2020년 4월 1일 이후 미국 인구는 3억3144만9281명에서 3억3189만3745명으로 0.13%(44만4464명) 증가했다. 또 18세 이상의 성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77.8%인 2억5830만 명으로 집계됐다.     2020년 7월 1일부터 2021년 7월 1일 사이 증가한 인구는 자연증가(14만8043명)와 국제이주자(24만4622명) 덕분이었다. 자연증가는 출생자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것이며, 국제이주자는 미국 입국자 수에서 출국자 수를 뺀 숫자를 가리킨다.   이번 통계를 보면 전반적으로 남부 지역에 인구가 늘었다. 전체 인구의 38.3%인 1억2722만5329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유일하게 자연증가와 국제이주자가 늘면서 지난 1년간 65만7000명이 추가됐다.     동북 지역은 4개 지역중 인구가 가장 적은 5715만9838명으로 집계됐다. 동북지역 인구는 자연감소(3만1052명) 외에 타주 이주자가 38만9,638명을 기록해 지난 한해동안 36만5795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주는 텍사스로 지난 1년간 31만288명(1.1%)이 추가됐다. 가장 큰 원인은 타주에서 유입된 국내 이주자와 자연증가로 각각 17만307명과 11만3845명에 달했다. 뿐만 아니라 해외 이주자도 2만7185명으로 조사됐다.     그 뒤로 플로리다, 애리조나, 노스캐롤라이나 순으로 인구가 늘어난 곳으로 파악됐다. 이들 주는 해외 이주자들의 유입이 꾸준했다.   연간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주는 아이다호로, 지난 1년간 2.9%가 성장했다. 아이다호 역시 국내 이주자 규모가 4만8876명에 달했다.   반면 그동안 이민자들의 선호지였던 뉴욕과 캘리포니아주는 인구가 줄어든 톱 1, 2위에 올랐다. 뉴욕의 경우 전년도보다 31만9020명이 줄어든 1983만5913명으로 집계됐다.   가주의 경우 미국에서 여전히 인구가 가장 많은 주로 나왔지만 전년도 대비 26만1902명이 감소한 3923만7836명으로 집계됐다.     그 뒤로 일리노이(-11만3776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인구 감소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워싱턴DC(-2.9%), 뉴욕(-1.6%), 일리노이(-0.9%) 순이었다.   한편 센서스국은 이날 2060년 세계 인구가 100억을 넘어선 102억974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다만 연평균 증가율은 지난해 1.04%에서 올해 0.96%, 2060년엔 0.42%까지 떨어질 것으로 봤다.           장연화 기자미국 센서스국 인구 증가율 동북지역 인구 인구 성장속도

2021.12.21. 20: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