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일 서명해 시행에 들어간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OBBBA)’에 따라, 2026년부터 대부분의 납세자들이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비영리 조세 연구기관 세금정책센터(TCC)는 OBBBA 시행으로 인해 납세자들이 평균 약 2900달러의 세금을 절감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법안은 2017년 발효된 개정세법의 일몰 조항을 연장하는 동시에, 지방세(SALT) 공제한도 상향 등 새로운 감세 항목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전체 감세 혜택의 60%가 연소득 21만7000달러 이상의 상위 20% 소득 계층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소득 3만4600달러 이하의 소득 하위 20% 계층은 내년 평균 150달러, 세후 소득의 약 0.8%를 줄일 수 있는 반면, 상위 20%는 평균 1만2540달러, 세후 소득의 약 2.5%에 해당하는 세금 감면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표 참조〉 특히 연소득이 518만 달러가 넘는 상위 0.1%의 고소득층은 연간 절감액이 28만 달러를 초과해, 감세 혜택이 고소득층에 집중됐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제 감세 효과는 자녀 수에 따른 자녀세액공제 자격, 팁 소득 여부 등 다양한 개인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절세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개인에 맞는 절세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원희 기자대규모 감세법 대규모 감세법 절세 전략 소득 계층
2025.07.20. 19:00
집값은 내려가지 않고 매물은 부족하며 모기지 이자는 오르면서 예비 주택 바이어들이 점점 주택 시장에서 밀려나고 있다.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NAR)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말의 전국 주택 가격과 비교하면 30%가 올랐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8만 달러가 더 있어야 하는 셈이다. 집값은 그렇다고 치더라도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 전국 주택 매물 수가 100만 채로 떨어졌다. NAR이 최근 밝힌 주택의 누적 부족분은 580만 채나 된다.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니 집을 사려는 수요가 높아도 원하는 집을 손에 넣을 수 없는 구조가 되고 있다. 주택 시장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소득 계층은 5만~7만5000달러 사이에 있는 소비자다. 이들이 감당할 수 있는 주택 가격은 32만5110달러다. 이 매물의 비중은 6%에 불과하다. 이 가격대의 매물은 2019년과 비교하면 63%가 급감했다. 그렇다고 7만5000~10만 달러 소득 계층의 형편이 크게 나아진 것도 아니다. 보고서에 의하면, 이들이 구매 가능한 주택 가격은 43만3480달러다. 그들이 가구 소득의 30% 이상을 주택 관련 비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30년 고정 모기지 대출을 받았다고 가정했을 때 이야기다. 그들이 전국에서 구매 가능한 매물 비중은 51% 정도였다. 이 소득 계층의 구매 경쟁도 매우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물 한 채를 두고 65명의 바이어가 구매 경쟁을 펼쳐야 한다는 계산이 나오기 때문이다. 메트로 지역별로 살펴보면 상황은 더 심각하다. 소득 수준이 5만~7만5000달러인 LA-롱비치 메트로 주민이 살 수 있는 주택 매물은 7266채 중 153채인 2%에 불과했다. 7만5000~10만 달러는 5%포인트 많은 527채 정도였다. 선택의 폭이 50%를 넘으려면 소득 수준이 20만~25만 달러는 되어야 했다. 연소득이 50만 달러면 LA-롱비치 메트로 지역에 나온 매물을 대체로 구매할 수 있었다. 최근에 집값 상승 곡선이 가파른 리버사이드 지역의 경우 10만~12만5000달러 소득 계층은 매출의 41% 정도인 2016채에 오퍼를 낼 수 있다. 북가주인 샌프란시스코-오클랜드 지역의 경우, 5만~7만5000달러 소득자는 2340채 매물 중 68채를 구매할 수 있다. 7만5000~10만 달러 수준이라면 242채 정도였다. 매물 품귀 현상이 극심한 지역인 샌호세-서니베일 지역으로 매물이 511채밖에 안 됐다. 연봉이 20만 달러는 돼야 매물 10채 중 3채를 감당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진성철 기자불가능 소득 소득 계층 소득 수준 주택 매물
2022.02.23. 1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