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자녀 1인당 평균 750달러 지출 예상

 북 텍사스 달라스-포트워스(D-FW) 지역의 올해 ‘백 투 스쿨’(Back-to-School) 시즌 소비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달라스 모닝 뉴스가 보도했다.. 6일 글로벌 컨설팅업체 ‘딜로이트’(Deloitte)의 보고서에 따르면, D-FW 지역 학부모들은 올해 자녀 1인당 평균 750달러를 개학 준비에 지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해의 885달러보다 약 15% 줄어든 수치지만, 미전국 평균 예상 지출액인 570달러를 180달러 가까이 웃도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들이 물가 상승과 고용 불안, 관세 등의 경제 불확실성에 대비해 소비를 조심스럽게 조절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이랜드 빌리지에 위치한 아동복 매장 ‘네온 엘리펀트’(Neon Elephant)의 제니퍼 캡린스키(Jennifer Kaplinsky) 대표는 “최근 개학을 앞두고 고객 방문이 다소 늘었지만, 지난해에 비해서는 소비가 정체된 분위기”라며 “제품을 연초에 미리 들여와 관세 영향을 피한 덕분에 가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딜로이트 조사에 따르면, 올해 경제 상황이 지난해보다 나쁘거나 비슷하다고 응답한 D-FW 소비자 비율은 73%로, 지난해 67%보다 증가했다. 향후 6개월내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응답자 비율도 지난해 약 33%에서 올해 37%로 올랐다. 딜로이트의 소매 담당 전문가 샘 로리(Sam Loughry) 파트너는 “경제 시스템 전반에 불안심리가 존재한다. 다만 북 텍사스 지역은 여전히 강한 소비 여력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제품별로는 의류 지출이 지난해 평균 320달러에서 올해는 281달러로 줄었으며, 기술 제품 관련 지출도 500달러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학용품 지출 감소 폭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구매처는 대형 마트며, 이어 온라인 샤핑몰, 전문 의류 매장 순이었다.   한편, 조사에 따르면 D-FW 지역 학부모 10명 중 7명 이상은 자녀의 요청에 따라 더 많은 지출을 하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상당수는 개학 첫날 입을 옷 구매에 추가 지출을 감수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혜성 기자자녀 인당 소비자 비율 올해 자녀 딜로이트 조사

2025.08.12. 7:12

썸네일

지출 늘고 저축 줄고…소비자 재정 악화

지출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저축이 줄면서 소비자들의 재정이 악화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P2P(개인 간 금융) 대출회사 렌딩클럽이 결제 데이터 정보서비스회사 페이먼트닷컴과 공동으로 조사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소비자들이 감당해야 할 비상 지출이 크게 증가했다.   이들은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지난 5월 발표한 ‘가계 경제적 웰빙 연례 보고서’에서 소비자가 400달러의 비상 지출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조사한 것과 관련해 2013년부터 사용한 기준 400달러가 현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보고서에서 “소비자들이 경험한 예상하지 못한 비상 지출의 3분의 2가 기준인 400달러를 초과했으며, 41%는 800달러 이상을 지출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이어 “소비자의 46%가 예기치 않은 비상사태에 직면해 평균 비상 지출로 지난해보다 16% 증가한 1700달러를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을 거치면서 물가가 급상승해 그만큼 소비자들의 주머니가 가벼워졌다는 것이다.   렌딩클럽 금융전문가 알리아 두덤은 “이번 조사 결과가 연준의 비상 지출 기준 400달러는 지난 10년간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은 데다 팬데믹 이후 거시경제 변동성도 감안하지 않아 소비자의 전반적인 재정 상태를 판단하는데 정확한 수치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월급 생활 소비자와 긴급 지출에 직면한 소비자 비율은 각각 지난해 7월과 거의 변동이 없지만 이 같은 지출로 인해 소비자가 부담하는 평균 비용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평균 차량 수리비는 260달러, 건강 관련 지출은 100달러, 예상하지 못한 고액 청구서나 세금은 1000달러, 주택 관련이나 이사비용은 150달러 증가했다는 것이다.   두덤은 예상하지 못한 비상 상황에 직면한 소비자 가운데 밀레니얼 세대와 고소득층의 비율이 높았다고 전했다.   그는 “차량과 주택을 소유한 고소득층이 예상치 못한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연봉 10만 달러 이상인 소비자가 저소득층보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34% 높았다”고 덧붙였다.소비자 지출 소비자 재정 소비자 비율 최근 소비자들

2023.07.03. 18:4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