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각국 상호관세 행정명령이 오는 7일 0시1분부터 발효된다. 관세는 미국 경제의 두 기둥인 기업과 가계가 나눠 부담한다. 앞으로 소비와 고용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여론조사업체 모닝컨설트가 발표한 2분기(4~6월) 소비자 심리지수(MCSI) 조사에 따르면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 소비심리지수는 전분기 대비 3.1포인트 하락한 105.6을 기록했다. CSI는 100보다 크면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경기가 낙관적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CSI가 하락한 것은 2022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업체는 “2분기 MCSI 하락은 관세 불확실성과 고용불안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관세 협상 타결로 불학실성이 해소돼 3분기 경기가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로버트 번스 현대차 몽고메리 공장(HMMA) 부사장은 한·미 무역협상 결과에 대해 “한마디로 ‘안정'(Stability)이 기대된다”며 “우리뿐 아니라 협력업체들도 공장 운영에 있어 무엇을 해야할지 확실한 자신감을 얻게 됐다”고 전했다. 뉴저지주에 있는 몽클레어 주립대학의 이선형 교수(경제학)는 “많은 제조업체들이 한국에서 미국으로 생산 시설을 이전해 현지 생산 능력과 공급망을 확장하기 위해 애쓰면서 신규 건설사업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 교수는 “단기적으로는 경영 비용이 늘어나 매출에 부정적 영향이 있겠지만, 경쟁력을 갖춘 효율적 공급망을 새로 발굴하는 과정에서 장기적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고 짚었다. 회계법인 아프리오의 시메온 월리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공급업체 수를 줄이고 대규모 물량 계약을 통한 원가 절감, 대출금리 재협상, 시장 다각화 등을 통해 적극적인 비용절감을 모색할 수 있다”고 했다. 반면 관세가 물가 부담을 키울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 않다. 조지아주와 앨라배마 주는 지난해 한국에서 각각 166억달러, 60억달러 상품을 수입했다. 한국산 제품에 15% 관세가 붙는다면 각각 25억, 10억달러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셈이다. 특히 멕시코, 중국, 한국은 조지아의 수입액 1~3위를 차지, 관세 영향이 그만큼 커질 수 있다. 물론 수입상품 대부분이 소비재 보다는 자동차, 전자 부품 등 중간재와 자본재인 점을 고려하면 기업 자체적으로 추가 비용을 상쇄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일부 비용은 소비자들에게도 전가될 수 있다. 사바나 통관회사 MKC의 마이크 최 관세사는 “트럼프 1기 때 대중국 관세가 25%로 높아지자 각 품목 소비자가격 역시 4~7% 오른 바 있다”고 지적했다. 애틀랜타 저널(AJC)은 “기업이 관세 비용을 흡수하면 신제품 개발과 신규 채용에 투자할 여력이 축소된다”며 “어떻게든 기업 지출을 줄이려는 압박 속에서 전반적인 경제 성장과 소비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장채원 기자 [email protected]관세로 물가 소비자 심리지수 여론조사업체 모닝컨설트 관세 협상
2025.08.01. 15:11
지난 2일 미시간대에 따르면 1년 기대인플레이션은 2.9%로, 지난해 12월 3.1%, 11월 4.5%보다 누그러졌다. 이는 앞서 지난 1월 20일에 발표된 예비치와 같으며, 지난 2020년 12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은 2.9%로 지난해 12월 2.9%과 같았다. 한편, 소비자의 심리를 드러내는 소비자심리지수는 크게 개선됐다. 1월 소비자 심리지수 확정치는 79.0으로 직전월의 69.7보다 올랐다. 이는 예비치보다 약간 오른 수준으로, 지난 2021년 7월 이후 최고치다. 향후 경기에 대한 전망을 나타내는 1월 소비자기대지수는 77.1로 예비치보다 높아졌다. 이 지수는 지난해 12월 67.4보다 크게 올랐다. 현재 경제 여건 지수 확정치는 81.9로 예비치보다 약간 내렸다. 그러나 직전월 73.3보다 높다. 미시간대는 “소비자심리는 인플레이션과 개인 소득에 대한 전망이 개선되면서 13% 급등해 2021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1월 상승률보다 높았던 적은 지난 1978년 이후 단 5회 정도였는데 그 중 한번이 지난해 12월에도 14% 정도 오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단기 비즈니스 전망은 27%나 치솟았다”며 “소비자들은 이제 인플레이션이 계속 완화될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미시간대는 “소비자들은 지난 2022년 6월에는 무려 79%가 앞으로 경제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면서도 “소비자들이 향후 경제에 대해 이견을 보였지만 1년 반 전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인플레 기대 기대 인플레 소비자 심리지수 장기 기대
2024.02.05. 1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