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물가 오름세 둔화됐다…11월 소비자물가지수 3.1% 상승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년 전보다 3.1% 올랐다. 근원 물가는 10월(4%)과 같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치가 나오면서 내년 피벗(Pivot·통화정책 전환) 기대가 재차 힘을 받을 수 있게 됐다.   12일 연방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달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했다. 시장 전망치(3~3.1%)에 부합하면서 10월(3.2%)보다 상승 폭을 줄였다. 에너지 가격이 지난달 하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월 대비로는 0.1% 올랐다. CPI 상승률은 지난해 6월 정점(전년 대비 9.1%)에서 올 6월 3%까지 둔화했다. 7월(3.2%)과 8, 9월(각 3.7%)에 수치가 튀었다가 10월에 다시 상승 폭을 줄였다.   블룸버그는 "인플레이션은 최근 몇 달간 대체로 Fed 안팎의 예상보다 더 빠르게 둔화하면서 내년 초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베팅을 부채질했다"고 썼다.   외부 요인에 따라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뺀 근원 CPI는 1년 전보다 4% 올랐다. 지난 10월(4%)과 같은 수치다. 전월 대비로는 0.3%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물가 안정 여부를 판단할 때 장기적 추세를 보여주는 근원 CPI를 많이 참고한다. 이번 CPI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첫날 발표된 만큼 기준금리 결정에 중요한 지표다.   다만 금융 정보회사 스톤엑스의 매튜 월러 글로벌 리서치 담당 팀장은 "Fed는 이번 주 인플레이션 수치와 상관없이 최소 몇 달간 고용·물가 지표를 더 보고 싶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하은 기자소비자물가지수 오름세 물가 오름세 근원 물가 물가 지표

2023.12.12. 21:54

썸네일

물가 상승세 한풀 꺾이나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동월대비 7.7%를 기록했다. 지난 1월 이후 가장 작은 상승폭으로, 시장 예상치(7.9%)도 밑돌았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기대 이상으로 물가가 잡힌 것으로 해석되면서 주가는 폭등했다. 물가가 잡히면 연준이 금리인상 속도를 완화할 수 있다는 기대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10일 노동부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보다 7.7% 상승했다. 전문가 예상치(7.9%)를 하회하는 수치로, 직전달(8.2%)보다 상승 폭도 크게 줄었다. 연준이 주의깊게 살피는 근원물가 상승률(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지표)도 전달(6.6%)보다 줄어든 6.3%를 기록했다. 이 역시 전문가 예상치(6.5%)를 밑돌았다.   휘발유값이 전달대비 4.0% 오르면서 에너지 부문은 1.8% 상승했고, 교통서비스(0.8%), 주거비(0.8%) 등 서비스 물가와 식료품(0.6%)이 오름세였다. 다만 도시가스(-4.6%)가 크게 떨어졌고, 중고차·트럭(-2.4%), 의류(-0.7%), 의료서비스(-0.6%) 등이 물가 상승압력을 억제했다.     물가가 조금씩 잡히자, 금리인상 ‘속도조절론’에도 힘이 실린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후 내년까지 최종 기준금리가 연 6%대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전망했지만, 물가상승률이 예상을 밑돈 만큼 6%까지 금리를 올리지 않아도 된다는 기대감이 시장에서 나왔다. 이날 물가지표 발표 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서 내년 6월 기준금리 상단이 5.00%에 이를 확률은 45.3%로, 5.25%에 이를 확률(28.8%)을 크게 넘어섰다.   뉴욕증시는 이날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고의 랠리를 펼쳤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1201.43포인트(3.70%) 오른 3만3715.37로 거래를 마쳤고, S&P 500 지수는 207.80포인트(5.54%) 상승한 3956.37을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760.97포인트(7.35%) 뛴 1만1114.15로 마감했다. 이날 다우 지수는 2020년 5월 이후 최대폭 상승했고,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의 상승폭은 2020년 4월 이후 가장 컸다.   다만 연준의 긴축 기조를 가늠할 결정적 열쇠는 다음달 13일 발표되는 11월 CPI 상승률이다.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 결정(12월 14일) 직전에 발표되는 물가 지표이기 때문이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증시 NYSE 금리 인플레이션 물가 CPI 소비자물가지수 물가상승률 고물가

2022.11.10. 20:43

썸네일

9월 연간 소비자물가지수 6.9% 상승

 9월 연간 물가지수가 두 달 연속 하락하며 6% 대로 내려왔지만, 기본 물가관리 지수인 2%에 비해 아직도 높은 수준이며, 식품비 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태이다.   연방통계청이 19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지수 통계에서 연간 물가지수는 6.9%를 기록했다.   6월 8.1%로 40년 내 최고 기록을 갱신하며 정점을 찍은 이후 7월 7.6%, 8월 7%를 기록했다가 다시 0.1% 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그러나 일반 소비자들은 물가가 내려가고 있다는 것을 느끼기 힘든 상황이다. 그 주 된 이유는 바로 식품비 물가가 작년 9월 대비 11.4%나 급등했기 때문이다. 이는 1981년 8월 11.9%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물가상승률이다. 2021년 이후 10개월 간 상승률보다 더 빠르게 오른 것이기도 하다.   육류는 연간 7.6%, 유제품은 9.7%, 빵제품은 14.8%, 그리고 신선야채도 11.8%가 상승했다.   주거비는 작년 9월에 비교해 6.8%가 상승했다. 운송비도 8.7%가 상승했는데, 이중 휘발유(Gasoline)가 13.2%나 올라 상승을 견인했다.   각 주별 연간 소비자 물가지수를 보면, BC주는 7.7%로 PEI주의 8.4%, 마니토바주의 9.1%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온타리오주는 6.7%, 퀘벡주는 6.5%, 알버타주는 6.2%였다.   여전히 높은 물가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미국이 9월 0.75%포인트의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어, 캐나다도 오는 26일 예정된 기준금리 발표에서 다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커져 보인다.   표영태 기자소비자물가지수 연간 연간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 통계 연간 물가지수

2022.10.19. 14:30

썸네일

1월 물가<소비자물가지수> 7.5% 급등…40년래 최대폭

노동부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7.5% 급등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1982년 2월 이후 40년 만의 최대폭 상승으로, 전망치 7.3%를 상회했다. 전월 대비로도 0.6% 올라 역시 시장 전망치(0.4% 상승)를 웃돌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0% 올랐다.     근원 CPI 상승률도 시장 전망치(전년 동월 대비 5.9%, 전월 대비 0.4%)를 넘었다.   자동차, 에너지, 식료품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전방위적인 물가상승이 이어졌다.   연료유 가격은 전월 대비 9.5%, 전년 동월 대비 46.5% 급등해 가장 높은 오름폭을 기록했다. 전체적인 에너지 비용은 전월보다 0.9%, 전년 동월보다 27% 각각 상승했다.   지난해 상반기 인플레이션의 ‘주범’이었던 중고차 가격은 이번에도 전년 동월보다 40.5% 치솟았으나, 전월 대비 상승폭은 1.5%로 축소됐다. 식료품 물가는 전월보다 0.9%, 전년 동월보다 7% 각각 올랐다.   전체 CPI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거 비용은 전월보다 0.3% 올라 지난해 8월 이후 최소폭 상승했으나, 1년 전보다는 4.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소비자물가지수 최대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최대폭 상승 식료품 물가

2022.02.10. 21:38

물가상승에 가구당 월 250불 더 쓴다

  연방 노동부의 10일 발표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작년 동월보다 7.5% 급등해 지난 1982년 2월 이후 40년 만에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     마켓워치가 무디스 애널리스틱스의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7%의 인플레이션을 지난 2018, 2019년의 평균 인플레이션 2.1%와 비교할 경우 가구당 월평균 250달러, 연평균 3000달러를 추가 지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플레이션 영향은 연령대별로도 차이를 보여 45~54세가 월평균 305달러를 추가 지출하고 있어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65세 이상의 추가 지출 부담은 월평균 194달러에 그쳐 45~54세의 추가 부담률이 57% 더 높았다.   분야별로 지난달 물가 상승률을 살펴보면 아파트 임대료가 0.5% 뛰며 20년 만에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전기요금도 4.2% 올라 15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나타냈는데 지난해 동기보다 10.7%가 급등했다.     가구 및 용품은 1.6%가 뛰며 1967년 이후 한 달 상승 폭으로는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계란, 시리얼, 유제품 등 식료품도 0.9%가 올랐다.   인플레이션 주요 요인 중 하나인 자동차의 경우 신차 가격 상승세는 지난달 주춤했으나 중고차값은 1.5%가 올라 1년 전보다 41%가 폭등했다. 신차는 지난해보다 12.2%가 오른 상태다.   하지만 이같은 물가 상승률이 조만간 둔화할 것이라는 희망적인 전망이 제기됐다.   팬데믹 전반에 걸쳐 높은 인플레이션을 야기시키고 있는 공급망 문제가 곧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무디스의 경제연구 시니어 디렉터 라이언 스위트는 “공급망 스트레스가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몇 가지 보이기 시작했다. 만일 지속된다면 올해 급등한 인플레이션을 낮추는 핵심 원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근로자들이 치솟는 생활비 감당을 위해 높은 임금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통해 추가 비용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함으로써 인플레이션 악순환이 계속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낙희 기자생활비 인플레 인플레이션 소비자물가지수 물가 NAKI 박낙희

2022.02.10. 20:4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