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럽이 지난달 3~16일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가 현안 여론조사에서 52%가 소셜시큐리티의 미래에 대해 "크게 우려한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9%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15년 만에 최고치다. 응답자들이 가장 우려한 현안으로 꼽은 5가지는 ▶경제(60%) ▶의료비(59%) ▶인플레이션(56%) ▶연방 지출 예산 적자(53%) ▶소셜시큐리티(52%) 로 모두 경제와 관련한 문제였다. 사회보장제도에서 "상당히 우려한다"고 응답한 24%까지 포함하면 전체 응답자의 76%가 우려하고 있는 셈이다. 정당 성향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민주당 지지층과 성향이 유사한 응답자 중에 "큰 우려를 느낀다"는 비율이 지난해 35%에서 올해 65%로 30%포인트 급증했다. 반면 공화당 지지층과 성향이 유사한 응답자들은 같은 기간 50%에서 39%로 11%포인트 하락했다. 갤럽의 메건 브레넌 애널리스트는 "보통 대통령직을 상대 정당이 차지하고 있을 때 우려가 더 커지는 경향이 있다"라고 분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복귀가 민주당 성향 유권자들의 불안을 자극하는 반면, 공화당 지지층의 불안은 완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센서스국 자료에 따르면 75세 이상 고령층은 전체 소득의 약 60%를 소셜연금 등 정부 혜택에 의존하고 있다. 소셜시큐리티 최고치 민주당 지지층 민주당 성향 전체 응답자
2025.04.13. 19:46
전국 사기 단속의 날을 기념해 레티샤 제임스 뉴욕주 검찰총장이 소셜시큐리티 관련 사기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제임스 총장은 ‘전국 사기 단속의 날’인 지난 6일 뉴욕주 소비자들에게 “소셜시큐리티 관련 사기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 것”을 권고했다. 소셜시큐리티 연금 수혜자들은 사기에 특히 취약하며, 사기범들은 다양한 수법을 활용해 피해자를 속이고 사회보장번호 및 은행 계좌 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제공하도록 유도한다는 설명이다. 소셜 연금 수혜자들을 표적으로 삼는 사기범들의 수법은 이렇다. 먼저 사기범들은 사회보장국(SSA) 직원을 사칭하는 수법을 쓸 수 있다. 이들은 의심스러운 활동으로 인해 사회보장번호가 정지됐다고 주장하거나, 체포 또는 혜택 상실을 피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를 확인해야 한다며 사회보장번호나 은행 계좌 번호를 요구할 수 있다. 또 직원을 사칭해 송금 및 기프트카드 등의 수단을 통해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또 경품에 당첨됐다며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수법을 쓸 수도 있다. 해외 복권이나 무작위 추첨 등을 통해 경품에 당첨됐다며 세금을 지불하거나 은행 계좌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그 외에도 “친척인데 곤경에 처한 상황이니 병원비를 충당하기 위해 급하게 돈을 빌려 달라”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돈을 요구할 수도 있다. 뉴욕주 검찰은 ▶SSA는 일반적으로 전화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SSA에서 전화가 왔다면 확인해볼 필요가 있으며 ▶SSA는 일반적으로 기프트카드를 받지 않기 때문에 기프트카드로 정부 기관에 일정 금액을 납부하라고 요구한다면 주의해야 하며 ▶친척이 돈을 요구하면 주변 가족들에게 연락해 상황을 확인할 것 ▶사기 행위가 의심되는 경우 전화를 빨리 끊고, 개인정보를 제공해서는 안되며 ▶사기가 의심되는 경우 즉시 신고할 것 등을 권고했다. 제임스 총장은 “취약한 시니어들의 소셜 연금을 가로채는 것은 잔인한 행위”라며 “모든 이들이 사기 관련 정보를 숙지하고 위험 신호를 스스로 인식해 보호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한다. 사회보장번호나 은행 계좌 번호를 묻는 전화, 이메일 또는 메시지를 받으면 바로 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기 신고는 뉴욕주 검찰 웹사이트(www.formsnym.ag.ny.gov/OAGOnlineSubmissionForm/faces/OAGCFCHome;jsessionid=nKKBfxTyWH2DqgEsyb2AB2HH48hl2Ht1qlxMA9vbW_zNAXyEDMlm!-539424683)에서 할 수 있다. 윤지혜 기자소셜시큐리티 사기 소셜시큐리티 사기 소셜시큐리티 수혜자들 소셜시큐리티 관련
2025.03.10. 20:06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그가 내건 다수의 경제 관련 공약들이 시행될 경우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CNN이 최근 분석한 트럼프 당선인 취임 후 공약 이행 시 개인 재정에 미칠 영향에 대해 항목별로 소개한다. ▶자녀세액공제 확대 지난 2017년 아동 세액공제를 1000달러에서 2000달러로 늘린 세금 감면 및 일자리 개혁법(TCJA)이 내년 말 만료되는 가운데 트럼프 당선인은 이를 연장하거나 새로운 정책을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 JD 밴스 부통령 당선인이 5000달러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나 트럼프 당선인은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구별 재정 부담을 덜기 위해 세액공제 확대가 필요하다고 본다. ▶세금 트럼프 당선인은 TCJA 연장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연장될 경우 중간소득 가구는 약 1000달러의 감세 효과가 있으나 상위 1%는 약 7만 달러의 감세 효과가 있어 고소득층에게 더 큰 혜택이 돌아간다. 또한 연방 소득세를 폐지하고 관세 수익으로 대체하겠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관세 수익만으로는 대체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사회보장 트럼프 당선인은 사회보장(SS)을 한 푼도 삭감하지 않겠다고 했으나 SS, 팁, 오버타임 수당에 대한 연방세는 폐지하겠다고 제안했다. 연방세 폐지 시 단기적인 구제 효과가 있겠지만 SS기금이 2031년까지 고갈돼 근로자들의 혜택이 줄 수 있다. 또한 2035년까지 가입자 혜택이 33% 감소하게 된다. ▶학자금 대출 부채 트럼프 행정부는 바이든의 학자금 대출 탕감 정책을 폐지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과거에 공공서비스 대출 탕감 프로그램을 끝내지 못한 전력이 있어 학자금 대출 탕감에도 큰 관심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물가와 인플레이션 트럼프 당선인이 제안한 수입품에 대한 10~20% 관세 부과는 소비자 물가를 상승시킬 가능성이 높다. 예로 관세 부과 시 90달러짜리 운동화가 106~116달러가 될 수 있다. 또한 불법이민자 대규모 추방은 농업 및 식품 가공 분야 노동력 감소로 인해 식품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건강보험 공화당이 주도하는 의회가 내년 말 만료 예정인 ACA(Affordable Care Act) 가입자를 위한 세액 공제를 연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약 1980만명의 보험료가 오를 수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메디케어 프로그램에서 한 푼도 삭감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어 단기적으로 메디케어 혜택이 크게 삭감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택 트럼프 당선인은 세금 인센티브와 신규 구매자 지원을 통해 주택 소유를 촉진하고 정부 소유 토지 일부를 신규 주택 건설을 위해 개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기업과 부동산 개발 장려를 위해 절차를 간소화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불법체류자 대량 추방은 건설 부문에서도 노동력 감소를 야기시켜 주택 공급에 차질을 주게 되며 결국 집값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주택가격 식품값 트럼프 행정부 자녀세액공제 확대 트럼프 로스앤젤레스 가주 미국 OC LA CA US NAKI KoreaDaily 경제 불체자 추방 주택 인플레이션 세금 과세 소셜시큐리티
2024.11.18. 19:43
내년 1월부터 과거보다 훨씬 낮은 소셜시큐리티 은퇴연금 인상률이 적용될 예정이라 은퇴한 한인들의 걱정이 앞서고 있다. 연방정부는 작년과 올해 소셜연금 인상률을 각각 5.9%와 8.7%로 정해 최근 30년래 가장 높았으나 내년에는 3.2%로 인상폭을 크게 제한했다. 연방정부는 공급난과 높은 물가인상률 탓에 최근 2년간 연금인상률이 높았으나 최근 인플레이션이 둔화되면서 연금 인상폭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상당수의 은퇴 한인들은 아직도 높은 물가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연금 인상률을 높게 책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인 최모씨(75세)는 “배우자와 함께 한달에 2천달러 남짓의 연금으로 살아가는데, 팬데믹 이전에 비해 먹거리 지출액이 30% 정도 늘었지만, 매번 풍족하게 먹는다는 생각을 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한인 이모씨(79세)도 “미국 회사에서 오랫동안 일을 해 부부 합산 4천달러 정도 받고 있지만 고정 수입이 이게 전부라서 내년에 전쟁이 장기화되고 또다시 기름값과 식료품 가격이 오르면 어찌할지 불안하고 걱정된다”고 전했다. 비영리단체 시니어 시티즌 리그에 의하면 2010년부터 2024년 사이 연금 구매력 손실 비율이 20%가 넘는다. 2010년 연금 1천달러가 2024년에는 800달러 정도의 구매력을 지닐 뿐이라는 얘기다. 연금이 인상되더라도 노인 의료보험인 메디케어 납입금도 인상되기 때문에 연금 상각이 지나치게 많을 수밖에 없다. 연방정부는 부담이 가장 큰 메디케어 파트 B의 2025년 인상률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최근 20년 동안 매년 메디케어 인상률이 연금인상률을 앞섰다. 현재 평균 은퇴연금은 1927달러(부부합산 3014달러)로, 내년 인상률 3.2%를 적용할 경우 1976달러(부부합산 3089달러)로 49달러(부부합산 79달러) 인상에 그친다. 미망인 연금도 1788달러에 1832달러로 44달러 정도 오를 뿐이다. 현재 은퇴 연금 수령자는 6800만명, 저소득층 및 장애인 SSI 연금 수령자는 750만명이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연금 소셜시큐리티 소셜시큐리티 은퇴 메디케어 인상률 내년 인상률
2024.11.06. 11:19
소셜시큐리티 연금(소셜연금)이 내년에 2.5% 오른다고 연방사회보장국(SSA)이 지난 10일 발표했다. 이같은 인상률을 적용하면 내년 1인당 월 평균 소셜연금은 1976달러로 월 50달러 가량 늘어난다. 부부의 경우는 올해 월평균 소셜연금 3014달러에서 3089달러로 증가한다. 그러나 2.5% 인상률은 지난 1981년 이후 최대 증가폭이었던 2023년도 인상률 8.7%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소폭이다. 또한 지난해 3.2% 인상률보다도 낮다. 이 때문에 소셜연금 수급자들은 최근 수년 사이에 임대료와 물가 등이 폭등한 점을 감안할 경우 현실과 동떨어진 인상폭이라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한편 은퇴자와 장애인, 사망한 은퇴자의 배우자, 어린이 등 소셜시큐리티 연금 수급자 6800만 명은 오는 12월에 내년 연금 인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편지를 우편으로 받게 된다. 박종원 기자 [email protected]연금 소셜시큐리티 소셜시큐리티 내년 소셜시큐리티 수급자 내년 인상
2024.10.13. 17:18
물가상승률 둔화 조짐으로 내년 소셜시큐리티연금 인상분이 낮아졌다. 11일 NBC뉴스는 시니어시민연맹(TSCL)을 인용해 내년도 소셜시큐리티연금 인상률이 2.63%로 전망된다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달 발표된 예상 인상률 2.57%와 비슷한 수치다. TSCL은 정기적으로 생활비 조정률(cost-of-living adjustment, COLA)을 반영해 예상 인상률을 발표하고 있다. 연방 사회보장국(SSA)은 생활비 조정률 산정 시 7~9월 도심 노동자 평균소득, 소비자 물가지수(CPI) 등을 반영한다. 이를 토대로 매년 10월 최종 생활비 조정률을 발표한다. TSCL은 최근 경제 전반에 물가인상률이 둔화하면서 소비자 부담이 덜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인플레이션 현상이 둔화 또는 끝날 경우 소셜시큐리티연금 인상률도 떨어지는 셈이다. 이와 관련 사회보장국은 물가인상률을 반영해 2024년도 소셜시큐리티연금을 3.2% 인상했다. 물가인상이 가팔랐던 2023년에는 8.7%를 인상하기도 했다. 한편 TSCL은 최근 회원들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34%가 지난 1년 사이 주머니 사정이 어려워 푸드스탬프 등을 찾았다고 답했다. 현재 은퇴자의 약 50%는 소셜시큐리티연금에 의존해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연금 소셜시큐리티 소셜시큐리티 인상률 내년도 소셜시큐리티 내년 소셜시큐리티
2024.07.14. 21:12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소셜시큐리티와 메디케어 축소 의사를 내비쳤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1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국가 부채 해결 측면에 있어 소셜시큐리티·메디케어·메디케이드에 대한 견해가 바뀌었냐는 질문에 “권리 축소 측면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많다”고 답했다. 이어 “부정수급 등 잘못된 권한 관리 측면에서도 할 수 있는 일이 어마어마하다”며 “지금처럼 국가가 나약하다면 소셜시큐리티 역시 약화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최근 선거 유세에서 “소셜시큐리티와 메디케어를 가지고 장난칠 필요가 없다”거나 “메디케어를 항상 수호하겠다”고 한 발언과 대치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아직 소셜시큐리티나 메디케어 관련 공약을 발표하지 않았다. 다만 대통령 시절 장애인에 대한 소셜시큐리티 지출을 삭감하고,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지출을 줄인 바 있다. 해당 발언에 대한 논란이 커지자 트럼프 캠프 대변인은 “낭비를 줄이겠다는 의미”라며 “지난 임기 때와 마찬가지로 소셜시큐리티와 메디케어를 강력하게 보호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구체적 강화 방안에 대해선 언급을 피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인터뷰 보도 후 진행된 연설에서 “트럼프가 또다시 소셜시큐리티와 메디케어 삭감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며 “나는 그를 막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1일 발표한 2024~2025회계연도 예산안에서 연 40만 달러 이상의 고소득자에 대해 소득세율을 높여 메디케어 재정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하은 기자소셜시큐리티 메디케어 메디케어 축소 소셜시큐리티 지출 메디케어 삭감
2024.03.12. 21:15
[그냥 궁금 설문 조사]그냥 궁금 연금 소셜시큐리티 궁금 설문
2023.10.13. 17:35
한인 시니어들도 많이 받고 있는 장애인과 저소득층에게 지급하는 생활보조금(웰페어·SSI)을 초과 지급했다며 반환을 요구하는 통지서가 날아오고 있어 해당 한인들의 주의가 요망된다. 19일 ABC뉴스 등에 따르면 사회보장국(SSA)은 최근 장애 수당을 받거나 SSI를 받는 수혜자들에게 초과지급금 반환을 요구하는 통지서를 발송하고 있다. SSA는 구체적인 규모를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관계자들은 수백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일부 한인들도 반환 통지서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한인 커뮤니티도 웅성거리고 있다. SSA의 이런 조치는 수혜자가 추가 소득이 있거나 생명보험 등 숨겨진 재산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해당자들은 SSA가 시스템 과실로 추가로 수당을 지급했기 때문에 반환할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들은 반환 통지를 받은 상당수가 장애가 있거나 상환 능력이 없는 저소득층이라 당장 월 보조금이 줄어들 경우 생활에 타격을 받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방 정부로부터 장애인 수당이나 SSI를 받으려면 지난 1년간 일한 기록이 없거나 월수입이 1913달러 미만이어야 한다. 또한 개인의 경우 보유한 현금은 2000달러 미만(부부일 경우 3000달러 미만)이다. 생명보험 등 다른 자산을 갖고 있을 경우엔 신청할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규정을 잘 모르고 SSI를 신청해 받았다가 추가 소득이나 예금 등이 발견돼 그동안 받은 수당을 반환하라는 통지를 받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뇌성마비로 지적장애와 심장질환 등을 앓아 월 1065달러의 장애인 수당을 받았던 저스틴 워렐(47)은 6만 달러가 넘는 금액을 상환하라는 통보를 받았다. 워렐은 오하이오의 한 요양원에서 파트타임 주방 도우미로 일하며 월 862달러를 벌어 생활비에 보탰다가 뒤늦게 이를 알게 된 SSA가 반환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 소셜시큐리티 등 시니어 문제를 지원하는 한인 관계자는 “생활보조금 지급 관련 규정이 수혜자가 제출하는 자료에 의존해 정확하지 않다. 또한 한인들의 경우 저축이나 생명보험 등을 갖고 있던 것이 드러나 취소되면서 그동안 받은 베네핏을 돌려달라는 케이스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SSA는 수혜자에게 매달 얼마씩 지급하는 수당을 알려준다”며 “지금이라도 월 수당을 많이 받고 있다면 소셜워커에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한편 SSA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회계연도에 초과 지급된 SSI 액수는 2억6500만 달러가 넘는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소셜시큐리티 반환 초과지급금 반환 반환 통지서 통보 파장
2023.09.20. 21:17
소셜시큐리티 기금이 바닥을 드러내는 시점으로 예상되는 2033년이면 수혜자들의 혜택이 크게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4일 워싱턴DC에 기반을 둔 비영리 공공정책조직 ‘책임있는 연방예산위원회’가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2033년까지 특별한 변화가 없는 한 그 해에 새롭게 은퇴한 맞벌이 부부가 받는 소셜시큐리티 체크 혜택은 월 1450달러(연 1만7400달러) 가량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부부 중 한 명만 소득이 있었던 은퇴 부부의 경우, 연 1만3100달러 가량 혜택이 줄어들 것으로 계산됐다. 위원회는 “평균적으로 받는 혜택이 약 23% 삭감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소셜시큐리티 혜택 감소는 체크를 받는 약 5000만명의 시니어들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위원회는 “노인 빈곤율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며 “문제가 커지지 않도록 하려면, 세금을 인상하거나 은퇴 연령을 높이는 등의 방안을 시행해 소셜시큐리티 자금 부족을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국의 소셜연금 인구는 근로 인력을 앞지르고 있어서 연방정부가 거둬들이는 소셜시큐리티 세금보다 쓰는 돈이 더 많아지고 있다.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소셜연금 과세 소득 상한선(2023년 16만200달러)을 없애거나 높여 과세 대상 범위를 확대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베니핏 자격이 발생하는 만기은퇴연령(FRA)을 70세까지 높이자는 의견도 나왔지만, 반발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김은별 기자소셜시큐리티 기금 소셜시큐리티 기금 소셜시큐리티 혜택 소셜시큐리티 세금
2023.08.14. 18:02
은퇴자를 위한 소셜시큐리티연금(Social Security payments)을 최대 4주 빨리 주는 핀테크 업체가 눈길을 끌고 있다. 스타트업인 ‘찰리(charlie)’는 62세 이상 시니어를 대상으로 소셜 연금에 특화된 금융 서비스를 홍보하고 나섰다. 이 업체는 은퇴한 시니어를 대상으로 ‘우리 회사에 계좌를 만들면 소셜 연금을 4주나 빨리 받을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업체에 따르면 영업 및 서비스 방식은 간단하다. 우선 업체 측은 62세 이상으로 소셜 연금 수급 대상자면 누구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시니어는 업체 온라인 웹사이트 또는 앱으로 가입해 계좌를 개설한 뒤, 이를 소셜 연금 자동이체 계좌로 설정하면 된다. 업체 측은 고객이 소셜 연금 자동이체 계좌로 설정하면 최대 4주 빨리 해당 연금을 입금해준다고 설명했다. 연방 사회보장국(SSA)이 수급자 생년월일에 맞춰 매달 2~4주 수요일에 소셜 연금을 자동이체하지만, 업체 측은 고객에게 매달 첫 주에 해당 금액을 미리 서비스하는 방식이다. 특히 업체 측은 해당 서비스 이용료나 계좌 유지비가 모두 무료라고 강조하고 있다.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의해 계좌당 25만 달러까지 예금을 보장한다. 이밖에 계좌 예치금의 최대 3% 이자, 전국 ATM 55만 개 이용료 무료 서비스도 제공한다. 한편 은행업 승인을 받은 핀테크 업체 소파이 테크놀로지(SOFI)도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이 SOFI 계좌를 급여 자동이체로 지정하면, 이자율 4.5% 및 급여 이틀 전 입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연금 소셜시큐리티 소셜시큐리티 자동이체 소셜시큐리티 수급 서비스 이용료
2023.07.31. 2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