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술잔에 담은 한류 맛…K소주 날개 달았다

가주 주도 새크라멘토 의사당과 주변이 ‘달콤 쌉싸름한’ 소주 맛에 빠졌다.     가주 상원 최석호 의원(37지구)이 주도한 ‘소주의 날(Soju Day)’ 결의안이 지난 25일 선포됐다.     이 결의안(SCR 95)은 매년 9월 20일을 소주의 날로 지정해 국내에서 판매되는 소주는 물론 이와 연관된 한국 문화를 잘 알리고, 함께 누리자는 것이 취지다.     상원에서는 21명의 민주 공화 의원들이 참여했으며, 하원에서는 LA와 오렌지카운티 한인타운을 관할하는 마크 곤잘레스(54지구), 섀런 쿼크-실바(67지구) 의원이 공동 저자로 함께 해 의미를 더했다.     최 의원은 법안 통과에 대해 “소주는 한국인들의 희로애락을 담은 술로 오랜 시간에 걸쳐 그 문화를 이어왔으며, 미국에서 가장 많은 한인이 거주하는 이곳 가주에서도 사랑받고 있다. 결의안을 통해 이미 사랑을 받는 소주가 더 많은 이들에게 알려지며 한류의 물결을 강화하는 촉매제가 되길 기대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주 상원 의원들은 결의안 통과와 함께 의회를 방문한 한인사회 리더와 주류 업계 관계자들에게 박수를 보내기도 했다.     이날 최 의원은 저녁 내내 소주 세일즈맨으로 나서 주변 동료들과 행사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이날 오후에는 의사당 인근 소재 연회장인 스탠퍼드 맨션에서 한국 식품 전시와 함께한 시음회가  열렸으며, 오후 7시에는 의회 안팎 인사들과 교육계, 한인사회 리더들이 모여 축하 만찬을 열었다. 주 상하원의원들과 보좌진, 커뮤니티 인사들은 한국 전통 무용과 과일 소주의 상큼한 맛을 즐기며 탄성을 연발했다.     소주의 날 결의안을 가장 먼저 제안했던 제임스 갤러거(3지구, 새크라멘토 밸리) 주 하원의원도 시음행사에 참여해 뿌듯함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농부의 집안에서 태어나 자라면서 좋은 곡식으로 만든 술이 커뮤니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잘 알고 있다”며 “소주는 먹고 마시고 즐기는 것에 끝나지 않고 우리 모두에게 경제적인 윤택함도 주게 될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해 박수를 받기도 했다.     시음회에서는 소주 이상의 기대와 바람도 나왔다.     한인 남편이 자랑스럽다고 밝힌 로웨나 토먼앵 가주 커뮤니티칼리지 부총장은 “이민 1세로 미국에 정착한 시아버지의 모습을 잘 기억한다”며 “한류와 소주의 성공이 결국에는 학교 시스템에서의 한국어, 한국 역사 교육 발전으로 이어지면 더 좋겠다”고 바람을 전했다.     새크라멘토 카운티 수퍼바이저의 비서실장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참석자는 “이토록 다양한 과일 소주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식품점이나 대형 체인점에서 자주 보인다면 미국인들이 반드시 좋아하게 될 술이 분명하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들도 한국의 쓴 소주가 이토록 미국에서 관심과 사랑을 받게 될 줄 몰랐다.     김경동 롯데칠성음료 미주법인장은 “한류 바람이 없었다면 좋은 소주 맛을 이렇게 알릴 수 없었을 것”이라며 “이제야말로 진정한 맛과 멋, 품질로 우리 소주의 지위를 한껏 올려놓을 기회가 왔다”고 밝혔다.     실제 수많은 종류의 국산 하드리커와 유럽산 와인 등 전 세계 모든 주류가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에서 한국의 소주가 이룩한 기록은 주목받을 만 하다.     한인사회에서부터 소주의 시작은 쉽지 않았다. 70~80년대 이민 초기엔 비싸고 귀한 술이었다. 일주일 동안 배를 타고 오는 것은 물론 하드리커로 분류돼 비교적 높은 관세를 감당해야 했다. 식당에서 고국 추억을 되새기며 소주 맛이라도 보려면 한 병에 10달러 이상을 내야 했다. 당시 설렁탕 한 그릇에 4~6달러 하던 시절이니 일부 주당들은 조심히 아껴먹는다는 말도 하곤 했다.     지난 2000년 이후 대규모로 유통망이 개선되고 수출 규모도 커지면서 한인 마켓에서 2~3달러대 소주들을 집어 들 수 있게 됐다.     종류도 다양해졌다. 초창기 대형 업체인 진로가 섭렵하던 미국 소주 시장에는 롯데를 비롯해 보해, 무학, 한라산 등 10여 개 넘는 회사들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참고로 현재 미국은 한국 소주를 수입하는 나라 중 2위(1위는 일본)를 차지하고 있다. 그 뒤는 중국과 베트남, 필리핀 순이다.     한국농수산물유통공사(aT)에 따르면 통계 수치가 나오기 시작한 지난 2018년부터 소주의 미국 수출은 꾸준히 늘기 시작해 2024년에는 무려 9103톤(총 2491만9000달러)을 기록했다. 〈그래프 참조〉   특히 주목할 수치는 과일향을 첨가한 과일 소주의 수입이 꾸준히 늘었다는 점이다. 2024년에 최초로 기존 소주보다 많은 9592톤의 수출을 기록했다.     전통 소주보다 알코올 도수를 줄인 과일 소주의 판매량 신장은 또 다른 숙제도 남긴다.     도수를 6~8도쯤으로 줄이면서 국내 시장 확대를 이뤄냈지만 알코올 주정에 근거하지 않은 와인 바탕의 소주가 속속 등장했다.   한국에서 제조돼 미국에 수입된 경우도 있지만 10여 개 업체들이  국내에서 제조해 판매하는 소위 ‘미국 소주’가 인기를 얻으며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일례로 플로리다에 본사를 두고 있는 J모 소주 브랜드는 와인을 바탕으로 만들었다고 제품 포장에 명시했지만, 여전히 브랜드 이름에는 소주(Soju)를 포함시켰다. 박스 포장에도 한글로 ‘소주’를 병기해 K-드라마에 익숙한 소주 팬들에 어필하고 있다. 맛과 향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린다.     주 상원의 결의안 통과를 지켜본 백유태 aT센터 LA지사장은 “업계 내에서는 일부 불편한 신경전이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한국 제조사들의 수출 활동에 전통적인 소주의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며 “다만 소비자들의 입맛과 취향이 자연스럽게 기준을 제시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이날 소주의 날 결의안 통과와 주 의회 구성원들의 시음을 지켜본 전문가들과 한인 리더들은 다른 주로의 관련 활동 확산과 업계 확대가 기대된다고 입을 모았다.   최인성 기자현장에서 소주 과일 소주 소주 세일즈맨 한인사회 리더

2025.08.26. 23:0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