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우리말 바루기] ‘소고기’일까 ‘쇠고기’일까

직장인 회식 메뉴 1위는 무엇일까? 한 취업포털이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삼겹살이 1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소주와 잘 어울리는 안주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저렴한 가격 때문이라고 한다. 가격에 신경 쓰지 않고 아무 고기나 시켜도 된다면 아마도 삼겹살이 아니라 소갈비나 소등심 등 소고기를 시킬 것이다.   아닌 게 아니라 이 기사를 접한 네티즌 가운데는 “회식메뉴 삼겹살, 살짝 지겹다. 좀 바꾸자” “소고기로 바꾸는 것이 어떨까요” 등의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여기에서 문제 하나. 어떤 사람은 ‘소고기’라 부르고, 어떤 이는 ‘쇠고기’라 하기도 한다. 어떤 것이 맞을까? 둘 다 맞는 말이다. 어느 것을 써도 관계가 없다. 과거에는 ‘쇠고기’만 표준어로 인정하고 ‘소고기’는 사투리로 취급해 ‘소고기’란 말을 오랫동안 쓰지 않았다. 그러나 1988년 맞춤법을 개정하면서 둘 다 표준어로 인정했다(복수표준어).   ‘쇠’는 ‘소의’의 준말이고, ‘소의 고기’가 ‘쇠고기’다. 고기는 소의 부속물이므로 ‘소의 고기’라 부르던 것이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쇠고기’로 변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소고기’라고도 많이 쓰고 있는 점을 감안해 복수표준어로 인정했다. 그렇다고 ‘소’나 ‘쇠’를 아무 데나 똑같이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소의 부속물인 경우에만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선호하는 메뉴인 ‘소갈비’ ‘소등심’은 소의 부속물이므로 ‘쇠갈비’ ‘쇠등심’이라고 해도 된다. ‘소가죽·소기름·소머리·소뼈’ 등도 ‘쇠가죽·쇠기름·쇠머리·쇠뼈’ 등으로 함께 쓸 수 있다.   소의 부속물이 아닌 ‘소달구지·소도둑’은 ‘쇠달구지·쇠도둑’으로 쓸 수 없다. ‘소의 달구지’ ‘소의 도둑’이 아니라 ‘소가 끄는 달구지’ ‘소를 훔치는 도둑’이란 뜻이므로 쇠달구지·쇠도둑은 성립하지 않는다.우리말 바루기 소고기 쇠고기 회식메뉴 삼겹살 직장인 회식 결과 삼겹살

2025.01.20. 18:00

[우리말 바루기] ‘소고기’?, ‘쇠고기’?

어떤 사람은 ‘소고기’라 부르고, 어떤 이는 ‘쇠고기’라 하기도 한다. 어떤 것이 맞을까? 둘 다 맞는 말이다. 어느 것을 써도 관계가 없다. 과거에는 ‘쇠고기’만 표준어로 인정하고 ‘소고기’는 사투리로 취급해 ‘소고기’란 말을 오랫동안 쓰지 않았다. 그러나 1988년 맞춤법을 개정하면서 둘 다 표준어로 인정했다(복수표준어).   ‘쇠’는 ‘소의’의 준말이고, ‘소의 고기’가 ‘쇠고기’다. 고기는 소의 부속물이므로 ‘소의 고기’라 부르던 것이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쇠고기’로 변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소고기’라고도 많이 쓰고 있는 점을 감안해 복수표준어로 인정했다. 그렇다고 ‘소’나 ‘쇠’를 아무 데나 똑같이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소의 부속물인 경우에만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선호하는 메뉴인 ‘소갈비’ ‘소등심’은 소의 부속물이므로 ‘쇠갈비’ ‘쇠등심’이라고 해도 된다. ‘소가죽·소기름·소머리·소뼈’ 등도 ‘쇠가죽·쇠기름·쇠머리·쇠뼈’ 등으로 함께 쓸 수 있다.   소의 부속물이 아닌 ‘소달구지·소도둑’은 ‘쇠달구지·쇠도둑’으로 쓸 수 없다. ‘소의 달구지’ ‘소의 도둑’이 아니라 ‘소가 끄는 달구지’ ‘소를 훔치는 도둑’이란 뜻이므로 쇠달구지·쇠도둑은 성립하지 않는다.우리말 바루기 소고기 쇠고기

2023.07.03. 18:57

쇠고기 값 폭등에 해산물 산다

가뭄과 비용 상승으로 농가들이 소 사육을 줄이면서 미국 내 쇠고기 가격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의 1일 보도에 따르면 농업 전문 은행 라보뱅크는 쇠고기 분쇄육이 2020년 이후 20% 상승했으며, 수요가 많은 올해 여름 사상 최고 수준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올해 파운드당 평균 가격은 5.33달러에 달하고, 내년에는 15~25센트 더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분쇄육뿐 아니라 전체 쇠고기 가격이 급등하면서 이미 기록적인 수준에 근접한 햄버거와 스테이크 가격은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   돼지고기나 닭고기 등 대체재로 눈을 돌리거나 쇠고기 구매 횟수를 줄이고 있다.   위스콘신에 본사를 둔 슈퍼마켓 체인 페스티벌푸드의 켄 위커 신선식품 부문 수석부사장은 “많은 소비자가 가격이 비싼 소갈빗살보다 등심을 사고 있다”면서 “일부는 스테이크나 분쇄육보다 해산물을 더 많이 산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 건 목축업자들이 몇 년 동안 이어진 가뭄과 높은 비용 때문에 소를 덜 사육해 공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가뭄은 네브래스카와 오클라호마, 텍사스주 등 목축업이 발달한 곳에서 특히 심하다.   텍사스에서 암소 200여 마리를 키우는 리사 로버츠 씨는 “가축들에게 물을 공급하는 내 소유지 근처 우물과 개울은 아직 마르지 않았지만, 많은 이웃이 나처럼 운이 좋은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설상가상으로 소를 키우는 데 필요한 연료와 사료, 농기구, 심지어 은행 이자마저 치솟았다.   네브래스카 지역의 농장주 라이언 스트롬버거 씨는 “2014년에는 소 한 마리당 500~600달러를 벌었는데, 올해 초 마리당 이윤이 20달러로 떨어졌고 그나마 최근 약 80달러로 올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 사육되는 소는 근 1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쇠고기 해산물 쇠고기 구매 전체 쇠고기 쇠고기 가격

2023.06.02. 20:55

썸네일

[우리말 바루기] 소고기와 쇠고기

외식 소비가 줄어들며 소고기도 주로 외식으로 즐기는 등심 같은 부위보다 집에서 해 먹을 수 있는 불고기용이나 국거리용 부위의 판매가 늘었다고 한다.   이때 ‘소고기’의 표기를 ‘쇠고기’라고 해야 하는 게 아닌가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고민할 필요 없이 ‘소고기’ ‘쇠고기’ 둘 다 써도 된다.   예전에는 ‘쇠고기’만을 표준어로 삼고 ‘소고기’는 사투리로 여겨 ‘쇠고기’로만 적어야 했다. 1988년 맞춤법이 개정되면서 현실적으로 ‘소고기’라고도 많이 쓰고 있는 점을 감안해 ‘소고기’와 ‘쇠고기’가 모두 표준어로 인정돼 지금은 둘 다 써도 무방하다.   복수 표준어로 인정됐기에 둘 다 쓸 수 있으므로 ‘소-’와 ‘쇠-’를 아무 구분 없이 사용해도 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쇠-’를 쓰면 안 되는 단어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쇠’는 ‘소의’의 준말이다. 따라서 ‘소의’로 풀어 썼을 때 말이 되면 ‘쇠’를 써도 되지만 성립하지 않으면 ‘소’를 써야 한다.   ‘쇠뿔’ ‘쇠가죽’ 등은 모두 풀어 써 보면 ‘소의 뿔’ ‘소의 가죽’이 되므로 ‘쇠’ ‘소’ 둘 다 쓸 수 있다. 그러나 ‘소달구지’ ‘소도둑’은 ‘소의 달구지’ ‘소의 도둑’이 아니다. ‘소가 끄는 달구지’ ‘소를 훔치는 도둑’을 의미하므로 ‘쇠’를 쓸 수 없다.우리말 바루기 소고기 쇠고기 복수 표준어 국거리용 부위 외식 소비

2022.10.09. 13:11

쇠고기 등 일부 육류 30% 이상 폭등

인플레이션을 피부로 체험할 수 있는 시카고 장바구니 물가가 큰 폭으로 뛴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육류 제품의 경우 1년 전과 비교, 무려 3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발표된 연방 노동국 자료에 따르면 시카고 지역의 식품비는 1년 전에 비해 10% 이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육류와 채소 가격의 상승률은 더욱 컸다.     품목별로 보면 육류와 생선, 계란 가격이 13%로 상승폭이 가장 높았다. 과일과 채소 역시 12.4%의 인상률을 나타냈고 비알코올 음료수는 10.3%를 기록했다. 집에서 먹을 수 있는 음식이 8.2%, 유가공품 8.1%, 시리얼과 빵이 7.7% 각각 인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시카고 지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제품은 육류였다. 중서부 전체로 살펴보더라도 계란 1더즌의 가격은 1년 전에 비해 22%나 올랐다.     육류의 경우는 부위에 따라 최소 12%, 최대 38%의 증가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요리되지 않은 쇠고기는 38.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뼈 없는 닭가슴살이 31.2%, 뼈 있는 닭다리 27.6%, 베이컨 26.3%, 간 고기 24.5%, 햄 23.2%, 스테이크 17.7% 인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아이스크림 가격만 1년 전에 비해 7% 가량 하락했다.     이렇게 장바구니 물가가 뛰자 소비자들은 저렴한 품목을 중점적으로 구입하고 있다. 육류 구입을 피하고 빵과 같은 비교적 덜 오른 제품을 구입하는 것.     하지만 계란과 같이 필수적인 제품 가격이 1년 전에 1달러99센트였지만 올해는 3달러99센트로 올라가면서 장바구니 물가 인상의 무게를 실감하고 있다.     한인 식품점 역시 육류 구입에 있어 생고기보다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냉동 식품을 찾는 한인들이 더 많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미국 국내 인플레이션은 최근 40년 새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소비자 물가 지수(CPI)는 지난 3월 기준 1년 전에 비해 7.8%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플레이션의 이유로는 공급망 병목현상과 지속적인 수요의 증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전세계적인 음식 공급망의 붕괴 등이 지목됐다.     Nathan Park 기자쇠고기 육류 육류 구입 일부 육류 시카고 장바구니

2022.04.15. 14:17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