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은 끊임없이 정신을 사용하며 살고 있습니다. 직장 혹은 학교에서 하는 우리 대부분의 활동은 정신적 노동이며 육신적 일은 거의 없습니다. 오늘날 경쟁 시대에 우리는 잘 생각하지 않고 잘 판단하지 않으면 세상에서 성공할 수가 없습니다. 끊임없이 생각하고 염려해야 하는 우리의 삶의 모습은 우리가 좌선을 해보면 이가 그대로 우리 마음에 나타납니다. 수많은 망상, 잡념, 제반 걱정이 바로 그것입니다. 사람들이 휴식을 취할 때도 TV 혹은 YouTube를 보거나 아니면 무엇을 먹거나 남과 대화를 합니다. 헬스장에서 운동할 때도 무엇을 보거나 들으며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세 끼 식사 외에 우리가 무엇을 먹을 때는 배가 고파서 먹기보다 우리 마음이 무료하여 어떤 자극(이 경우에는 맛)과 함께하길 원하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저울에 서 있지 않을 때 저울 바늘이 0을 가리켜야 정상적 저울입니다. 평상시에 가만히 있지 못하는 현대인의 마음은 고장 난 저울과 같습니다. 우리 마음이 보는 것이건, 듣는 것이건, 먹는 것이건, 어떤 생각이건 어떤 것과 항상 함께하고 싶어 하는 것은 중심을 잃은 우리 마음의 모습입니다. 보고 듣고 생각하는 것들로 가득 찬 우리 마음은 항상 피곤합니다. 특히 오늘날 경쟁 사회에서 우리 마음은 진정한 휴식, 참 휴식이 필요합니다. 끊임없이 우리 마음이 생각과 염려, 어떤 정보와 자극으로 가득 차 있는 상태를 부처님은 ‘불타는 마음’으로 비유하셨습니다. 부처님의 유명한 불의 비유 법문(Fire Sermon)에서 “수행자들이여, 이 세상이 불타고 있다. 무엇으로 그리고 어떻게 불타고 있는가? 우리의 눈이 불타고 있고, 우리의 귀와 마음이 불타고 있다. 우리의 귀와 눈 그리고 마음이 욕심과 집착, 화냄과 증오, 무지와 망상으로 불타고 있다. 우리가 집착과 망상을 여의고, 보고 듣고 생각하는 것으로 벗어남으로써 우리는 자유로움을 얻는다.” 말씀하셨습니다. 나무와 같은 어떤 두 가지 물질을 계속 비비면 불이 납니다. 눈과 코, 입과 귀 등의 감각기관이 형상, 소리, 냄새, 생각 등의 외경, 즉 감각 대상과 계속 접촉해 있으면 우리 마음에도 불이 납니다. 우리가 완전히 지쳐버렸다거나 정신이 쇠약해지는 등의 현상은 우리 마음에 불이 난 현상이며, 우리 몸과 마음에 생기(生氣)가 말라버린 현상입니다. 우리가 화장실에 가서 변기에 볼일을 보고 물을 내리듯, 우리 인생에서도 마음의 찌꺼기를 정기적으로 내리고 청소를 해야 하는데, 그 방법이 바로 정신수양입니다. 수양(修養)이라는 단어는 닦을 수(修), 기를 양(養)으로 결합하여 있습니다. 창문이 더러워지거나 거울 위에 먼지가 끼면 이를 걸레로 닦아내듯, 우리의 마음에도 잡념과 망상, 근심, 걱정을 잘 닦아내야 합니다. 이가 바로 닦을 수(修)입니다. 기를 양(養)이란 밭에서 어떤 작물을 기르는 것과 흡사합니다. 우리가 땅에 거름 등을 뿌려 영양분을 공급해 주어 작물이 힘 있게 잘 자라게 하듯, 우리 마음에도 영양분을 공급해 마음의 힘을 기르고 충전케 해야 합니다. 작물을 기르고 양성하듯 우리 마음도 그렇게 기르고 양성해야 합니다. 원불교 3대 종법사인 대산 종사님은 정신수양을 “정신은 쓰는 것이요. 수양은 쉬는 것이다”라고 간단히 정의해 주셨습니다. 항상 마음에 불이 나 있는 우리 정신의 근본 문제점은 너무 계속해서 쓰는 것이기에 참으로 잘 쉬는 진정한 휴식이 현대인에게 필요합니다. 마음을 쉬고 충전하는데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잘 쉬고 잘 충전하는 진리적 방법은 명상과 좌선입니다. 명상과 좌선은 메마른 정신에 물을 대는 역할을 하며 우리 마음에 타는 불을 끄게 합니다. 실지 좌선 수행을 할 때 망상이 가라앉고 물기운(水氣)이 올라오면 입에 상쾌한 침이 돌고 두뇌가 상쾌해지는데 이는 바로 우리 몸에서 불기운(火氣)이 내려가고 물기운이 올라오는 증거입니다. 좌선이건 행선이건, 어떤 형태의 명상이라도 좋습니다. 하루에 30분 혹은 1시간 내어서 이를 규칙적으로 행하면 우리 인생이 참으로 달라질 것입니다. 유도성 / 원불교 원달마센터 교무삶과 믿음 정신 수양 정신 수양 우리 마음 우리 정신
2023.09.14. 17:56
어떤 여자 분이 새 옷을 사서 파티에 참석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새 옷이 예쁘다고 칭찬했습니다. 그런데 친구 한 명이 “그 옷 잘 어울리는데 빨간색이라 좀 뚱뚱해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친한 친구이니 그런 말을 할 수 있다고는 생각했지만 파티 내내 그 친구의 말이 머리에 맴돌았다고 합니다. 다른 모든 이들이 그 옷이 예쁘다고 칭찬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유명인들이 온라인에 떠도는 악성 댓글 때문에 우울증에 시달리기도 하며 심지어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합니다. 온라인에 있는 그들에 관한 댓글을 실제로 보면 90% 이상이 좋은 것이고 소수가 부정적인 것이지만 이들은 저절로 부정적인 것에 마음이 쏠려 심리적 고통을 겪는 것입니다. 일반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살면서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동시에 일어나지만 좋지 않은 것에 마음이 따라가기 십상입니다. 육신인 손과 발은 우리가 자유롭게 쓸 수 있지만, 우리 마음은 우리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근육은 많이 사용할수록 강해집니다. 마음은 근육과는 달리 멈추고 휴식할수록 그 힘, 수양력이 강해집니다. 염불, 좌선, 기도 등이 바로 정신을 쉬게 하고 수양력을 높이는 대표적인 정신수양 과목입니다. 마음을 정지하고 뭉치는 시간이 많을수록 수양력이 쌓이고 마음의 힘이 강해져서 여러가지 어려움, 외경에도 흔들리지 않고 인생에서 우리가 안정과 중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육신이 강한 사람이 육신을 마음대로 움직여 쓸 수 있듯, 우리 마음에도 힘이 쌓이면 우리 마음이 순경, 역경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작은 싹은 바람에 뽑히지만 나무가 크면 바람에 쓰러지지 않습니다. 좌선, 염불, 기도 등을 통해 수양공부를 지속하면, 우리는 어려움 속에서도 낙도생활을 하는 수양의 힘을 얻게 되는데, 이는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라, 기도, 명상 등의 수양 시간을 규칙적으로 가져서 우리 마음을 단련하고 뭉쳐야 가능한 것입니다. 좌선, 염불, 기도 뿐 아니라,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화를 참거나, 헛된 욕심을 참거나, 나쁜 습관을 버리는 등의 인욕 공부를 자꾸하면 마음의 힘이 또한 쌓이게 됩니다. 역경이라는 바람을 잘 이용하면 배를 더욱 빨리 목적지에 도달하게 할 수 있듯, 순경, 역경을 통해 인욕공부를 하여 마음을 단련해서 제 방면으로 수양의 힘을 쌓아야 합니다. 필자의 어머니는 50대 말에 대장암 진단을 받으셨습니다. 암이 이미 거의 말기인 상태인지라 수술도 할 수 없었고 의사는 6개월 이상 살기 힘들 것이라 말했습니다. 어머니께서 여러가지를 미리 준비하고 정리해야 된다고 생각했기에 필자는 정직하게 어머니 암 상태를 말씀드렸습니다. 어머니는 당신 상태의 심각성을 듣고 놀랐지만, 크게 염려하지 않는 것 같았습니다. 어머니는 몸이 강한 분이 아니었습니다. 어머니는 항암 치료를 하지 않고 그냥 죽는 날까지 즐겁게 감사하게 살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저희 식구들은 어머니께서 주변 사람들에게 걱정을 끼치지 않게 하기 위해 겉으로는 쾌활하게 행동하지만 속으로 많이 염려하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어머니께서는 큰 염려를 하지 않고 순간순간 낙도 생활하는 것을 점차 알게 되었습니다. 어머니가 특별 수행인은 아니었지만, 교당을 꾸준히 다니면서 조금씩이나마 좌선, 기도, 염불 등을 평생을 하셨으니 결국 마음에 수양력이 쌓여서 말기암이라는 상황에서도 낙도생활을 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의사의 말과는 달리 어머니는 항암치료도 전혀 받지 않고 6년 이상을 고통없이 살고 가셨습니다. 헬스장에 한 번 갔다고 근육이 튼튼해 지지 않지만 꾸준히 하면 틀림없는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좌선, 염불, 기도를 하거나 현실생활에서 인욕공부를 하는 것도 꾸준히 하면 참으로 우리 마음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마음이 달라져야 습관이 변하고 따라서 인생과 운명이 바뀌게 됩니다. 그리고 모든 것을 성취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유도성 / 원불교 원달마센터 교무삶과 믿음 수양 수양 시간 좌선 기도 우리 마음
2023.07.13. 18:14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머리를 잘 써야 하고 인생의 큰 비전을 가지고 세상을 위하는 뜨거운 가슴을 가졌다고 우리가 좋은 대학에 합격하는 것이 아닙니다. 학교 졸업 후 직장에서 하는 태반의 우리 활동도 정신적이지 육신 활동이 아닙니다. 현대를 사는 우리는 끊임없이 정신을 사용하고 머리를 잘 사용하고 판단하지 않으면 인생에서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현대인들은 다양한 취미를 가지고 기분 전환을 위해 나름대로 여러 활동을 하지만,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공동 습관 하나를 말하자면 이는 아마 끊임없이 생각하는 습관일 것입니다. 깊이 생각하고 현명한 판단 없이 우리가 이 세상에서 성공하지 못하기에 끊임없이 생각하는 것이 우리 습관이 되어 버렸고, 현대사회에서 끊임없이 공급되는 많은 정보가 이런 습관을 강화합니다. 명상하기 위해 좌복 위에 앉아 우리 마음을 보면 한순간도 마음이 가만히 있지 못하고 어떤 생각과 상념을 좇아가는 것이 바로 우리 마음의 습관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선진국 사람일수록 또한 지성적 사람일수록 이런 생각하는 습관이 더 두드러지므로 선진국에서 정신질환 문제도 더 많이 나타납니다. 원불교 3대 종법사이셨던 대산 종사께서는 저녁에 방에서 혼자 계실 때 전등불을끄거나 방을 아주 어둡게 하셨습니다. 이는 전기를 아끼기 위함이라기보다 정신 에너지를 아끼기 위함입니다. 또한 저녁에는 위급한 경우가 아니면 손님을 만나지 않았습니다. 1970년대 유류 파동 이후 한국에서 한 집에 한 등 끄기 캠페인 같은 에너지 절약 운동이 있었습니다. 대산 종사께서는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 생활 가운데 정신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절약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원불교 정전에 ‘정신수양’은 다음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정신이라 함은 마음이 뚜렷하고 고요하여 분별성과 주착심이 없는 경지를 이름이요, 수양이라 함은 안으로 분별성과 주착심을 없이 하며 밖으로 산란하게 하는 경계에 끌리지 아니하여 뚜렷하고 고요한 정신을 양성함을 이름이니라.” 사자는 배가 부르면 바로 앞에서 동물이 있어도 이를 잡지 않고 그냥 편안히 앉아 잘 쉽니다. “최령한 사람은 보고 듣고 배우고 하여 아는 것과 하고자 하는 것이 다른 동물의 몇 배 이상이 되므로 그 아는 것과 하고자 하는 것을 취하자면…” 정전의 말씀처럼 최령한인간들은 먹고사는문제가 해결되어도 끊임없이 남과 비교하며 욕망을 채우기 위해 무리한 일을 하며 잘 쉬지를 못합니다. 많이 배우고 세상에서 성공할 사람일수록 이런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정전의 말씀처럼 “번민 망상과 분심초려와 신경 쇠약이 되며 극도에 들어가서 자살하는 사람도 생긴다”고 하셨는데, 이가 바로 현대인의 모습입니다. 동물보다 인간들이 많은 신경병을 가지고 있는 것도 바로 사람이 ‘취령’하기에 즉 ‘알고자 하는 것, 하고자 하는 것이 많기 때문’입니다. 차도 오래 달리면 엔진이 과열되기에 휴식이 필요합니다. 우리 정신도 잘 쉬어주는 것이 참으로 주요한데, 이 중요성을 잘 아는 사람들은 크게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우리가 수양의 중요성을 머리로는 알지만, 실제 현실적으로 잘 쉬지 못하고 염려와 걱정 속에 사는 근원 이유는 ‘알고자 하는 혹은 무엇을 이루고자 욕심’에 기인합니다. 따라서 정신수양이란 기도, 염불, 명상 등을 하는 것 이전에 우리 인생을 잘 돌아보고 우리 마음에서 헛된 ‘욕심’을 버리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유도성 / 원불교 원달마센터 교무삶과 믿음 수양 근원 근원적 방법 정신 에너지 정신질환 문제
2022.04.14. 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