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한국배 미주 수출 확대에 힘 합친다

한국배 생산자와 수출업체가 힘을 모아서 미주시장 확대에 나섰다.       한국배수출연합이 지난 6일 LA다운타운 인터콘티넨털에서 한국배(K-PEAR) 소비 촉진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한 수출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한국배 생산자 단체 대표, 국내 수입업체,  aT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LA지사, 한국 지자체 미주사무소, 남가주한국기업협회(KITA) 등에서 50여명이 참가해 한국배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한국배 수출은 1986년 천안배 수출단지가 조성되면서 시작됐다. 4년 전 생산자와 수출업체 배수출통합 조직인 한국배수출연합이 출범했다.     한국배수출연합 회원사는 생산자 87개와 수출자 77개 총 164개로 수출통합브랜드 ‘K-PEAR’를 만들어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한국배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한국산 배가 수출 되는 나라는 30개국으로 연 평균 2만7000~3만톤(t)을 수입하고 있다. 한국배 총 생산량의 10~15%가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는 셈이다.     3대 배 수출국은 미국, 대만, 베트남으로 전체 수출 물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최대 수출국은 미국(50%)에 이어 대만(28%) 순이다.       한국배수출연합(의장 박성규, 대표 김길동)이 발표한 한국배 수출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배 총 수출액은 2022년보다 0.2% 증가한 7450만 달러다.   이중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시장에서 2023년 대미 수출액은 2022년 3600만 달러에서 4.3% 증가한 3750만 달러를 기록했다.     박성규 한국배수출연합 의장은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연간 수출량은 약 1만톤(t)”이라며 “한국배는 수출 효자 품목으로 마케팅 강화를 통해 생산량의 30%까지 수출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에 수출되는 주요 배 품종은 원황, 황금, 신화 등 조생종 외 화산, 신고배다. 한국 전체 배 생산량의 95%를 차지하는 신고배는 한국배 수출 물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한국배를 모방한 가짜 상품이 유통되면서 한국배수출연합은 ‘K-PEAR’ 공동 브랜드 스티커 부착, 위조 방지 QR코드, 한국배 공동브랜드 상표권 출원, 재배지 번호 및 농가 ID 부착 등 해외시장에서 한국배 브랜드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한국배수출연합에 따르면 미주시장에서 한인 소비는 안정적이었지만 최근 소비자 세대교체로 소비도 감소 추세다.       한국배수출연합은 “기존 5kg 배 박스에서 3개 패키지 등 다양한 배 포장을 시도 중”이라며 “신품종 판매 확대, 주류마켓으로 판로 개척, 배가공식품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협경제지주, 한국배수출연합, 한국배연합회, 한국배수출주식회사는 이번 달부터 12월까지 미전역 주요 마켓 35개 곳에서 ‘K-PEAR’ 브랜드를 홍보하고 한국산 배 소비촉진 판촉 행사를 진행한다. 글·사진=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한국배 수출 박성규 한국배수출연합 한국배수출연합 회원사 한국배 수출

2024.11.06. 19:19

썸네일

한국 식품업체 40곳, 맨해튼서 바이어 만났다

  #. 30일 맨해튼 파이낸셜디스트릭트에서 개최된 ‘2023 뉴욕 K-푸드 페어’ 현장. 한국식품 수출업체 40개사, 미주지역 바이어 70개사가 행사장을 가득 메웠다. 바이어들은 사전조사 절차를 통해 매칭된 업체들과 열띤 일대일 상담을 이어갔다.     기업간거래(B2B) 행사이지만, 딱딱한 틀은 벗어났다. 테마별 이슈품목 홍보관에서 인스턴트 호떡과 호빵을 눈여겨보던 한 타민족 바이어는 “이건 한국식 도넛이냐”, “어떻게 먹는 제품이냐”, “한국인들도 좋아하는 제품이냐” 등의 질문을 쉴 새 없이 이어나갔다. 행사장 한켠에선 미슐랭 1스타 한식당 ‘주막반점(Joomak banjum)’의 김지호 셰프가 시연을 펼쳤다.   뉴욕 맨해튼에서 한국식품 단독 수출상담 행사가 6년 만에 열렸다.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간 ‘2023 뉴욕 K-푸드 페어’를 개최했다. 2017년 이후 6년 만으로, 참가자는 물론 타민족 바이어도 늘어나 달라진 K푸드의 위상을 실감하게 했다. 캐나다에서 스페인 식품을 수입하는 한 업체(Natisa Imports Inc.)는 우연히 다른 행사에서 K푸드에 관심을 갖게 돼 이번에 뉴욕을 찾았다. 김광석 뉴욕한인회장, 론 김 뉴욕주하원의원, 푸드 인플루언서 등도 현장을 방문해 힘을 실었다.     권오엽 aT 수출식품이사는 “온라인 사전 상담 등을 통해 업체 간 이해도를 높여 상담 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고 전했다. 테마별 이슈품목 전시홍보관 등을 통해 바이어들이 ‘먹고 마시는’ 경험도 할 수 있도록 했다. 행사에 참가한 손대홍 그랜드와이드즈 대표는 “지방자치단체 행사에 비해 엄선된 업체들이었고, 수출에 대한 이해도도 높은 것으로 보여 만족스럽다”며 “떡볶이와 김부각 제품 거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손 대표는 “패키지 디자인이나 타민족들에게 어려운 제품명은 아쉬운 부분”이라며 “수출전문가들이 좀 더 힘써 준다면 K푸드는 더 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한국식품 주요 수출국 중 세 번째다. 지난해 16억3000만 달러 수출규모를 기록했는데, 지난 10년간 연평균 9.4% 고성장을 이뤘다. 김(1억5000만 달러), 쌀가공식품(8600만 달러), 음료(8300만 달러), 라면(7600만 달러) 등 주요 수출품목에 이어 최근에는 떡볶이, 콘도그(한국식 핫도그) 등도 인기를 누리고 있다. 김치도 지난 10년간 10배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며 지난해 2900만 달러 수출을 기록했다.     권 이사는 “K푸드는 ‘맛있고 건강하다’는 프리미엄 이미지가 구축돼 가고 있다”며 “새로운 수출유망품목 발굴과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고 전했다. 트레이더조에서 품절 사태를 빚은 냉동김밥, 아이스홍시, 대체육 등이 대표적인 aT의 육성품목이다. 권 이사는 “최근 한국 대기업들이 미국 현지법인을 세우면서 수출규모 자체는 주춤했는데, 푸드테크·스마트팜 제품 등 세계적인 트렌드 제품을 선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글·사진=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 K푸드 KOREA K푸드페어 수출 한국식품 한식당 한식 KOREANFOOD FOODFAIR

2023.08.30. 16:36

썸네일

하이트진로 '수출의 탑' 등 3관왕…연간 1억불 수출 달성

하이트진로가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지난 한 해 동안 1억 달러 이상을 수출했다.     하이트진로는 한국무역협회가 주관하는 ‘제58회 무역의 날’ 포상식에서 ▶1억 달러 수출의 탑 ▶특별탑(브랜드 탑) ▶수출업체 종사자 포상(산업 포장 수상) 등 3개 부문에서 3관왕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 동안 1억 달러 이상 수출로 ‘1억 달러 수출의 탑’ 수상에 이어 참이슬 소주 수출만으로 1000만 달러 이상 수출한 브랜드에게 수여하는 ‘브랜드 탑’을 수상했다.   또한 하이트진로 미주법인을 통해 세계 주류시장에서 소주시장 개척에 주력해 수출 실적을 높이고 한국 주류문화 전파 공로로 하이트진로 해외 사업본부 황정호 총괄 전무가 ‘산업포장’을 수상해 3관왕을 달성했다.     2016년 소주 세계화를 선포하고 한국 소주 알리기를 본격화한 하이트 진로는 수출 전략 국가 중점 육성과 판매 채널 확대, 국가별 맞춤 프로모션을 지속적으로 진행해왔다.특히, 코로나 19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온라인 홍보, TV 광고 강화(글로벌 통합 유튜브 채널 오픈 등), 가정시장(편의점, 대형마트 등) 확대에 집중하고 발 빠르게 대응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이트진로 해외사업본부 황정호 총괄 전무는 “진로 브랜드를 중심으로 세계 무대에서 프리미엄 소주 브랜드로 발돋움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며 “앞으로 K-주류 문화를 선도하며 세계인에게 진로 소주를 더욱 알리겠다”고 밝혔다.     한편, 하이트 진로 아메리카(법인장 강경태) 측은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브랜드 홍보 및 지속적인 판매망을 구축해왔으며 내년에 이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은영 기자수출 하이트진로 하이트진로 해외사업본부 하이트진로 미주법인 수출업체 종사자

2021.12.09. 20: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