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충분히 익어 떨어질 정도가 된 열매를 뜻하는 순우리말은? ㉠한물 ㉡건들마 ㉢오사리 ㉣아람 ‘㉠한물’은 과일·채소 등이 한창 수확되거나 쏟아져 나올 때를 가리키는 말이다. “요즘 사과가 한물이니 실컷 먹어라”처럼 쓰인다. “그 사람도 이제 한물갔다”와 같이 ‘한물갔다’는 형태로도 많이 사용된다. 이때의 ‘한물갔다’는 전성기가 지났다는 뜻이다. ‘㉡건들마’는 남쪽에서 불어오는 초가을의 선들선들한 바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길가의 꽃들이 초가을 건들마에 춤을 추듯 하늘거리고 있다”처럼 쓰인다. 비슷한 말로는 ‘건들바람’이 있다. ‘㉢오사리’는 같은 작물을 제철보다 일찍 수확하는 일 또는 그런 작물을 뜻하는 말이다. ‘오사리 고추’ ‘오사리 호박’ 등처럼 사용된다. ‘오사리 새우’ ‘오사리 멸치’와 같이 해산물에도 쓰인다. ‘㉣아람’이 정답이다. 밤이나 상수리 등이 충분히 익어 저절로 떨어질 정도가 된 상태 또는 그런 열매를 나타내는 말이다. “밤송이가 저 혼자 아람이 벌어져 떨어져 내렸다”처럼 아람이 활짝 벌어지는 것을 ‘아람(이) 벌다[벌어지다]’고 한다. 아람이 나무에서 떨어지거나 곧 떨어질 상태에 있는 것은 ‘아람(이) 불다’고 한다. ‘아람’은 수확의 계절에 잘 어울리는 순우리말이다. 상호나 단체명 등으로 더욱 많이 사용했으면 한다.우리말 바루기 순우리말 가을 오사리 호박 오사리 새우 오사리 멸치
2024.10.03. 18:50
명절 연휴가 되면 “명절에는 보통 사나흘 정도 쉬었는데, 이번엔 연휴가 길어서 매우 좋았다” “앞으로도 명절 연휴가 네댓새는 됐으면 좋겠다”는 등의 이야기를 한다. 날짜를 순우리말로 바꿔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사흘’을 ‘3일’이 아닌 ‘4일’로 알고 쓰는 이가 많다는 기사가 언론을 통해 보도된 적이 있을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3~4일’ ‘4~5일’ ‘5~6일’ 등을 우리말로 정확히 표현하는 사람은 더더욱 드물 듯하다. 우선 ‘3~4일’은 ‘사나흘’이라고 대부분이 제대로 알고 있다. 그런데 ‘4~5일’은 잘못 알고 쓰는 경우가 많다. ‘나흘이나 닷새가량’은 ‘네댓새’가 바른 표현이지만, ‘너댓새’라고 쓰는 걸 종종 볼 수 있다. 이는 ‘4~5’를 ‘너댓’이라고 잘못 알고 있기 때문으로, ‘네댓’이 바른 표현이다. ‘5~6일’은 ‘대엿새’라고 한다. ‘대엿’은 ‘대여섯’의 준말로, ‘다섯이나 여섯쯤 되는 수’를 의미한다. ‘6~7일’은 ‘예니레’라고 써야 한다. ‘6일’은 ‘엿새’, ‘7일’은 ‘이레’라고 하므로 ‘6~7일’은 이를 합쳐 ‘예니레’가 된 것이다. ‘7~8일’은 ‘일여드레’이다. ‘이레(7일)’와 ‘여드레(8일)’가 만나 이루어진 표현이다. 참고로 ‘9일’은 ‘아흐레’라고 하지만, ‘8~9’일을 나타내는 우리말 표현은 사전에 등재돼 있지 않다.우리말 바루기 순우리말 표현 순우리말 표현 명절 연휴 보통 사나흘
2024.09.23. 19:01
LA시의회가 올해부터 매년 10월 9일을 ‘한글의 날’로 지정해 기념한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세종대왕님께서 무척 기뻐하실 것 같다. 하지만 기쁨은 잠깐이고, 다시 시름이 깊으실 것 같다. 왜냐? 한글이 망가지는 소리가 온 사방에서 요란하기 때문이다. ‘해날, 달날, 불날, 물날, 나무날, 쇠날, 흙날’. 이렇게 적어놓고 작은 소리로 읽어보면 같은 요일 이름이라도 한결 정겹게 느껴진다. 삶에서 우러난 순우리말의 감칠맛 때문이다. 이렇게 맛깔스러운 우리말이 많아졌으면 좋겠는데, 안타깝게도 세상은 반대로 돌아가고 있다. 앞선 선각자들께서 아름다운 우리말을 지키고, 우리 삶에 두루 쓰이도록 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셨다. 가령, 이화여자대학교를 ‘배꽃계집큰배움터’로 하자는 식의 주장부터 따지면, 제법 긴 세월 우리말 사랑이 꾸준히 이어져 왔다. 이어령 선생께서는 평생 이룬 많은 일 중에서 무엇을 가장 보람 있게 여기느냐는 질문에 문화부장관을 하면서 ‘갓길’이라는 낱말을 널리 쓰이게 정착시킨 일이라고 대답했다. 그 많은 업적 중에서 ‘갓길’이라니, 우리말에 대한 짙은 사랑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백기완 선생의 지극한 우리말 사랑도 유명하다. 달동네, 새내기, 동아리, 모꼬지 같은 말들이 선생께서 처음으로 쓴 낱말들이다. 조금 덜 알려진 어여쁜 순우리말로는 땅별(지구), 한살매(인생), 배내기(학생), 덧이름(별명), 새뜸(뉴스), 들락(문), 눌데(방) 등이 있다. 선생께서는 평소 말과 글에서 한자어와 영어, 일본어 같은 외래 어휘를 삼가고 순우리말을 살려 쓰려 애쓰셨다. 아름다운 순우리말 살리기는 글 쓰는 이들의 의무이기도 하다. 훌륭한 작가들께서 우리말 지킴이 역할을 든든히 해주셨다. 많은 시인을 비롯해서, ‘토지’의 박경리 선생, ‘혼불’의 최명희 작가들이 작품을 통해 정겹고 아름다운 순우리말, 특히 토박이 우리말을 지키는 일에 앞장서왔다. 최근의 작가로는 ‘국수(國手)’의 김성동을 꼽을 수 있겠다. 이분들의 작품에는 낱말 사전이 함께 붙어 있을 정도로 감칠맛 나는 순우리말의 보물창고다. 이분들이 이처럼 우리말 지키기에 헌신한 까닭은 말이란 단순히 의사소통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겨레의 얼과 넋이 고스란히 배어 있는 정신의 열매라고 믿기 때문이다. 말이 망가지면 정신도 허물어진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순우리말 지키기는커녕 외래어, 무차별적으로 발명해내는 신조어에 떠밀려 정신을 차릴 수가 없는 지경이다. 세상 모든 일이 그렇지만, 어떤 가치를 바로 세우기는 힘들고 시간이 걸리지만, 망가뜨리기는 한순간이다. 말도 그렇고, 정신도 그렇다. 지금 우리말이 그렇게 속수무책으로 허물어져 가고 있다. 문제는 우리말 망가뜨리기를 나라에서 솔선수범하고, 언론들이 부추기고 있는 현실이다. 정부나 공공기관의 공식 문건에 사용되고 있는 외래어를 모아놓은 자료를 살펴보면, 정신이 아득해질 지경으로 심각하다. 무슨 뜻인지 모를 말도 많다. 최근의 예를 들자면, ‘카르텔’이라는 낱말…. 무슨 뜻인지도 잘 모르겠고, 꼭 이런 말을 써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고위공직자나 정치인이 공식 석상에서 외국어를 마구 사용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도 외국어가 마구잡이로 난무한다. “시리어스한 논의도 별로 못 했어요. 지금까지 어프로치가 좀 마일드한 것 같아요.”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가 한 국제 정상회의 참석에 앞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하신 말씀이다. 아무리 유창한 영어 실력을 자랑하는 분이라지만, 고위 공직자가 공개 석상에서 영어를 남발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배려나 존중이 없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는 지적을 귀담아들어야 할 것이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순우리말 감칠맛 순우리말 지키기 순우리말 살리기 우리말 사랑
2023.10.05. 1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