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음악으로 읽는 세상] 슈베르트 ‘마왕’

슈베르트의 대표적인 가곡 ‘마왕’은 괴테가 지은 서사시에 곡을 붙인 것이다. 이 노래에는 해설자, 아버지, 아들, 마왕 이렇게 네 사람의 대사가 등장한다. 따라서 처음부터 끝까지 똑같은 목소리로 부르면 재미가 없다. 역할에 따라 목소리를 다르게 해서 불러야 훨씬 실감이 난다. 이야기 줄거리를 얘기해주는 해설자는 보통 목소리로, 아들을 달래는 아버지는 침착하고 낮은 목소리로, 겁에 질린 아들은 높고 긴장된 목소리로, 아들을 유혹하는 마왕은 속삭이듯 작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부른다.   그런가 하면 ‘마왕’에서는 노래 못지않게 피아노가 중요하다. 이 노래의 피아노 반주는 셋잇단음표로 빠르게 연주한다. 그것이 마치 힘차게 달리는 말발굽 소리를 연상시킨다. 왼손이 연주하는 낮은 소리는 듣는 사람의 마음을 불안하게 만들고, 피아노 소리가 작아질 때는 어둠 속을 달리는 아버지와 아들의 초조한 마음이, 커질 때는 비바람이 몰아치는 음산한 밤의 풍경이 생생하게 느껴진다. 이렇게 피아노와 노래, 시의 완벽한 결합을 통해 슈베르트는 독일 예술가곡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   ‘마왕’을 쓴 괴테는 음악을 좋아하고, 또 음악에 조예가 깊은 사람이었다. 그런데 그의 예술적 이상은 고전주의였다. 그래서 감정을 과도하게 드러내는 낭만주의 음악을 싫어했다. 그는 낭만주의 음악이 너무 번잡하고, 너무 시끄럽고, 툭하면 징징 짠다고 생각했다. 슈베르트의 ‘마왕’에 대한 평가도 비슷했다. 슈베르트는 ‘마왕’의 악보를 괴테에게 보냈지만 그의 반응은 차가웠다. 작품에 대한 어떤 코멘트도 없이 악보만 달랑 슈베르트에게 돌려보냈다.   하지만 이런 괴테도 말년에는 생각을 바꾸었다. 세상을 떠나기 2년 전에 ‘마왕’을 듣고는 크게 감동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슈베르트는 내 시를 훔쳐간 것이나 다름없어. 괘씸하게도 말이야.” 진회숙 / 음악평론가음악으로 읽는 세상 슈베르트 마왕 보통 목소리 피아노 소리 낭만주의 음악

2024.12.09. 19:14

[음악으로 읽는 세상] 슈베르트

슈베르트는 평생 600여 곡의 예술가곡을 작곡한 ‘가곡의 왕’이다. 물론 그가 가곡만 작곡한 것은 아니다. 교향곡, 실내악, 피아노 독주곡 등 악기를 위한 곡도 많이 작곡했다. 하지만 그의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이상(理想)은 ‘노래’이다. 슈베르트는 악기를 가지고도 노래를 부른다. 세상의 모든 음악이 본질적으로 노래일진대 슈베르트는 그중에서도 가장 노래를 잘 부르는 작곡가라고 할 수 있다.   악기의 특성에 따라 노래가 잘 되는 악기가 있고, 그렇지 못한 악기가 있다. 인간의 목소리는 호흡이 허락하는 한 얼마든지 레가토(부드럽게 이어서 연주하는 것)가 가능한 악기이다. 이 점은 관악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는 호흡의 제약도 받지 않는 완전히 자유로운 레가토 악기이다. 얼마든지 길게 레가토를 할 수 있다.   하지만 피아노는 그렇지 못하다. 피아노는 해머로 줄을 때려서 소리를 내는 일종의 타악기이다. 레가토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악기라는 말이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소리를 지속시켜주는 페달이 발명되었지만, 그 지속력이 인간의 목소리나 관악기, 현악기에 비할 바가 못 된다. 그런데 슈베르트는 피아노 속에서 최대한으로 레가토를 끌어낸다. 멜로디 라인을 유연하게, 프레이즈의 마지막 음까지 음과 음 사이를 부드럽게 이어가며 노래 부르도록 한다.   슈베르트의 ‘즉흥곡’ 작품 90의 제3번이 특히 그런 곡이다. 슈베르트는 여러 곡의 즉흥곡을 썼는데, 그중에서 특히 제3번은 듣는 이에게 피아노로 노래를 부른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게 해 준다. 여기서 피아노는 처음부터 끝까지 낮은 목소리로 부드럽게 노래한다. 피아노곡이지만 멜로디를 인간의 목소리로 불러도 전혀 손색이 없다. 오른손은 멜로디를, 왼손은 반주를 연주하는데, 그 아름답고 명상적인 멜로디를 듣고 있으면 마음속 상처가 치유되는 듯한 느낌이 든다. 진회숙 / 음악평론가음악으로 읽는 세상 슈베르트 노래일진대 슈베르트 관악기 현악기 멜로디 라인

2024.09.09. 18:10

[글마당] 슈베르트의 옆모습

비가 그친 후   여름 저녁 완만하다   숨을 고르는 빛나는 얼굴들   저녁 햇살 머무는 호박빛, 산홋빛 맨해튼 마천루   음표 사이를 빠르게 걷는다   언어들이 음악이 되는   거울 비추듯 살아서 기쁜 미소들   현악 사중주 흐르듯 손을 잡는다 김종란 / 시인·맨해튼글마당 슈베르트 옆모습 저녁 햇살 여름 저녁 맨해튼 마천루

2023.08.18. 21:37

문화원, ‘슈베르트 & 차이코프스키’ 콘서트

뉴욕한국문화원은 뉴욕 클래시컬 플레이어즈와 공동으로 ‘슈베르트 & 차이코프스키’ 콘서트를 개최한다.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맨해튼 W83 오디토리움, 뉴저지초대교회, 퀸즈 플러싱 타운홀에서 펼쳐지는 이번 공연은 세계 3대 음악 콩쿠르로 꼽히는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첼로 부문으로는 지난해 한국인 최초로 우승을 거머쥔 최하영 첼리스트가 협연한다.     김천수 문화원장은 “뉴욕 내 K-클래식 열풍을 이어가고자 한다”고 전했다.     이번 공연 관람은 무료지만, 사전 예약이 필수다. 자세한 정보는 문화원 웹사이트(www.koreanculture.org) 및 뉴욕 클래시컬 플레이어즈 웹사이트 (www.nycpmusic.org)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은별 기자차이코프스키 슈베르트 김천수 문화원장 문화원 웹사이트 뉴욕 클래시컬

2023.05.02. 21:1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