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윙의 대명사로 불리는 어드레스는 스윙을 위한 전초전 자세로 스윙 흐름을 살려주는 인체의 동맥과 같아 어느 한쪽으로 상체가 기울면 스윙 궤도가 바뀌고 탑핑과 팻샷의 원인을 제공한다. 특히 어드레스나 백스윙 때 오른쪽으로 머리가 기울어 위치가 바르지 못하면 스윙이 축소되고 궤도가 변해 백스윙은 물론 다운스윙에서 클럽헤드가 먼저 내려오면서 순간 조절로 볼을 쳐 임팩트 흐름을 끊고 만다. 자세는 스윙의 정표이자 한편으로는 훌륭한 임팩트의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감각과 템포는 스윙 축을 견고하게 하며 팔과 클럽이 일체가 되어 원심력을 만든다. 몸의 움직임이 부드럽게 느껴지는 것은 감각이며 이 움직임을 결정하는 것은 템포다. 감각에 템포가 가해지면 샷은 정확해지고 흐름도 좋아져 장타까지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어드레스 때 양발의 폭을 적당히 해 양쪽 발바닥 안쪽에 체중을 고르게 배분해야 한다. 이것은 우측으로 머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스윙 축을 만들어 주는 기본이다. ‘자세(set-up)는 지면으로부터(grip of the ground)’라는 골프의 명언은 이것을 말한 것이며 체중이 바닥으로 깔려야 스윙 축이 바르고, 임팩트 시 축이 견고해져 장타와 정확도를 기대할 수 있다. 아이언샷은 다운블로우가 필수적이므로, 몸의 중심축(머리)이 샷을 가늠하는 잣대가 된다. 그러므로 샷을 할 때는 자신의 목에 힘이 빠진 상태로 어드레스에 들어가야 하며 이 자세에서 몸을 바르게 세운다는 생각보다는 자신의 목뼈와 척추를 바르게 세워야 의도하는 자세를 만들 수 있다. 만약 머리를 바르게 세우는데 어려움이 따른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어드레스 위치에서 양손과 섀프트가 몸의 중앙에서 왼쪽 허벅지 선상으로 살짝 옮겨지면 체중도 자연히 왼쪽으로 배분, 자세를 바르게 세울 수 있다. 몸을 바르게 세우는 목적은 정상적인 스윙궤도와 볼과 클럽타면이 예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다운스윙에서 볼을 떠 올리듯 타면이 들리는 것은 상체가 우측으로 기울어 생겨나는 실수다. 따라서 상체를 바르게 세울 수 있다면 스윙 전체 흐름은 물론 아크에 견고함과 정확성이 곁들여진다. 특히 백스윙부터 탑스윙까지 원래의 머리위치를 지키지 못하고 몸 전체가 오른쪽 밀려나가는 이른바 스웨잉 현상이 일어난다. 즉 원래의 기본 축에서 오른쪽으로 축이 옮겨진다는 뜻이다. 이로 인하여 스윙궤도의 변화가 오른쪽으로 옮겨지며 비거리 손실은 물론 정확도를 잃고 만다. 이때 부수적으로 하체, 즉 무릎의 밀림 현상도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오른쪽 발바닥 안쪽까지 들리면 다운스윙의 연속성이 없어져 스윙의 버팀목이 중심을 잃고 만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 골프 클럽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스윙 방법 스윙 궤도 스윙 흐름 스윙 전체
2025.09.11. 18:44
샷 동작이나 자세를 스스로 볼 수 있다면 스윙으로부터 파생되는 오류로 인한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어드레스에 들어가면 시선에 들어오는 것은 단지 그립과 양발뿐이고 스윙이 시작되면 이것조차 확인이 어렵다. 사람마다 생김새와 신체구조가 다르듯 같은 스윙을 하는 사람은 없지만 한 가지 공통점은 스윙은 멋지게, 볼은 멀리 치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가짜와 진짜 상품을 비교하면 당연히 진짜 상품이 좋다는 것은 누구나 알지만 골프에서는 예외다. 진짜보다 가짜가 더 좋은 것은 ‘연습스윙’으로, 볼을 치지 않는 상태에서의 스윙은 두말할 나위 없이 우아하다. 하지만 이런 멋진 모습도 볼 앞에 다가서 스윙에 들어가면 얼굴과 몸이 빈 깡통 찌그러지듯 일그러져 스윙을 망치고 만다. 이는 모든 골퍼의 결점이며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다. 축의 회전에 따라 상체가 돌고 손이 같이 움직여야 하는데도 축과는 상관없이 유독 손만을 사용하려는 의식이 스윙 전체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백스윙에서 어깨와 손만을 사용해 스윙을 시작하면 머리가 지면으로 쳐지며 왼쪽 무릎이 앞으로 튀어나와 체중 이동이 불가능해지고 자세가 왼쪽으로 치우치며 첫 단계 실수가 발생한다. 반대로 축을 이용하지만 오른발을 축으로 할 때는 중심축을 벗어나 오른쪽으로 치우치는 이른바 스웨이(sway)가 발생, 이 역시 올바른 샷은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드라이버로 스윙할 때 체중을 양발에 균등하게 배분했다면 몸의 중앙인 목뼈에서 꼬리뼈까지 하나의 중심축이 생겨나며 이것이 회전축 역할을 담당한다. 이 회전축을 적절히 사용하면 클럽헤드가 만들어주는 궤도는 인사이드 인(inside in )으로 손만을 ‘슬쩍’ 들어 올리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축을 이용해 클럽헤드의 바닥 면이 지면에 닿을 정도로 뒤로 낮게 끌어가면 중심축이 흐트러지지 않아 탑 스윙을 정상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만약 클럽 헤드를 낮게 끌지 못하고 지면으로부터 급하게 치켜들면 중심축이 왼쪽으로 이동하며 다운스윙의 궤도를 망치고 만다. 따라서 준비자세를 마친 후 왼쪽 눈으로 볼을 주시하면 자연히 턱이 오른쪽으로 살짝 돌아, 백스윙 때 체중 이동이 용이하고 임팩트 순간 머리 들림도 방지할 수 있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 골프 클럽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티샷 활용 스윙 전체 체중 이동 회전축 역할
2025.07.24. 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