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 김 의원실이 추진한 AI파일럿 프로그램이 한인 노인을 구조하는 성과를 냈다. 12일 론 김(민주·40선거구) 뉴욕주 하원의원이 2023~2024회계연도 주정부로부터 50만 달러와 SK텔레콤의 솔루션 지원을 받아 100명의 한인 시니어에게 나눈 인공지능(AI) 스마트 스피커 ‘누구(NUGU)’의 도움으로 플러싱 한인 시니어 유두수(70)씨를 구조했다고 밝혔다. 이날 의원실에 따르면 유씨는 지난 8일 위염치료제 잔탁(Zantac) 과다복용으로 쓰러졌다. 플러싱 리즈마USA 관제센터는 평소 교류가 활발하던 유씨가 42시간 넘게 응답이 없자 홈케어매니저를 통해 전화를 걸었다. 유씨는 전화를 받아 “괜찮다”고 답했지만, 이내 쓰러졌다. 이때 “아리(인공지능의 이름)야 나 좀 도와줘”라고 말했고, 관제센터는 즉각 홈케어매니저를 통해 911에 신고했다. 덕분에 유씨는 빠른 시간 내 병원으로 이송돼 안정을 되찾았다. ‘누구’는 SK텔레콤이 제작하고, 비영리단체 리즈마재단(LISMA Foundation, 이사장 김민선)이 미국에 유통한다. 응답 기능은 아마존 알렉사와 호환된다. 김 의원실이 퀸즈 지역 일대에 배포한 기계는 주정부 AI파일럿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주정부 자금은 이외에도 홈케어매니저 고용에 쓰였다. 기계를 받을 이들은 메디케이드 수혜자, 시니어 데이케어센터 방문자를 기준으로 선정했다. 의원실은 퀸즈 외에도 많은 시니어가 거주하는 지역에 누구의 보급이 필요하다며 주정부 차원의 예산 확장을 요구했다. 메디케이드 비수혜자에게도 누구를 보급하도록 노력 중이다. 임지윤 론 김 의원실 보좌관은 “시니어 정신건강 문제도 많은데 이것도 해결할 수 있다”며 “더 많은 시니어를 지원하기 위해 펀딩이 더 필요하다”고 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인공지능 스피커 인공지능 스피커 한인 시니어 한인 노인
2024.02.12. 20:36
론 김 의원실이 추진한 AI파일럿 프로그램이 한인 노인을 구조하는 성과를 냈다. 12일 론 김(민주·40선거구) 뉴욕주 하원의원이 2023~2024회계연도 주정부로부터 50만 달러와 SK텔레콤의 솔루션 지원을 받아 100명의 한인 시니어에게 나눈 인공지능(AI) 스마트 스피커 ‘누구(NUGU)’의 도움으로 플러싱 한인 시니어 유두수(70)씨를 구조했다고 밝혔다. 이날 의원실에 따르면 유씨는 지난 8일 위염 치료제 잔탁(Zantac) 과다복용으로 쓰러졌다. 플러싱 리즈마USA 관제센터는 평소 교류가 활발하던 유씨가 42시간 넘게 응답이 없자 홈케어매니저를 통해 전화를 걸었다. 유씨는 전화를 받아 “괜찮다”고 답했지만, 이내 쓰러졌다. 이때 “아리(인공지능의 이름)야 나 좀 도와줘”라고 말했고, 관제센터는 즉각 홈케어매니저를 통해 911에 신고했다. 덕분에 유씨는 빠른 시간 내 병원으로 이송돼 안정을 되찾았다. ‘누구’는 SK텔레콤이 제작하고, 비영리단체 리즈마재단(LISMA Foundation, 이사장 김민선)이 미국에 유통한다. 응답 기능은 아마존 알렉사와 호환된다. 김 의원실이 퀸즈 지역 일대에 배포한 기계는 주정부 AI파일럿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주정부 자금은 이외에도 홈케어매니저 고용에 쓰였다. 기계를 받을 이들은 메디케이드 수혜자, 시니어 데이케어센터 방문자를 기준으로 선정했다. 의원실은 퀸즈 외에도 많은 시니어가 거주하는 지역에 누구의 보급이 필요하다며 주정부 차원의 예산 확장을 요구했다. 메디케이드 비수혜자에게도 누구를 보급하도록 노력중이다. 임지윤 론 김 의원실 보좌관은 “시니어 정신건강 문제도 많은데 이것도 해결할 수 있다”며 “더 많은 시니어를 지원하기 위해 펀딩이 더 필요하다”고 했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인공지능 스피커 인공지능 스피커 한인 시니어 한인 노인
2024.02.12. 19:50
보스, 스피커 발화 위험 프리미엄 오디오 업체 보스(Bose)가 발화 위험으로 88만4000개의 베이스 스피커를 리콜한다. 리콜 대상은 2006년 이전에 제조된 ‘어쿠스티매스(Acoustimass·사진)’, ‘라이프스타일’ 및 ‘컴패니온(Companion)베이스 모듈’ 이다. 이 제품들은 1994년 1월~2007년 4월까지 13년 동안 보스, 보스 웹사이트, 베스트바이, 샘스클럽, 시어스 등에서 판매됐다. 보스는 리콜 대상 제품 사용을 즉각 중단하고 인근 매장에서 무상 수리 혹은 40% 할인된 가격에 보스 사운드바로 교체하라고 권했다.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21건의 발화 사고가 발생했고 이로 인한 부상자는 없었다고 전했다. 다만 카펫, 캐비닛 등 재산상 피해는 일어났다고 밝혔다. 벨비타, 땅콩 성분 미표시 식품업체 몬덜레즈 글로벌은 벨비타(belVita) ‘브렉퍼스트샌드위치 비스킷’에서 라벨에 표기되지 않은 땅콩 성분이 발견돼 자체 리콜을 실시했다. 몬덜레즈는 지난 3일 내부 검사 중 생산라인에서 땅콩 성분의 잔여물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리콜 대상은 ‘벨비타 브렉퍼스트 샌드위치 시나몬 브라운 슈가 바닐라크림’과 ‘벨비타 브렉퍼스트 샌드위치 다크 초콜릿 크림’(사진)으로 소비 기한이 2024 2월25일 제품이다. 업체는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소비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며 당장 폐기하거나 구매 매장에 환불을 요청하라고 강조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전화(855-535-5948)로 문의하면 된다. 정하은 기자스피커 보스 보스 스피커 리콜 보스 보스 베이스
2023.07.05.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