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버스·트롤리 승객수 급증, 7500만회 이용…10.4% ↑

샌디에이고 메트로폴리탄 교통국(MTS)이 운영하는 버스와 트롤리의 승객수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교통국 관계자들을 크게 고무시키고 있다.   MTS에 따르면 지난 6월30일 끝난 2023~24 회계연도의 버스와 트롤리의 승객 이용횟수는 총 7566만3343회로 밝혀졌는데 이는 총 6851만1363회로 집계됐던 2022~23 회계연도에 비해 10.4%나 증가한 수치다.   스티븐 휘트번 MTS 이사회 의장 겸 샌디에이고 시의원은 지난 22일 발표한 성명에서 "최근 승객 수의 증가로 MTS는 향후 더 많은 승객을 맞이할 수 있는 확고한 기반을 조성했다"며"이같은 성공적인 결과는 승객들과 헌식적으로 근무하고 있는 MTS 전 임직원들의 협력의 증거"라고 말하고 "MTS는 보다 많은 승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앞으로도 더욱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MTS에 따르면 2023~24 회계연도 동안 13개 버스 노선에서 20% 이상의 승객이 증가했고 이 중 8개 노선은 100만 회 이상의 이용횟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소년들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유스 오퍼튜니티 패스(Youth Opportunity Pass)'의 이용자 수가 22.7%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지난 1년 사이 가장 많은 승객 수를 기록한 달은 2023년 10월로 총 692만9191회의 승객 이용이 있었고 2024년 5월에는 하루 평균 27만1000명의 승객을 기록한 주가 있었는데 이는 팬데믹 이후 가장 높은 주간 기록으로 밝혀졌다. 팬데믹이 한창일 때는 승객수가 급감하며 수백만 달러의 적자에 시달렸던 MTS가 이제는 건전한 재정운용이 가능한 상태가 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MTS는 향후 수년간은 보다 안전한 탑승환경을 보장하는데 역점을 둔 정책을 펼쳐 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임페리얼 비치와 오타이 메사를 연결하는 새로운 급행버스 네트워크 노선의 도입도 계획하고 있다. 김영민 기자트롤리 승객수 트롤리 승객수 승객 이용횟수 7500만회 이용

2024.08.29. 20:40

썸네일

MTA 통근열차 승객수 팬데믹 이후 최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관할하는 뉴욕일원 통근열차 승객 수가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5일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실에 따르면, 14일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이용객 수는 26만745명으로 코로나19 이후 (평일 기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LIRR 승객 수는 지난주 1일 평균 21만2466명으로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이번 주 그 기록을 넘어선 것이다.     메트로노스 이용 승객 역시 지난 13일 20만9000명으로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14일 이용객 수까지 합치면 이틀 동안 약 50만 명의 승객이 메트로노스를 이용했다.     호컬 주지사는 “이 기록적인 승객 수는 대중교통에 대한 꾸준한 투자를 통해 뉴욕 주민들이 이제는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교통 수단을 경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재노 리버 MTA 회장은 “MTA 통근 열차 서비스는 그 어느 때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다”며 “특히 그랜드센트럴매디슨을 이용하는 통근자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MTA에 따르면 저소득층 밀집지역의 LIRR 이용률도 전년 대비 28% 증가했으며, 메트로노스 열차의 정시 운행률은 99%를 기록했다. LIRR의 올해 정시 운행률은 메트로노스보다 약간 낮은 96%인 것으로 파악됐다.     캐서린 리날디 메트로노스 사장은 “올해 1분기 통근열차의 정시 운행 실적은 역대 최고였다”고 전했으며, LIRR과 메트로노스는 지난 한 주 동안 각각 약 14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하며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기록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윤지혜 기자통근열차 승객수 통근열차 승객수 뉴욕일원 통근열차 역대 최다

2024.05.16. 21:22

MTA, 주말 승객수 기록 경신

MTA 전철이 지난 주말 팬데믹 이후 승객수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31일 “MTA 전철이 지난 28일 약 270만 건의 유료 탑승 건수를 기록했다”며, “이는 2020년 이후 주말 최고 기록”이라고 밝혔다.   뉴욕시 버스 이용 건수도 이날 전주보다 7.3% 증가한 약 85만2000회를 기록했다.     리터드 데이비 NYC트랜짓 회장은 “7주 만에 처음으로 비가 안 오는 토요일이었고, 날씨가 승객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주말 서비스 제공을 늘리고 더 빠르고 안전한 전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지난 주말 전철 이용 승객의 55.2%가 터치형 결제 시스템인 옴니(OMNY)를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MTA에 따르면 전체 전철 이용 승객의 약 절반이 옴니 시스템을 이용해 결제를 하고 있다.     이에 MTA는 뉴욕시 6개 전철역에 옴니 자판기 10개를 설치하고 30일부터 활성화했다. 메트로카드 자판기와 마찬가지로, 승객은 옴니 자판기에서 현금과 카드 등을 사용해 옴니 카드를 구입하거나 충전할 수 있다. 3.25달러에 새로운 싱글 라이드 옴니 티켓을 구입할 수도 있다. 옴니 자판기가 설치된 위치는 ▶7번 전철 정션불러바드역 ▶4·5·6번 라인 86스트리트역 다운타운-브루클린 입구 ▶애틀랜틱애비뉴-바클레이센터 전철역 애틀랜틱애비뉴/플랫부시애비뉴/바클레이센터 및 퍼시픽스트리트/4애비뉴 입구 ▶4·5번 라인 볼링그린역 ▶포드햄로드 전철역 이스트188스트리트/그랜드콩코스 입구 ▶4번 라인 포드햄로드역 등이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승객수 주말 주말 승객수 주말 전철 바클레이센터 전철역

2023.10.31. 21:38

썸네일

MTA 통근열차 승객수, 팬데믹 이전 수준 넘어서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운영하는 메트로노스 열차와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등 통근열차 승객 수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팬데믹 이후 북부 뉴욕이나 롱아일랜드 등 인구밀도가 높지 않은 도심 외곽으로 이주한 뉴요커들이 많아진 가운데, 기업들이 잇따라 일주일에 적어도 2~3회 가량은 대면근무를 권장하면서 통근열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덕이다. 주말이면 통근열차를 이용해 외곽으로 나들이를 떠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점 역시 통근열차 승객 수 회복에 영향을 미쳤다.     20일 MTA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메트로노스 열차에 하루동안 탑승한 승객 수는 총 19만5086명이었다. 지난 15일 기준으로 메트로노스 7일 평균 일일 탑승객 수는 15만7499명이었다. 뉴욕에서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급증하기 직전이었던 2020년 3월 7일 기준 7일 평균 메트로노스 승객 수(15만7160명)를 웃도는 수준이다.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탑승객 수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15일 기준 7일 평균 LIRR 탑승객 수는 16만8726명으로, 2020년 3월 7일 기준 7일 평균 탑승객 수(7만6072명)의 두 배를 넘어섰다. LIRR 탑승객 수는 지난 2월 27일 이후 16일 연속 매일 20만명 이상을 기록하기도 했다. LIRR의 경우 차편을 지속해서 늘렸고, 최근 그랜드센트럴매디슨역으로도 운행하기 시작한 것이 승객 수를 늘리게 된 배경이다.     캐서린 리날디 메트로노스·LIRR 임시 사장은 “많은 사람들이 통근열차가 빠르고 효과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라는 것을 인식하면서 탑승객 수도 크게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하이브리드 근무가 늘어났다는 점을 반영, 월간 승차권 할인과 20회 승차권 등을 판매하기 시작한 것도 뉴요커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한편 이처럼 통근열차 이용객이 크게 늘어난 반면, 뉴욕시 전철 탑승객 수는 여전히 지지부진한 모습이다. 15일 기준 7일 평균 전철 탑승객 수는 308만3179명으로, 2020년 3월 7일(456만1574명)과 비교하면 100만명 이상 적다. 여전히 전철 내 범죄, 노숙자 등에 대한 우려 때문에 전철 탑승을 꺼리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김은별 기자통근열차 승객수 통근열차 승객수 통근열차 이용객 평균 탑승객

2023.04.20. 21:14

뉴욕시 대중교통 승객수 또 최고치 경신

뉴욕시 일일 전철 탑승객 수가 이틀 연속 팬데믹 이후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22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에 따르면 21일 뉴욕시 전철 탑승객 수는 387만5000명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가장 많은 탑승객 수를 기록했다. 지난 20일 전철 탑승객 수가 376만6000명을 기록한 데 이어, 이틀 연속 팬데믹 후 최다 탑승객 기록을 경신했을 뿐 아니라 하루만에 탑승객이 10만명 이상 늘었다.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하루 승객 수는 20만4600명으로, 지난 7일 세웠던 팬데믹 후 최다 기록(20만4000명)을 넘어섰다. 메트로노스 열차는 이틀 연속 하루 18만8000명 이상의 탑승객을 실어 나르고 있다.     MTA 측은 “직장과 학교에 가기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들이 빠르게 늘고 있는 것을 보게 돼 매우 기쁘다”며 “대중교통 탑승객이 늘고 있다는 것은 도시가 정상화한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뉴욕 전철·버스의 터치형 요금 지불시스템인 ‘옴니(OMNY)’ 이용 건수도 통산 5억 탭을 넘겼다. 전날 하루 동안 옴니 이용건수는 144만5000건으로, 역시 옴니 시스템 운영을 시작한 후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뉴욕주와 MTA는 대중교통 안전을 강화해 승객 수 증가세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지난 20일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감시카메라 5400대를 구입, 전철 차량당 2대씩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겠다고 발표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대중교통 승객수 뉴욕시 대중교통 대중교통 탑승객 최고치 경신

2022.09.22. 21:23

전철 승객수 가파른 회복세

9월 들어 뉴욕전철 승객수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 팬데믹 후 최고치를 보였다.     지난 8일 하루동안 뉴욕전철을 이용한 승객이 365만1194명을 기록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36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 같은날 대비 35% 이상 승가한 수치다.     앞선 6일과 7일의 하루 승객수는 각각 300만명과 340만명을 넘겨 8일까지 사흘 연속으로 팬데믹 후 하루 승객수 기록을 경신했다.     주말인 10일과 11일의 경우 하루 승객이 235만명, 173만명을 기록하면서 팬데믹 이전 주말 토·일요일 승객수의 각각 73.2%와 69.0%를 나타냈다.     8일 최고기록 경신후에는 9일 348만명과 12일 338만명으로 약간 주춤했지만, 여전히 330~340만명 수준을 유지했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제노 리버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개학 후 많은 학생과 교사들이 전철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같은 승객 증가는 전체 예산의 큰 비중을 운임 수입에 의존하는 MTA에는 반가운 소식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 하루 550만명 수준에서는 70%에도 미치지 못한다.     앞서 MTA 측은 팬데믹 후 일상복귀에도 예상보다 저조한 승객 회복으로 향후 5년간 예산 적자가 13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었다. 이번 승객수 기록 경신이 이같은 적자폭을 얼마나 메울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MTA가 예산 지원을 기대하는 맨해튼 교통혼잡료 시행 또한 최근 논란이 더해가는 모양새다. 시행되더라도 그 시기는 2023년 말에서 2024년 초로 예정돼 있다.  장은주 기자승객수 회복세 뉴욕전철 승객수 일요일 승객수 하루 승객수

2022.09.14. 19:34

덴버 공항 이용 승객수 전세계 3위

 덴버 국제공항(Denver International Airport)이 올해 상반기 전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 순위 3위에 올라 주목되고 있다. ‘국제공항협의회’(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ACI)의 통계자료를 토태로 덴버공항이 분석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 1월과 6월 사이에 덴버공항의 이·착륙 승객수는 2,470만명을 기록, 전세계 주요 공항 가운데 3번째로 많았다. 이 기간 동안 이용객수가 많았던 공항 1, 2위는 애틀랜타와 댈러스-포트워스 공항이었으며 4위와 5위는 중국 공항들이 차지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에 덴버공항은 전세계에서 16번째로 붐비는 공항이었고 미국내에서는 5위를 기록했었다. 그러나 덴버공항은 올해들어 이용승객수가 다른 어떤 공항보다 급반등했다. 덴버공항측은 그 이유로 덴버공항이 3개 항공사의 미국내 연결 허브로서의 강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들어 항공 여행객수가 회복되고는 있지만 아직도 많은 국가들이 코로나19 여파로 항공여행을 제한하고 있어 항공여행객중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국제 비즈니스 여행객은 크게 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덴버공항의 이용객 급증세는 그러나 여행객들에게는 고통을 안겨 주고 있다. 터미널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데다 가족과 레저 여행객이 많아 탑승수속, 보안검색, 수하물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주말의 경우 붐비는 승객들은 덴버공항의 부족한 주차 공간으로 또다른 불편을 겪고 있다. 덴버공항은 최근 대형 ‘파이크스 피크’(Pikes Peak) 셔틀 주차장까지 일시적으로 재오픈했지만 셔틀버스 운전자를 충분히 채용하지 못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덴버공항을 선호하는 항공 여행의 역학은 세계 공항 순위를 재편했다. 지금까지 국제 항공여행의 허브로 자리매김했던 해변에 위치한 대형 공항들은 여전히 더딘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럽의 주요 공항은 톱 10위권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이번 순위에서 시카고 오헤어공항은 6위, 샬롯 공항은 8위에 이름을 올려 미국내 공항들이 톱 10 중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ACI는 2020년 덴버공항의 연간 총 승객수가 3,370만명으로 1996년 이후 가장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여객 수송 측면에서는 전세계 8위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발생하기전인 2019년의 경우 덴버공항의 이용객수는 기록적인 6,900만명에 달했었다. 한편, 이처럼 이용객수가 크게 늘어나자 덴버공항측은 연방교통안전국(TSA)의 프리체크(PreCheck) 또는 다른 긴급 검색 패스가 없는 승객들은 공항내 보안 검색대를 통과할 충분한 시간을 가지려면 ‘출발 시간’(departure times)이 아닌 항공기 ‘탑승 시간’(boarding times) 최소 2시간 전에 도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덴버공항은 현재 홈페이지에서 실시간 대기 시간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연방교통안전청(Transportation Security Administration)은 ‘MyTSA’ 전화 앱을 통해 각 공항의 대기 시간을 추정해 알려주고 있다. 이 앱에 따르면 덴버공항의 가장 바쁜 시간(대기 시간이 1시간 또는 그 이상인 경우)은 월요일, 목요일, 금요일 아침이다. 또한 일요일에는 대기 시간이 오전 중반부터 이른 오후까지 급증하고 초저녁에 다시 급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은혜 기자미국 승객수 덴버 국제공항 기록 전세계 공항 순위

2021.10.26. 14:44

뉴욕시 대중교통 승객수 회복 갈 길 멀다

 전철과 버스 지연 사태가 직원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지적됨에 따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채용 인력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인력 채용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고, 전철내 범죄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중교통 승객수의 조속한 회복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경제재개 후 전철·버스 등 뉴욕시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시민들은 대중교통 운행 지연과 취소로 불편을 겪고 있다. MTA 통계에 따르면 지난 8월 통근시간대 전철의 89.3%만이 정시운행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같은 수치는 2015년 1월 이후 최저수준을 기록한 것이다.     이러한 정시운행률 저하가 직원 부족에서 비롯돼, MTA 측은 팬데믹 이후 고용 동결과 퇴직 급증으로 인해 크게 감소한 인력을 충원하기 시작했다.     앞서 크레이그 치프리아노 MTA NYC트랫짓 회장 대행은 “채용 인력 확대는 물론, 채용 시기를 앞당기고 실제로 업무에 투입하는 시점도 당기겠다”고 발표했었다.     하지만 대중교통 노동조합 측은 신규 채용이 이뤄지더라도 이수해야 하는 교육과정으로 인해 실제 인력난 해소는 내년 중반 이후에야 해결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또 전철 내 범죄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대중교통 승객수 회복의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뉴욕시경(NYPD) 최신 자료에 따르면 9월 한달간 전철 내 절도사건이 50% 급증하는 등 전철 범죄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철 내 강도사건은 9월 한달 동안 52건 발생해 전달 대비 18% 증가했다.     MTA 측은 이같은 범죄 증가에 대해서 “순찰하는 경찰관 수가 늘었고 모든 역에 감시카메라가 설치돼 있다”면서 “전철이 뉴욕시 대부분의 장소보다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장은주 기자

2021.10.18. 17: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