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부터 뉴욕일원 승용차 통근객들의 부담이 크게 늘 전망이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와 뉴욕뉴저지항만청(PANYNJ, 이하 항만청)이 각각 이사회를 통해 교통혼잡료 시행을 승인하거나 및 요금 인상안을 밝혔기 때문이다. 먼저 MTA는 18일 이사회 회의를 통해 지난 14일 캐시 호컬 뉴욕 주지사가 제안한 기존 대비 40% 할인안(주간 승용차 기준 9달러)을 내년 1월 5일 자정부터 시행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이날 반대 의사를 표한 한 임원은 “톨도 걷고 있지 않은가”라며 “많은 이들에게 부담을 줄 거라는 게 우려된다. 새 대통령이 뉴욕 퀸즈 기반 아닌가. MTA 재정 문제를 위해서라면 그와 연방 차원서 협업하면서 다른 방안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뉴욕뉴저지항만청(NYNJPA)은 앞서 지난 14일 이사회에서 밝힌 2025년 예산안에서 교량과 터널 톨을 올리는 방안을 제안했다. 다음달 12일 항만청 이사회에서 승인되면 뉴저지주와 뉴욕주를 연결하는 모든 교량 및 터널의 통행료가 오른다. 항만청이 상정한 94억 달러 규모 예산안에 따르면 먼저 내년 1월 5일을 기점으로 조지워싱턴브리지, 링컨터널, 홀랜드터널 등 교량과 터널 통행료가 이지패스(EZ-Pass) 이용자 기준 피크 시간대(평일 오전 6~10시, 오후 4~8시, 주말 오전 11시~오후 9시)엔 물가상승에 따른 기존 인상안에 더해 추가로 25센트를 인상할 방침이다. 2019년 9월 이사회가 정한대로 인플레이션을 반영해 당초 내년 1월 5일부터 43센트씩 오르기로 했던 것에 각각 25센트씩 추가 인상을 제안한 것이다. 이에 따라 승용차는 68센트 오른 요금을 내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지패스 장착시 15달러38센트에서 16달러6센트로 오르며, 오프피크 시간대는 현행 13달러38센트에서 14달러6센트로 오른다. 아울러 이지패스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내년 1월 5일부터 미장착 차량의 요금은 승용차 기준으로 18달러31센트로 올린다. 이 요금은 7월 5일까지만 반영되며, 7월 6일부턴 22달러38센트로 추가 인상된다. 인상안에 대해 주민들은 다음달 11일까지 온라인(panynj.gov/content/forms/af/port-authority/2025-public-comments.html)으로 의견을 보낼 수 있다. 항만청은 이번 인상안은 팬데믹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30억 달러에 달하는 적자를 메우기 위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강민혜 기자뉴욕일원 승용차 뉴욕일원 승용차 승용차 기준 항만청 이사회
2024.11.18. 19:27
오늘(17일) 오후 1시 30분쯤 엑스포지션 공원에서 흰색 SUV와 메트로 엑스포 라인 열차가 충돌했다. 충돌 이전의 사건 경위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SUV는 경미한 손상을 입은 것으로 보이며, SUV에 탑승한 사람들과 열차에 탑승한 사람들의 상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KTLA 보도에 따르면, 메트로 대변인 데이브 소테로는 충돌 사고가 서쪽 방향 E 라인에서 발생했으며, 완전 복구될 때까지 단일 트랙으로 열차를 운행한다고 밝혔다. 메트로 측은 열차 운행에 차질이 있을 수 있으니, E 라인 이용 승객은 새로운 운행 정보를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이무영 기자엑스포지션 승용차 열차 메트로 충돌 운행 차질
2024.07.17. 14:33
한국의 승용차 수출이 올 1분기에 크게 늘어났는데, 캐나다가 주요 수출국으로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 관세청이 28일 발표한 '1분기 승용차 교역 현황' 보도자료에 따르면, 총 수출액은 154억 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41.1% 증가했다. 수출대수는 68만 대로 전년동기 대비 31.1%가 늘었다. 주요 수출국에서 금액기준으로 캐나다는 미국에 이어 2번째로 높았다. 그 뒤로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순이었다. 그런데 대 캐나다 수출액은 전년 대비 55.3%나 크게 늘어났다. 이는 미국의 51.5%나 오스트레일리아의 16.6%, 영국의 3.4% 등에 비해 앞선 증가세다. 친환경 승용차 수출액에서는 캐나다의 증가률이 136.4%로 미국의 83.1%, 독일의 90.4%, 프랑스의 42.1%, 이스라엘의 104.9% 스웨덴의 21.4% 등과 비교해도 월등히 높은 증가를 보였다. 1분기 총 친환경 승용차의 수출액은 6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8.4%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데 캐나다가 제일 크게 기여했다. 캐나다로 주로 수출된 승용차 배기량은 1000cc초과~1500cc 이하 소형 휘발유 차량으로 캐나다가 금액으로 1억 200만 달러로 전체의 5%로 미국의 61.5%에어 2번째로 많았다. 또 1500cc초과 2000cc 이하 휘발유 차량에서는 캐나다가 4억 2400만 달러로 전체 비중이 13.1%로 미국에 이어 역시 2번째로 많았다. 2000cc 초과 휘발유 차량에서도 캐나다는 2억 9200만 달러로 전체의 10.2%로 2위에 자리했다. 친환경 승용차는 캐나다가 4억 800만 달러로 전체의 6.7%를 담당하며 4번째로 많았다. 수입에서는 주요 수입 대상국에서 독일, 미국, 영국 순으로 많았고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기록했다. 반면 캐나다는 7.9%가 감소했다. 캐나다는 한국의 자동차 수입 주요 대상국에서 배기량 기준으로 어디에도 5위 안에 들지 않았다. 표영태 기자승용차 전년대비 캐나다 수출액 캐나다 승용차 친환경 승용차
2023.04.28. 13:06
캐나다가 한국의 승용차 주요 수출 대상국가에서 미국에 이어 2번째로 많았으며, 주로 대형 승용차 위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이 30일 발표한 2022년 4분기 및 연간 승용차 교역 현황 보도자료에 따르면 캐나다는 한국의 승용차 주요 수출대상국에서 금액으로나 차량 대수로나 2위를 차지했다. 작년 4분기에 한국의 승용차 수출 규모는 141억 달러로 역대 최대이며 전년동기대비 25.9%나 증가했다. 수출대수도 65만 대로 전년동기 대비 21.9%가 증가했다. 금액 기준으로 주요 수출 대상국은 미국, 캐나다, 호주, 독일 순이었다. 미국은 전체 수출액의 47.8%로 절대적으로 많았고, 이어 캐나다는 6.1%, 호주는 5.9%, 그리고 독일은 3.9%를 차지했다. 캐나다에 대한 수출액은 8억 65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3.1%가 증가했다. 작년 한 해 연간 자동차 수출액은 490억 달러로 전년대비 15%가 증가했다. 수출대수는 231만 대로 전년대비 10.1%가 늘어났다. 연간 수출액에서도 캐나다는 32억 9400만 달러로 주요 수출 대상국에서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그 뒤로 호주, 영국 순이었다. 캐나다는 전년대비 8.7%가 증가했다. 연간 전체 수출액 중 캐나다는 6.7%를 담당했다. 작년 4분기에 배기량별 주요 수출 대상국에서 1000cc~1500cc에서 캐나다는 미국, 벨기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1500cc~2000cc와 2000cc초과 휘발유 차량에서 캐나다는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그런데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등 친환경차 주요 수출국에서 캐나다는 모두 3위 안에도 들지 않았다. 캐나다는 한국의 휘발유 차량은 수입해 와도 한국의 친환경 차량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는 한국 승용차 수출 주요 대상국가인 캐나다에 친환경차를 수출할 수 있는 여지가 남아 있다고 긍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다. 작년 4분기의 친환경 승용차의 수출대수는 15만 7000대로 휘발유 승용차 45만 9000대의 비중 71.1%와 비교해 24.4%로 3분의 1로 결코 적은 수가 아니었다. 연간 기준으로도 56만 1000대로 비중이 24.3%나 됐다. 특히 금액면에서 연간 159억 6100만 달러로 비중이 32.6%여서 단가면으로 보면 휘발유나 경유차량보다 더 높았다. 표영태 기자캐나다 승용차 승용차 수출 한국 승용차 연간 수출액
2023.01.30. 13:10
애너하임 지역에서 아마존 배달용 차량과 승용차 충돌사고가 일어나 승용차 탑승자 한 명이 숨지고 한 명이 다치는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애너하임 경찰국은 어제(26일) 오후 8시경 사우스데일 애비뉴와 오렌지 애비뉴 교차로에서 차량 충돌사고가 일어났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했다. 현장에 도착했을 때 아마존 배달용 밴과 토요타 프리우스 승용차가 파손되어 있었다고 덧붙였다. 목격자에 따르면 사우스 데일 애비뉴 북쪽 방면으로 주행 중이던 아마존 밴이 오렌지 애비뉴에서 서쪽 방면으로 주행하던 승용차를 들이받으며 사고가 일어났다. 승용차 탑승자 두 명이 즉시 인근 병원으로 후송됐으며 이 가운데 60대 여성은 치료 도중 숨을 거뒀다. 아마존 밴 운전자는 다친 곳 없이 현장에 남아 경찰 조사에 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현재 정확한 사고 경위를 파악 중이다. 디지털본부 뉴스랩 박경은아마존 승용차 승용차 충돌사고 밴과 승용차 승용차 탑승자
2022.10.27. 13:03
LA지역에서 고급 승용차를 타고 미행 강도 행각을 벌인 일당 중 1명이 체포됐다. abc7 방송은 LA경찰국(LAPD) 발표를 인용, “LA지역 길거리에서 대낮에 발생한 미행 강도 사건 용의자로 샤이엔 헤일(25)이 지난 6일 체포됐다”고 보도했다. LAPD 관계자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헤일의 집을 수색해 권총 7정, 마약, 현금 2만1000달러 등을 압수했다”며 “나머지 용의자 3명은 계속 수배 중”이라고 전했다. 사건은 지난해 10월 29일 LA지역 이스트 피코 불러바드에서 발생했다. 당시 용의자 4명은 흰색 마세라티 기블리 차량을 타고 피해자의 차량을 쫓았다. 이후 용의자 2명이 이스트 피코 불러바드 인근에서 피해자에게 다가가 총으로 머리를 겨누고 폭행한 뒤 금품을 빼앗았다. 폭행 과정에서 나머지 용의자 2명은 피해자의 차량내에 있던 시계, 노트북 등 60만 달러 상당의 금품을 훔쳐 달아났다. 체포된 헤일은 보석금을 내고 풀려났으며, 오는 8월 4일 LA카운티 지방법원에 출두할 예정이다. 장열 기자강도단 승용차 고급 승용차 미행 강도 강도 행각
2022.04.10. 19:30
포드가 브레이크 페달 이슈로 승용차 3개 모델에 걸쳐 20만대 가까이 리콜한다. 도로교통안전국(NHTSA)의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스톱 범퍼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화로 인해 페달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자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스톱 범퍼가 없으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고도 시동을 걸거나 변속기를 주차(P)에서 다른 기어로 변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을 때 브레이크 후미등을 끄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스톱 범퍼가 없으면 계속 후미등이 켜진 채 주행하게 돼 다른 운전자들을 혼란에 빠트리고 추돌 사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리콜 대상은 2015년형 머스탱, 2014~2015년형 퓨전, 2014~2015년형 링컨 MKZ 등 19만9085대이며 리콜에 대한 문의는 인근 포드 딜러나 전화(866-436-7332)로 하면 된다. 박낙희 기자승용차 포드 리콜 Auto News NAKI 박낙희
2022.01.24. 1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