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주가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하 트럼프) 당선 이후 폭등하면서 시가총액이 1조 달러를 돌파했다. 테슬라 8일 종가 기준 주가는 전장 대비 8.19%가 오른 321.22달러였다. 대선 투표일이었던 화요일 8007억 달러였던 테슬라의 시가 총액은 지난주 내내 가파르게 상승한 끝에 1조1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가 호재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를 적극 지지하며 유세에 동참했고 트럼프의 선거 캠페인에 1억3000만 달러 이상의 자금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테슬라는 ‘시총 1조 달러 클럽’에 2021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다시 합류했다. 현재 시가총액이 1조 달러가 넘는 기업은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등이다. 트럼프는 최대 7500달러 세금공제를 비롯한 전기차에 대한 혜택을 폐지하자는 입장으로 알려졌지만, 머스크가 선거를 돕기 시작한 이후 폐지가 아닌 축소로 입장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자들이 머스크 CEO와 트럼프의 관계가 테슬라에 커다란 도움이 될 것으로 해석하는 이유다. 테슬라가 최근 선보인 자율주행차 사업도 순풍을 달 것으로 보인다. 머스크는 3분기 실적보고를 통해서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연방 승인 절차를 트럼프 행정부와 함께 수립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조원희 기자시가총액 테슬라 테슬라 시가총액 테슬라 주가 현재 시가총액
2024.11.10. 18:55
전 세계 암호 화폐 시가총액이 1년 5개월 만에 1조 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13일 가상화폐 정보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현재 전체 암호 화폐 시가총액은 9260억 달러로 집계돼 2021년 1월 이후 처음으로 1조 달러선 아래로 내려왔다. 암호 화폐 시가총액은 지난해 11월 2조9680억 달러로 정점을 찍었으나, 7개월 만에 2조 달러 이상이 증발했다. 특히 최근 두 달 사이에는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과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이 경제성장을 저해할 것이라고 우려한 투자자들이 위험 자산을 앞다퉈 처분하면서 투매 현상이 가속했다. 최대 암호 화폐인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이날 14% 이상 하락해 2020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2만4000달러 선이 무너졌다.비트코인은 올해 들어서만 50% 하락했고, 지난해 11월 사상 최고가(6만7802달러)에서는 63% 급락했다. 비트코인 다음으로 시가총액이 큰 이더리움도 이날 15% 이상 하락하면서 1개당 1200달러대에서 거래 중이다. 투자회사 하그리브스 랜스다운의 수재나 스트리터 선임 투자·시장 분석가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더 까다로운 상대임이 입증되면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링 위에서 심한 멍이 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암호 화폐를 자사 플랫폼에 맡기면 기관투자자 등에 이를 대출해 18%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광고해온 셀시어스는 “극단적인 시장 여건 때문에” 암호 화폐 인출과 이체 등을 전면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이로 인해 셀시어스의 자체 코인인 셀(CEL) 가격은 하루 만에 50% 이상 폭락했다. 세계 최대 암호 화폐 거래소 바이낸스도 이날 기술적 이유를 들어 비트코인 인출을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바이낸스 창업자인 자오창펑 CEO는 트위터를 통해 30분 안에 문제를 고치겠다고 공지했다가 잠시 후 “초기 예상보다 시간이 좀 더 걸릴 것”이라고 재공지했다. 암호 화폐 거래소 루노의 비제이 아야르 부사장은 CNBC와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직전 하락장 때 80% 폭락했다는 점을 상기시키면서 “앞으로 한두 달은 비트코인 가격이 훨씬 더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암호화폐 시가총액 암호 화폐 비트코인 인출 화폐 거래소
2022.06.13.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