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시 정부와 의회가 버스 파업을 막기 위해 임금 인상에 나섰다. 시정부는 시의회의 임금인상안을 토대로 버스 노조 측과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지난 3일 LA시의회 교통위원회는 찬성 4, 반대 0으로 시내버스 소속 직원 임금인상안을 의결했다. 시의회 소위원회를 통과한 임금인상안은 전체회의를 통해 최종 결정된다. 임금인상안 적용 대상은 LA시 마을버스(DASH), 커뮤터 익스프레스, 시티라이드, LA나우 소속 직원이다. 운전기사, 정비사, 유틸리티 담당자, 행정직원이 적용 대상이다. 임금인상안에 따르면 해당 직군 시간당 임금은 올해 24.14달러까지 오른다. 2024~2025 회계연도에는 25.36달러까지 인상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시내버스 소속 직원 약 360명은 팀스터로컬572 노조에 속해 있다. 시정부 관계자는 5일(오늘) 인상안을 바탕으로 노조 측과 협상을 진행하기로 했다. 한편 시내버스 직원들은 물가인상 등을 이유로 임금인상을 요구해왔다. 지난 3월에는 노조원 투표를 진행해 파업을 결의하기도 했다. 노조 측은 LA시가 남가주 다른 대중교통 종사자 처우에 걸맞은 대우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2023년 LA시내버스 운전기사로 신규채용된 직원 중 3개월 안에 그만둔 비율이 60%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 후 1년 안에 그만둔 비율도 80%에 달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시내버스 la시의회 la시의회 시간당 시내버스 직원들 임금인상안 적용
2024.04.04. 22:39
전국 3대 도시 시카고가 ‘시내버스 100% 전기차 전환’ 방침을 발표했다. 시카고 교통국(CTA)은 22일 “오는 2040년까지 시카고 시내버스 시스템을 전면 전기화할 계획”이라며 “(자원)형평성·환경·지역사회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도벌 카터 교통국장은 “시카고 시는 지난 10년간 전기차 전환 흐름의 선두를 지켜왔다”며 ‘차징 포워드(Charging Forward)’로 이름 붙인 시내버스 전기화 추진 목표를 세우고 다년의 연구조사 과정을 거쳐 이번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CTA는 “지금까지 1억3000만 달러 이상의 기금을 확보했으며 계획 실행에 필요한 정책 기반, 기술 개발, 자금 조달 등의 방안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운행 중인 1800여 대의 시내버스를 전기버스로 전환하는 것이 다가 아니다. 충전 장비 등 전기버스 운행을 지원하고 차량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시설과 설비, 인프라 업그레이드 및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많은 연관 사업에 대한 투자와 세심한 조정도 필요하다. 생각보다 복잡하고 도전적인 사업”이라며 “이 야심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일관성 있는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부연했다. 일간 시카고 선타임스에 따르면 시카고 시는 2014년 처음 2대의 전기버스를 시내버스 노선에 투입했다. 현재 운행 중인 전기버스는 11대, 올해 안으로 14대를 추가할 예정이다. 시카고 시내버스 시스템은 전국 최대 규모이며 이번 계획은 시카고 시의 첫 전기차 전환 로드맵이라고 CTA 측은 밝혔다.시내버스 전기차로 시카고 시내버스 시내버스 전기화 시카고 교통국
2022.02.23. 18:39
미국 3대 도시 시카고가 '시내버스 100% 전기차 전환' 방침을 발표했다. 시카고 교통국(CTA)은 22일 "오는 2040년까지 시카고 시내버스 시스템을 전면 전기화할 계획"이라며 "(자원)형평성•환경•지역사회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도벌 카터 교통국장은 "시카고 시는 지난 10년간 전기차 전환 흐름의 선두를 지켜왔다"며 '차징 포워드'(Charging Forward)로 이름 붙인 시내버스 전기화 추진 목표를 세우고 다년의 연구조사 과정을 거쳐 이번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CTA는 "지금까지 1억3천만 달러 이상의 기금을 확보했으며 계획 실행에 필요한 정책 기반, 기술 개발, 자금 조달 등의 방안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운행 중인 1800여 대의 시내버스를 전기버스로 전환하는 것이 다가 아니다. 충전 장비 등 전기버스 운행을 지원하고 차량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시설과 설비, 인프라 업그레이드 및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많은 연관 사업에 대한 투자와 세심한 조정도 필요하다. 생각보다 복잡하고 도전적인 사업"이라며 "이 야심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일관성 있는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부연했다. 시카고 선타임스에 따르면 시카고 시는 2014년 처음 2대의 전기버스를 시내버스 노선에 투입했다. 현재 운행 중인 전기버스는 11대, 올해 안으로 14대를 추가할 예정이다. 시카고 시내버스 시스템은 미국 내 최대 규모이며 이번 계획은 시카고 시의 첫 전기차 전환 로드맵이라고 CTA 측은 밝혔다. CTA 시내버스는 7개 버스터미널을 기점으로 운행되며 유지•보수 서비스는 도시 남단 파사우스사이드 지구에 있는 중장비 수리 시설에서 제공된다. CTA는 도시의 산업시설 분포상 오랜 시간 '공기의 질'이 이슈화돼 온 남부와 서부 지역 노선에 전기버스를 우선 배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기자시내버스 시카고 시카고 시내버스 전기차 전환 도시 시카고
2022.02.23. 1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