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뉴욕 증시 또 최고치…3거래일 연속 신기록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회의와 빅테크(대형기술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29일 증시가 강세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24.02포인트(0.59%) 오른 3만8333.45에 거래를 마쳐 3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6.96포인트(0.76%) 상승한 4927.93에 거래를 마쳐 지난 25일의 최고치 기록을 넘어섰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전장 대비 127.68포인트(1.12%) 오른 1만5628.04에 장을 마쳤다.   미국의 국채 발행 예상 규모가 시장 전망을 밑돌면서 채권 금리가 하락한 게 이날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방 재무부는 이날 올해 1분기 국채 발행량을 7600억달러로 예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10월 발표 때 제시한 전망치 대비 550억달러 줄어든 규모다. 2분기 국채 발행 예상량도 2020억달러로 제시해 시장 전망치를 하회했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이날 증시 마감 무렵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4.08%로 직전 거래일인 26일 같은 시간 대비 6bp(1bp=0.01%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연준의 기준금리 결정과 빅테크의 실적 발표를 앞둔 것은 이날 투자자들에게 신중함을 유지하게 했다.   연준은 30∼3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현재 금리선물 시장은 이번 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97%로 반영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둔화세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 참가자들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시장에 아직 남아 있는 조기 금리인하 기대와 관련해 어떤 언급을 할지에 대해 더 주목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메타, 아마존, 알파벳 등 주요 빅테크의 실적발표가 이번 주 줄줄이 예정된 점도 이번 주 증시 방향을 결정지을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크리스 라킨 이트레이드 수석 연구원은 “시장이 최근 강세를 유지하려면 빅테크의 실적이 실망을 안기지 말아야 하고 연준이 금리 관련해 시장을 북돋는 소식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최고치 거래일 이날 뉴욕증시 시장 전망치 국채 발행량

2024.01.29. 20:06

썸네일

미국 노동시장 과열 식지 않았다

은행 위기도 미국의 노동시장 과열을 별로 식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5일 발표한 4월 고용상황 보고서를 통해 지난달 비농업 일자리가 25만3000개 증가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8만 개 증가)를 크게 상회한 결과다. 지난 3월 증가폭(16만5000개)도 훨씬 뛰어넘었다.   업종별로는 전문사무서비스(4만3000개), 보건의료(4만 개), 레저·접객업(3만1000개) 등의 순으로 일자리를 많이 늘렸다.   지난 3월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 연쇄 붕괴 사태에도 금융업 또한 일자리가 2만3000개 증가했다.   다만 노동부는 지난 2월과 3월 비농업 일자리를 각각 7만8000개, 7만1000개 하향 조정했다.   실업률은 3.4%로 전월(3.5%)보다 오히려 낮아진 것은 물론, 시장 전망치(3.5∼3.6%)를 하회했다.   지난달 실업률은 지난 1969년 이후 54년 만의 최저치 타이 기록이다.   또 전체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보다 0.5%, 전년 동월보다 4.4% 각각 상승해 다시 오름폭을 키웠다.   4월 시간당 평균 임금 증가폭은 지난해 여름 이후 가장 컸다고 마켓워치가 전했다. 시장 전망치(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4.2%)도 훌쩍 넘었다.   이날 발표는 미국의 노동시장이 여전히 강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연방준비제도(Fed·연준)로서는 뜨거운 노동시장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더할 가능성에 고민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은별 기자미국 노동시장 노동시장 과열 비농업 일자리 시장 전망치

2023.05.05. 22:02

4월 물가 8.3% 급등…시장 전망치 웃돌아

물가상승률의 오름세가 약간 꺾였으나 시장 전망치보다는 높아 인플레이션 장기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관계기사 중앙경제〉   노동부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8.3% 급등했다고 11일 밝혔다.   전월(8.5%)보다는 상승 속도가 다소 줄어 최근 8개월 만에 처음으로 오름폭이 둔화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그러나 WSJ 등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8.1%보다는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3월 상승률이 1981년 12월 이후 최고치였다는 점에서 4월 CPI도 40년 만의 최대 기록에 여전히 근접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3월보다는 에너지 물가 오름세가 다소 꺾인 대신 주거, 식료품, 여행 등 전방위로 인플레이션이 확산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달 식료품 가격은 전월보다 0.9%, 전년 동월보다 9.4% 각각 올랐고 신차 구입 가격은 전월보다 1.1% 치솟았다.   전체 CPI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거비용은 석달 연속 0.5% 상승했고, 전년 동월보다는 5.1% 올라 1991년 3월 이후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고 CNBC방송이 전했다.전망치 물가 시장 전망치 전문가 전망치 에너지 물가

2022.05.11. 20:4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