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인플레 둔화에도 장바구니 물가는 ‘한계수준’

#. 뉴욕에 거주하는 한인 이 모씨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잡히고 있다는 기사를 보고 한숨을 내쉬었다. 물가상승률 폭(3.0%)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지만, 생활 속에서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는 여전히 살인적이기 때문이다. 이씨는 "생각해보면 여전히 작년보다 물가는 올랐다는 뜻 아니냐"며 "식료품 가격과 렌트가 다시 내려갈 일은 없다는 걸 생각하면 위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 4인 가족 가장인 김 모씨는 외식한 기억이 까마득하다. 식당 메뉴 가격도 올랐지만, 팁도 예전보다 더 많이 줘야 하는 분위기인데다 같은 돈을 썼을 때 먹을 수 있는 양도 급격히 줄었기 때문이다. 김 씨는 "예전엔 외식을 한 번 하면 남은 음식을 싸 와서 다음날 먹을 정도로 양이 많았는데, 요즘은 확실히 양도 줄었다"고 전했다.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둔화했지만, 생활 물가는 여전히 높다. 경제학자들은 장바구니 물가가 거의 한계 수준으로, 저소득층 타격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6월 CPI는 전년동월대비 3.0% 올라 상승속도가 1%포인트 둔화했지만, 장바구니 물가와 외식비는 각각 4.7%, 7.7% 상승했다. 전체 식료품 물가는 전년동월대비 5.7% 급등했다.     제이슨 러스크 퍼듀대 농업경제학과 석좌교수는 "식료품 물가 상승 추세가 소비자들이 원하는 식품을 사지 못하는 한계점으로 몰고 가는지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푸드스탬프(SNAP) 수혜자 등 저소득 가구의 식량 불안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팬데믹 이후 제공됐던 SNAP 확대 시행이 지난 3월 종료되면서 SNAP 수혜자들은 매달 90달러 정도를 덜 받는 상황이다. 6월 기준 미국 가구 중 '식량 불안정'(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식품을 구매하기 어려운 상태) 비율은 17%로, 3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유틸리티 가격과 렌트 고공행진도 지속하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구 비율은 계속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다. 저소득층 재정건전성 개선을 목표로 하는 앱 '프로펠' 등은 "앞으로도 식료품 가격 상승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경제적 부담이 커진 저소득층의 퇴거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장바구니 한계수준 장바구니 물가 인플레 둔화 식료품 물가

2023.07.13. 18:19

물가 정점 달했나…7월 물가상승률 8.5%

급등하던 휘발유값이 진정되며 물가상승률이 한풀 꺾였다. 식료품 가격은 여전히 높지만, 전체적인 물가 상승 압력이 다소 약해진 만큼 물가가 정점을 찍은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10일 노동부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월대비 8.5% 올랐다고 밝혔다. 1981년 11월 이후 최대폭이었던 전월(9.1%)보다 상승폭이 크게 둔화했다. 전월 대비로는 변동이 거의 없어 물가 상승세가 거의 멈춘 것으로 해석된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도 전년동월대비 5.9% 올라 예상치(6.1%)보다 낮았다.     급등하던 국제유가가 안정세로 돌아선 것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춘 주요 원인이다.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9월물 가격은 지난달 약 12% 떨어져 배럴당 90달러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달 에너지 물가는 전월대비 4.6% 떨어졌고, 휘발유값은 7.7% 급락했다.   다만 렌트·식료품 등 필수적인 품목들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식료품 물가는 전월대비 1.1% 올라 7개월 연속 0.9%를 넘어서는 상승률을 기록했고, 전년동월대비로는 10.9% 뛰어 1979년 5월 이후 최대폭 상승했다. 빵(15.0%), 육류(10.9%), 우유(14.9%) 등 가격도 전년동월대비 10% 이상 올랐다.     한편 이날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기대감에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535.10포인트(1.63%) 오른 3만3309.51에, S&P 500 지수는 87.77포인트(2.13%) 상승한 4210.24에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360.88포인트(2.89%) 오른 1만2854.80에 거래를 마쳤다. 김은별 기자물가상승률 물가 물가 상승세 물가 정점 식료품 물가

2022.08.10. 16:38

3월 물가 8.5% 급등, 81년 이후 최대폭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인플레이션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노동부는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8.5% 급등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 1981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으로 전월 상승폭(7.9%)을 크게 웃돌았다. 2월과 비교하면 1.2% 올라 지난 2005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월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월 대비 상승분의 절반은 개솔린 가격이 차지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영향으로 3월 에너지 물가는 전월보다 11%, 전년 동월보다 32% 각각 급등했다.   밀과 옥수수 등 주요 곡물과 비료를 전 세계에 공급하는 두 나라의 전쟁으로 식료품 물가 역시 전월보다 1%, 전년 동월보다 8.8% 각각 상승했다.   CPI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거비용(주택 임차료와 호텔 숙박료)은 전월 대비 0.5%, 전년 동월 대비 5% 올라 심상치 않은 오름세를 이어갔다.   시장에서는 올해 말까지 6%에 가까운 물가상승률로 연준 목표치 2%를 3배 가량 상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최대폭 물가 에너지 물가 식료품 물가 이후 최대폭

2022.04.12. 22:09

물가 오름세 끝이 안 보인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8.5% 급등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1981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전월 상승폭(7.9%)을 크게 웃돌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8.4%)도 소폭 상회했다.   2월과 비교하면 1.2% 올라 지난 2005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월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월 대비 상승분의 절반은 휘발유 가격이 차지했다.   지난 2월 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이후 글로벌 원유 공급난 우려 속에 미국의 평균 휘발유 가격도 지난달 11일 갤런당 4.33달러까지 치솟은 바 있다.   이에 따라 3월 에너지 물가는 전월보다 11%, 전년 동월보다 32% 각각 급등했다.   밀과 옥수수 등 주요 곡물과 비료를 전 세계에 공급하는 두 나라의 전쟁으로 식료품 물가 역시 전월보다 1%, 전년 동월보다 8.8% 각각 상승했다.   CPI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거비용(주택 임차료와 호텔 숙박료)은 전월 대비 0.5%, 전년 동월 대비 5% 올라 심상치 않은 오름세를 이어갔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4%, 전월보다 0.3%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근원 CPI의 연간 상승률은 1982년 중반 이후 최대폭이지만, 월간 상승률은 최근 6개월 사이 최소폭이라고 마켓워치는 전했다. 지난해 인플레이션 초기 물가상승의 주범이었던 중고차 가격이 3.8% 떨어진 것이 주된 이유로 분석된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물가 영향이 본격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이날 발표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발걸음이 더욱 빨라질 것이 확실시된다.   지난달 3년여 만의 첫 금리인상에 착수한 연준이 고삐 풀린 물가를 잡기 위해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열리는 5월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에 더욱 힘이 실리게 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이러한 빅스텝은 한 번에 그치지 않고 최소 한두 차례 더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는 전문가들도 많다. 아울러 연준이 지난달 예고한 대차대조표 축소(양적긴축)도 내달 본격화할 것이 유력해졌다.   시장에서는 올해 말까지 6%에 가까운 물가상승률로 연준 목표치 2%를 3배 가량 상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은별 기자오름세 물가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에너지 물가 식료품 물가

2022.04.12. 20:28

1월 물가<소비자물가지수> 7.5% 급등…40년래 최대폭

노동부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7.5% 급등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1982년 2월 이후 40년 만의 최대폭 상승으로, 전망치 7.3%를 상회했다. 전월 대비로도 0.6% 올라 역시 시장 전망치(0.4% 상승)를 웃돌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0% 올랐다.     근원 CPI 상승률도 시장 전망치(전년 동월 대비 5.9%, 전월 대비 0.4%)를 넘었다.   자동차, 에너지, 식료품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전방위적인 물가상승이 이어졌다.   연료유 가격은 전월 대비 9.5%, 전년 동월 대비 46.5% 급등해 가장 높은 오름폭을 기록했다. 전체적인 에너지 비용은 전월보다 0.9%, 전년 동월보다 27% 각각 상승했다.   지난해 상반기 인플레이션의 ‘주범’이었던 중고차 가격은 이번에도 전년 동월보다 40.5% 치솟았으나, 전월 대비 상승폭은 1.5%로 축소됐다. 식료품 물가는 전월보다 0.9%, 전년 동월보다 7% 각각 올랐다.   전체 CPI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거 비용은 전월보다 0.3% 올라 지난해 8월 이후 최소폭 상승했으나, 1년 전보다는 4.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소비자물가지수 최대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최대폭 상승 식료품 물가

2022.02.10. 21:38

미국 물가 오름세 더 심해졌다

새해 들어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더욱 가속 페달을 밟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7.5% 급등했다고 10일 밝혔다.   1982년 2월 이후 40년 만의 최대폭 상승으로, 전월(7.0%)보다 오름폭이 크게 확대된 것은 물론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7.3%를 상회했다. 전월 대비로도 0.6% 올라 역시 시장 전망치(0.4% 상승)를 웃돌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6.0%, 전월보다 0.6%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근원 CPI 상승률도 시장 전망치(전년 동월 대비 5.9%, 전월 대비 0.4%)를 넘었다.   자동차, 에너지, 식료품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전방위적인 물가상승이 이어졌다.   연료유 가격은 전월 대비 9.5%, 전년 동월 대비 46.5% 급등해 가장 높은 오름폭을 기록했다. 전체적인 에너지 비용은 전월보다 0.9%, 전년 동월보다 27% 각각 상승했다.   지난해 상반기 인플레이션의 ‘주범’이었던 중고차 가격은 이번에도 전년 동월보다 40.5% 치솟았으나, 전월 대비 상승폭은 1.5%로 축소됐다.   식료품 물가는 전월보다 0.9%, 전년 동월보다 7% 각각 올랐다.   전체 CPI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주거 비용은 전월보다 0.3% 올라 지난해 8월 이후 최소폭 상승했으나, 1년 전보다는 4.4%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발표는 인플레이션이 더욱 악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언론들은 평가했다.   캐피털이코노믹스의 미국시장 수석이코노미스트인 앤드루 헌터는 식료품과 주거 비용의 동반 상승이 “인플레이션의 주기적 가속화가 진행 중이라는 견해에 힘을 싣는다”면서 “이례적으로 빡빡한 노동시장과 맞물려 당분간 물가상승률이 진정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공급망 교란과 수급 불일치로 촉발된 인플레이션이 근로자 임금, 주택 임차료 상승과 맞물려 고착화할 우려가 제기된다.   예상치를 뛰어넘은 물가상승세는 중간선거를 앞둔 조 바이든 행정부와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곤혹스럽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첫 금리인상 결정을 앞둔 연준이 ‘상당한 수준’으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고 CNBC방송은 진단했다.     김은별 기자미국 오름세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전년 동월 식료품 물가

2022.02.10. 17:3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