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식품업체 크로거, 주얼(앨버슨) 인수

시카고 지역의 대표적인 식품 체인 마리아노스가 주얼과 통합한다.    14일 오전 마리아노스를 소유한 크로거(Kroger)와 주얼의 모회사인 앨버슨 (Albertson's) 이사회는 각각 크로거의 앨버슨 인수를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인수 가격은 246억 달러이며 크로거가 앨버슨의 부채 47억 달러도 함께 인수하는 조건이다. 이번 합병으로 크로거는 미 전역에 직원 수 71만명, 5000개 지점, 물류 센터 66곳을 갖춘 초대형 식품 기업이 된다.     크로거의 앨버슨 인수로 시카고 식품업계는 큰 변화가 예상된다.     신시내티에 본사를 둔 크로거는 지금까지 35개 주에서 2750개의 지점을 운영해왔다. 시카고에서는 마리아노스가 대표적이다. 올해 매출은 1500억달러로 예상되며 시가 총액은 330억달러에 달한다.     아이다호주 보이시에 본사를 둔 앨버슨의 올해 매출은 760억달러, 시가 총액은 140억달러 규모다.     크로거는 사실 시카고 지역에서는 다소 생소한 업체다. 1883년 설립됐다가 1970년대 시카고 시장에서 철수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98년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Food 4 Less를 인수한 데 이어 마리아노스까지 인수하면서 시카고 시장에서의 마켓 지분을 크게 올렸다.     그동안 시카고서 가장 유명한 식품업체는 주얼이었다. 1899년 Jewel Tea이라는 이름으로 오픈한 주얼은 커피와 티를 말로 배달하면서 성장했다.     현재 시카고 지역에 188개 지점을 확보하고 있는데 2013년 매각되면서 앨버슨의 자회사가 됐다.     이번 크로거의 앨버슨 인수로 시카고 지역에서는 주얼과 마리아노스의 지점이 인접한 곳은 통폐합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 독점을 피하기 위해 일부 지점에 대해서는 매각 명령이 내려질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된다면 시카고 주민들은 마트 선택의 폭이 좁아지고 편의성도 낮아질 수밖에 없다.     한편 크로거, 앨버슨과 같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마트들은 월마트와 아마존이 온라인 식품 판매를 강화하면서 합병 필요성이 커졌다고 업계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특히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전국의 온라인 그로서리 매출은 56%이나 성장했고 2025년까지 14%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크로거와 앨버슨의 온라인 매출 비중은 전체의 10%와 4%에 머물러 통합으로 이를 늘려야 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Nathan Park•Kevin Rho 기자식품업체 크로거 이번 크로거 시카고 식품업계 인수 가격

2022.10.14. 15:16

식품업체들 추가 가격 인상 예고…식탁물가 더 치솟을 듯

40년 만의 최악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식탁 물가가 더 치솟을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크래프트하인즈와 맥도널드를 포함한 최대 식료품 공급업체들과 레스토랑들이 비용 상승 때문에 가격을 계속 올릴 방침이라고 최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크래프트하인즈는 지난 6일 유통 고객사들에 미라클휩, 클래시코 파스타 소스, 맥스웰하우스 커피 등의 제품 가격을 오는 8월부터 인상하겠다고 통보했다.   크래프트하인즈는 지난 2019년 이후 지금까지 제품 가격을 13.9% 올렸으나,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관련 업계의 고위 임원들은 공통으로 노동, 포장, 재료, 운송 등의 비용 급등에 시달리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식료품 유통업체들과 레스토랑들도 이러한 도매가격 인상분을 소비자들에게 전가할 계획이다. 맥도널드는 소비자들에게 너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의 가격 인상을 연구 중이라고 이언 보든 국제영업 대표가 9일 투자자 콘퍼런스에서 밝혔다. 보든 대표는 “더 자주, 하지만 더 작은 규모로 (가격을) 인상하는 접근법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맥도널드 가맹점들이 최종적인 가격 결정권을 갖는데, 이미 일부 점주들은 급격한 비용 상승을 고려해 가격을 올리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캠벨 수프는 지난 4월 유통회사들에 ‘조만간 최근 1년 새 세 번째 가격 인상을 단행할 예정’이라고 통보했고, 이달 초 대형 제과업체 몬델리즈는 ‘향후 1년간 훨씬 더 많은 가격 인상이 뒤따를 것’이라고 공표했다.   육류도 예외는 아니다. 최대 육류가공업체 타이슨푸드는 지난 4월 초까지 3개월에 걸쳐 소고기 가격을 평균 24% 인상했고, 3위 닭고기 제조사 샌더슨팜스는 4월 말까지 제품 가격을 34% 올렸다고 밝혔다.   스팸 제조사로 잘 알려진 호멜푸드는 지난달 초 가축 사료용 옥수수와 콩 가격을 각각 125%, 40% 올렸다. 사료 가격 급등은 앞으로 육류 가격을 더 높이 끌어올릴 전망이다.식품업체 식탁물가 추가 인상 도매가격 인상분 식료품 유통업체들

2022.06.13. 19:5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