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시문학’ 신인우수작품상 수상자이자 뉴욕중앙일보 시문학교실 회원이었던 이춘희(사진)씨가 첫 수필집인 『무성한 떨림((Joyful Vibrations)』(표지사진)을 출간했다. ‘무성한 떨림’은 한국어와 영어로 구성된 수필집으로, 반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이 작가가 뉴욕에 살며 사랑하고 목격한 것, 낯선 땅에서 이방인으로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외로움과 누군가와 나누고 싶은 일상의 소소한 풍경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수필집의 앞부분에는 49편의 한국어 수필이, 뒷부분에는 미국에서 태어난 한인 2세와 3세들을 위해 한국어 수필 중 21편의 수필이 영문으로 번역돼 있다. 이 작가는 ‘작가의 말’에서 “내 주위에서 일어나는 걱정, 환희, 슬픔, 희망, 동경 등 모든 것들이 떨림의 순간이었기에 수필집 제목을 ‘무성한 떨림’으로 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수필집에서는 이 작가가 유일한 아시안으로 동네 북클럽에 참여하며 만났던 제임스 조이스, 안톤 체호프, 윌리엄 포크너 등 위대한 작가들의 글에 대한 해석이 담겨 있기도 하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이춘희 수필집 신간 수필집 한국어 수필 이번 수필집
2023.09.25. 19:40
뉴욕중앙일보 시문학 동아리 회원이자, 본지 칼럼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정명숙 작가가 신간 시집과 수필집을 동시에 출간했다. 시집 ‘타오르는 방’은 정 작가의 세 번째 시집이다. 1977년 도미한 후 45년간 이민 생활을 해 온 정 작가는 모국어를 활용해 그의 이민사와 삶의 노래를 시로 기록하고 있다. 그의 시 ‘타오르는 방’에서 정 작가는 “낮에 걸쳤던 나를 벗어던지고 / 봄의 잔상에 젖은 불 속으로 찬란하게 타들어간다”며 짧은 글과 은유로 본인의 삶을 노래하고 있다. 김정기 시인은 해설에서 “이번 시집에서는 파편화된 기억의 조각들을 낯선 이미지와 언어의 배치를 통해 재구성함으로써, 미학적으로 완성도 높은 시 쓰기를 보여준다”며 “곳곳에 시적 개성과 표현력이 빛나는 시들을 숨겨두고 있으며, 시를 향한 애정과 절정이 눈에 보이는 듯한 느낌으로 전해 온다”고 전했다. 신간 수필집 ‘투명한 슬픔’은 정 작가의 두 번째 수필집이다. 이민 생활을 경험하며 느낀 이야기, 뉴욕 대형 병원에서 근무하며 만난 동료와 환자 등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적어 전달하고 있다. 수필집을 소개한 김 작가는 “‘투명한 슬픔’은 현란한 수식어 없이 맑은 일상이 묻어 녹아 있는 서정적인 문체의 정수를 맛볼 수 있는 책”이라며 “작가가 오래도록 기억해 온 사람, 말, 글, 풍경, 그날의 마음들에 관한 세심한 사연들을 선명하게 담아냈다”고 평가했다. 신간을 출간한 정 작가는 “최근 죽음과 흔적을 남기는 것 사이에서 많은 갈등을 하다가, ‘내가 나에게 주는 선물’로 책을 세상에 내게 됐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은별 기자정명숙 수필집 신간 수필집 신간 시집과 수필집 출간
2022.11.10. 18:01
두 번의 암투병 중에도 한영시집 ‘신호등’을 포함한 12권 시집과 수필집을 출간하고 무료 창작 강의를 통해 시 치료를 해온 김영교 작가가 신간 수필집 ‘물처럼 바람처럼(창조문학사.사진)’을 출간했다. 총 67편 수필이 수록되어 있는 ‘물처럼 바람처럼’은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또 다른 봄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영교 작가의 시작품은 시와 신앙의 통합적 상상력이자 신앙과 문학을 분리시키지 않은 글쓰기 자세를 견지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추천사에서 홍문표 명지대 교수는 “기독교적 주제를 세련된 문학으로 당당하게 표현하고 있다”며 “기독교와 문학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고 평했다. 김영교 시인은 서울사대부고와 이대영문과를 졸업하고 컬럼비아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암을 극복하고 시 창작을 시작했다. 김시인은 제8회 가산 문학상, 제5회 해외문학상, 제10회 이화 문학상을 수상했고 한국 현대시인협회, 한국 이대 동창문인회, 국제 펜클럽 한국본부 회원이며 현재 미주 문인협회 부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시집으로 ‘우슬초 찬가’, ‘신호등’, ‘물 한방울의 기도’, ‘너 그리고 나 우리’, 산문집으로 ‘소리지르는 돌’이 있다. 이은영 기자
2021.10.17.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