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이민단속으로 임금 상승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 추방으로 미국인의 일자리를 지키고 임금도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실업률이 소폭 상승했으나 합법적 노동자들이 불법 이민자들을  대체하고 있는 현재 추세에 대해 우리는 매우 큰 확신을 지니고 있다”고 전했다.    8월 신규 고용은 2만2천 개 늘어나는데 그쳐, 예측했던 7만5천 개에 크게 미치지 못했는데, 인구 증가를 고려할 때 1개월에 20만 개 정도의 신규 고용이 발생해야 한다. 그런데 8월 실업률은 4.3%로 7월 4.2%와 비슷했다.     관세정책 불확실성과 강력한 이민단속의 여파로 기존 직원을 해고를 하지 않는 이른바 ‘노동력 절약’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기업들은 미숙련 인력을 고용해 생산성 후퇴의 위험을 감수하기보다 인건비 지출을 늘리더라도 기존 노동력을 유지하는 것이 훨씬 이익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실제 지난 8월 근로자 평균임금은 전년동기 대비 3.7% 상승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기업들이 채용과 해고를 모두 망설이면서 실업률이  유지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민단속과 추방으로 인해 8월 미국 인구는 역사상 처음으로 6천 명 순감소해 노동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전체 실업자의 ¼ 이상이 6개월 이상 장기실업 상태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노동부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8월 실업자 중 190만명 이상이 27주 이상 장기실업 상태였다. 이는 전체 실업자의 26%로, 202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3년2월 장기실업자는 100만명으로, 전체 실업자 대비 비율은 17.6%였다.     워싱턴 지역의 8월 장기실업자는 11만명 수준으로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장기실업 문제도 최근 일자리가 늘지 않는데도 실업률은 높아지지 않는 현상과 무관치 않다. 하지만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고용시장이 현재 ‘적절치 않은 균형’ 상태에 놓여 있다고 밝혔다.     이민단속과 규제의 여파로 신규 노동력 공급이 감소하면서 실업률이 낮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고용 시장 자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민단속이 줄어드면 그 효과 또한 상쇄될 것이라고 주장이 맞서고 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이민단속 임금 근로자 평균임금 불법 이민자들 신규 고용

2025.09.15. 11:37

썸네일

고용, 왜 이리 강한가 봤더니…이민자 덕

고용지표가 강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 중 하나로 이민자들의 급증이 하나의 요인으로 지목됐다.   12일 마켓워치에 따르면 브루킹스 연구소의 웬디 에델버그와 타라 왓슨이 연방의회예산국(CBO)의 인구변화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인용해 이민자들이 급증한 것이 고용의 강세를 설명해준다고 말했다.   CBO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이후 인구 분류 목록 중에 ‘기타 비이민자’가 급증하기 시작했다.   기타 비이민자는 합법적인 영구 거주자와 임시 비자 거주자를 포함하는 이들이다. 또한 망명 신청이나 기타 이민 구제를 위해 법원에 청원해둔 100만명의 사람과 우크라이나 아이티와 같은 곳에서 탈출한 80만명 등이 포함된 분류 목록이다. 이들은 모두 영구 거주 여부와 상관없이 경제에 참여할 수 있는 이들이다.   코로나19팬데믹 이전에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지속가능한 고용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신규 고용의 수치는 월 6만명~14만명 사이였으며 인구 고령화로 이 수치는 월 6만명~10만명 사이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돼왔다.   그러나 에델버그와 왓슨의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경제는 추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한 달에 월 16만~23만명의 신규 일자리를 흡수했으며, 지금은 월 16만~20만명의 신규 일자리를 흡수하고 있다.   지난 2월 신규 고용도 27만5000명으로 강한 모습을 보인 바 있어 실제 일자리 증가세는 여전히 매우 강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에델버그와 왓슨은 일자리 증가세는 올해 국내총생산(GDP)을 0.1%포인트 증가시키고, 소비지출을 730억 달러 늘리며, 인플레이션 조정 개인 소득을 760억 달러 늘릴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스트레가스의 돈 리스밀러 애널리스트도 이민을 노동 공급의 긍정적 효과로 분석, 성장세가 강한 모습을 보이는 원인일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프로트하버 매크로 리서치의 제라드맥도넬은 이번 브루킹스 연구소의 논문에 대해 “다소 비둘기파적인 보고서”라고 평가했다.   그는 “잠재 성장률이 더 빨라지고 고용 증가의 속도 제한이 더 높아진다면 최근 GDP와 고용의 강세는 덜 걱정스럽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의 여파도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맥도넬은 “투자자들은 현재의 고용 증가 추세가 노동통계국의 인구 증가세에 대한 가정에서 내포하는 속도를 크게 초과한다고 실제로 믿지 않기 때문”이라며 “투자자들은 확실히 그러하다”고 말했다.이민자 고용 기타 비이민자 신규 고용 고용 증가

2024.03.12. 22:4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