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학비 대출 어려워진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법(One Big Beautiful Act) 시행으로 대학원생의 학비 마련이 어려워지고, 학자금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Grad PLUS 대출 프로그램 폐지=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대학원생이 등록금 전액과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도록 보장하던 ‘대학원 플러스(Grad PLUS)’ 대출 프로그램의 폐지다. 연방정부는 그동안 대학원생에게 두 가지 대출 프로그램을 제공해왔다. 한 가지는 ‘직접 비보조 대출(Direct Unsubsidized Loan)’로, 이를 통해 대학원생들은 연간 최대 2만500달러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다른 하나는 Grad PLUS 프로그램으로, 학생의 필요에 따라 등록금과 생활비 전액을 추가로 대출받을 수 있다. 하지만 Grad PLUS 프로그램이 폐지될 경우 연방정부를 통해 등록금과 생활비 전체를 조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Direct Loan’만으로 한 해 수만 달러에 달하는 학비와 렌트, 생활비를 감당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저소득층이나 신용도가 낮은 학생들에겐 사실상 대학원 진학의 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출 상환 옵션 통합=또 신규 대출자에 대한 소득 기반 상환(Income-Driven Repayment·IDR) 제도가 단일화될 전망이다. 기존에는 ▶IBR(Income-Based Repayment), ▶PAYE(Pay As You Earn), ▶REPAYE(Revised PAYE), ▶ICR(Income-Contingent Repayment) 등 다양한 선택지가 있어 대출자가 자신의 상황에 유리한 옵션을 택할 수 있었지만, 이 옵션들이 통합될 경우 상환 비율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REPAYE는 저소득층에 한해 연방정부가 이자 일부를 대신 내줬는데, 통합 제도에서는 이 혜택이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 또 기존 20~25년 상환 이후 잔액이 탕감됐던 것과 달리, 탕감 조건이 더 엄격해질 가능성도 크다. 한편 교육부는 오는 8월 1일부터 SAVE 플랜 대출자에 대한 이자 부과를 재개한다고 밝혔다. SAVE 플랜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내놨던 소득기반 대출 상환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지난 2월 연방항소법원이 이 플랜의 핵심 조항 효력을 무산시키는 판결을 내렸고, 이에 따라 교육부는 이자 유예 조치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이자 부과가 재개되면 약 770만 명의 SAVE 플랜 가입자들은 연평균 3500달러 상당의 추가 이자 부담을 질 것으로 전망된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대학원생 대출 대출 프로그램 그동안 대학원생 신규 대출자
2025.07.10.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