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으로 어수선한 연말연시를 보냈다. 한국의 느닷없는 비상계엄과 탄핵의 소용돌이가 참 어지럽다. 순리대로 극복되고 정상의 삶으로 돌아오려면 아직 더 시간이 걸릴 듯하다. 살벌하고 시커먼 불확실성이 우리를 슬프고 답답하게 한다. 조국이 어두우면 우리는 더 컴컴하다.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조국이니까. 하지만, 그런 어둠 속에도 우리는 귀한 것을 얻기도 했다. 건강한 국민들이 보여준 희망이다. 한국 국민들의 성숙한 시민의식과 민주주의에 대한 굳건한 믿음, 특히 젊은이들이 보여준 전혀 새로운 차원의 시위문화는 실로 놀랍고 자랑스러운 것이었다. 세계가 놀라고, 외국 언론들이 하나같이 감탄하며 부러워했다. ‘광장의 품격’ ‘경쾌한 저항’이라는 멋진 말도 나올 정도였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노벨 낭독의 밤’ 행사에서 이렇게 말했다. “시민들이 보여준 진실과 용기 때문에 감동을 많이 했어요. 자정이 넘은 시각에 굉장히 많은 시민들이 집에서 달려나가서, 모여서, 맨몸으로 장갑차 앞에 서 있기도 하고, 맨주먹으로 아무 무장도 하지 않은 채 군인들을 껴안아 달래기도 하는 모습은 깊은 감동을 주었습니다.” 젊은 세대들은 공격적인 구호와 깃발, 머리띠, 주먹질만 난무하는 살벌한 시위를 흥겹고 신바람 나는 축제로 변화시켰다. 그러면서도 할 말은 야무지게 다 하고, 수만 명이 한자리에 모였는데 정연하게 질서를 지키고, 쓰레기 하나 남기지 않는 감동적인 자세를 보여주었다. 2030 여성이 다수를 차지한 집회 참가자들은 온갖 아이돌의 형형색색 응원봉을 흔들며, K팝을 떼창으로 불렀다. “오랜만에 콘서트에 간 것처럼 스트레스 풀고 왔어요. 큰 소리로 신나게 노래하고 춤추면서 할 말 다 하고 왔습니다.” 그들이 들고나온 깃발이나 손피켓에 담긴 풍자와 해학은 뉴욕타임스 같은 외국신문에 크게 소개되기도 했다.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연맹’ ‘전국 집에 누워있기 연합’ ‘강아지 발냄새 연구회’ ‘전국 수족냉증 연합’ ‘직장인 점심 메뉴 추천 조합’ ‘전국 과체중 고양이 연합’ ‘(내향인)’ ‘나, 혼자 나온 시민’ 같은 재미있는 깃발들…. 어떤 소속이나 주의 주장을 내세우기보다 각자의 정체성을 발랄하게 드러낸 것이다. 과거의 촛불 시위처럼 하나의 상징으로 획일화된 것이 아니라 각자의 깃발과 응원봉으로 수없이 다양한 개개인이 하나의 지향을 말한 것이다. 이처럼 팽팽한 긴장과 대결의 상황을 재미와 신바람으로 풀어내면서 하고픈 말은 다하는 슬기, 이것이 바로 세계로 뻗어가는 K-컬처의 정신적 바탕이자 저력이다. 전문가들은 젊은 세대의 이런 시위문화를 ‘K팝 문화의 진화된 형태’로 해석하기도 한다. 최루탄과 화염병이 날아드는 과거의 과격 시위가 아닌 ‘평범한 사람들’의 안전한 시위라는 것이다. 새로운 집회문화의 바탕을 거슬러 올라가면, 월드컵 축구 응원과 촛불 시위가 있고, 더 올라가면 판소리나 탈춤의 질펀한 풍자와 해학, 익살, 골계의 미학이 있다. 그것을 오늘의 암울한 현실에서 살려낸 젊은이들이 자랑스럽다. 희망을 건다. 제발, 기성세대를 닮지 말기 바란다, 제발! 정치에 대한 생각이나 이념은 사람마다 다른 것이 당연하다. 모두의 생각이 똑같으면 그건 병든 사회다. 문제는 생각이 다르다고 서로 적대시하며 싸우지 말고, 마음을 열고 상대방의 생각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려 하는 자세일 것이다. 대동소이(大同小異), 화이부동(和而不同)이라는 가르침, 거기에 더해 요새 젊은이들처럼 흥과 신바람과 재미를 더하면 더 바랄 나위 없겠지. 신문기사의 한 구절이 오래 기억에 남는다. “한국은 정치인들이 잠든 사이에 성장한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문화산책 신바람 문화 깃발과 응원봉 시민의식과 민주주의 촛불 시위
2025.01.09. 19:38
팬데믹 종료 후 첫 여름 휴가시즌을 맞아 미국을 방문하는 한국인들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이면서 여행 관련 한인 업체들이 특수를 누릴 전망이다. LA지역 한인 여행사, 항공사, 호텔 등에 따르면 6~8월 한국인 인바운드팀 예약률이 업종에 따라서는 팬데믹 이전 수준을 상회했다. 삼호관광 신영임 부사장은 “서울지사를 통해 직접 인바운드 패키지 상품 예약을 받고 있는데 40% 이상 늘었다. 편안한 투어 제공을 위해 32인승 VVIP 리무진 버스를 투입하고 있는데 자리가 한정돼 한국의 홈쇼핑 투어 상품은 취급 안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주투어 헬렌 박 이사는 “지난해 대비 약 150% 증가했다. 팬데믹 기간 패키지 투어 자체가 없었는데 한국 여행사들의 단체 패키지 투어가 많아졌고 개인·그룹 인센티브도 크게 늘었다”며 친지 방문을 왔다가 패키지 투어에 합류하는 경우도 상당수라고 전했다. 푸른투어 이문식 이사도 “10월 한상대회 공식 여행사로 지정된 데다가 한국 여행사서 보내는 패키지팀, 인센티브팀이 늘어서 200% 가까이 급증했다. 팬데믹 이전에 비하면 아직 70% 정도”라고 설명했다. 엘리트투어의 빌리 장 대표는 “팬데믹 이전의 50% 정도 회복됐다. 특히 페블비치와 오리건 밴던듄스 골프 투어 예약이 몰리고 있으며 남미, 남극여행 신청도 많다”고 말했다. 인바운드·인센티브 전문 인포투어의 박원천 소장은 “지난해 비해 200% 증가를 예상한다. 하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인 2019년의 90% 수준”이라고 말했다. 한국 국적 항공사의 여객 수요도 상승세다. 대한항공 미주지역본부 관계자는 “여름 성수기에는 일반적으로 편당 예약률이 90% 이상 된다. 올해는 지난해와 달리 대형기가 투입돼 공급수가 늘어났음에도 높은 예약률을 보여 그만큼 수요가 증가한 셈”이라고 말했다. 아시아나 미주지역본부 관계자도 “지난해보다 예약률이 오름세”라고 전했다. 에어프레미아 브라이언 김 LA지점장은 “6월 현재 예약률이 평균 94%에 달한다. 올해 초보다 늘어난 것으로 7, 8월에도 계속 유지될 것”이라며 “팬데믹 종료 후 정상화되는 시점인 데다가 지금까지 성수기, 비수기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기 때문에 한시적 상황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LA한인타운 한인 호텔에도 예약이 몰리고 있다. 옥스포드팰리스 호텔의 제이슨 김 매니저는 “지난해 여름 시즌도 투숙률이 낮지 않았는데 올해는 그보다도 10%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팬데믹 이전보다도 40%가량 더 많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또한 일부 한인여행사들이 투어팀 단체식사를 한인타운 한식당에서 하고 있기 때문에 식당 매출 신장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편, 미국 방문객들의 씀씀이가 7개월 만에 처음으로 미국인들이 해외에서 지출하는 비용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여름 특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연방관광청에 따르면 지난 4월 미국 방문 여행객들이 미국 내에서 173억 달러 이상을 지출해 26% 증가하며 2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미국인들의 해외 지출액은 172억 달러였다. 숙식·엔터테인먼트 등 여행 관련 상품·서비스에 97억 달러를 지출해 전년보다 35%가 늘었다. 올해 첫 4개월간 총지출액은 672억 달러로 하루 당 거의 5억6000만 달러에 달했다. 박낙희 기자관광업계 신바람 한국인 인바운드팀 한국 여행사들 패키지팀 인센티브팀
2023.06.13. 2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