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빌미로 개인정보를 빼내 신분도용 사기에 악용하는 케이스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CNBC는 8일 비영리단체 신분도용 리소스센터(ITRC)의 보고서를 인용해 2023년 취업을 빌미로 한 신분도용사기가 전년보다 118%나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CNBC에 따르면, 취업 사기는 대부분 구직자가 많이 찾는 링크드인 등의 플랫폼에 가짜로 구인공고를 내는 것부터 시작한다. 이를 본 지원자들에게 기업 채용담당자인 것처럼 속여서 메시지를 보내 구직자의 개인정보를 빼낸다. 채용과 관련한 서류 작성 목적으로 신분증 사본을 보내라고 하거나 사회보장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적어 내라고 하는 경우도 많다.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돈을 갈취하는 수법도 있다. 채용되고 근무를 시작하면 필요한 물품을 미리 구매해야 한다고 속여 송금을 유도한다. 이후에 비용처리를 해줄 것으로 약속하지만 송금하고 나면 연락이 두절돼 결국 금전적 손실을 보게 되는 것이다. ITRC는 취업 사기로 평균 피해 금액 2000달러의 손실을 본다고 전했다. 로버트 로드리게스 뉴욕주 재무장관은 “사기꾼들은 좋은 직업을 약속하면서 접근하지만 결국 원하는 것은 개인정보와 돈”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취업 사기가 신분도용사기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9%로 상대적으로 낮다. 하지만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이 문제. 에바 벨라스케스 ITRC 최고경영자(CEO)는 “인공지능(AI)의 발달과 재택근무 트렌드 때문에 취업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I의 도움을 받으면 진짜와 구별이 힘든 채용공고를 만들 수 있고 구직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 또한 훨씬 더 자연스럽게 쓸 수 있다. 피해자들이 더 쉽게 속는다는 것이다. ITRC는 여기에 코로나19로 인해서 재택근무가 일반화된 것도 취업 사기가 활개 칠 수 있는 원인 중 하나라고 지목했다. 대부분의 채용과정은 대면 면접이 있지만, 취업 사기의 경우 모든 과정이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피해자들은 재택근무 등의 새로운 업무환경 때문에 대면 면접이 없이도 채용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고 생각을 한다. 하지만 이런 부주의는 결국 사기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벨라스케스 ITRC CEO는 “대부분의 회사는 온라인으로도 반드시 대면 면접을 진행하며 디지털 메시지로만 채용이 결정되는 된다면 반드시 사기를 의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방거래위원회(FTC)는 ▶회사가 실제로 존재하는 업체인지 사전 조사하기 ▶전화번호와 이름 등 제한된 개인정보만 제공하기 ▶채용담당자뿐만 아니라 회사와 직접 연락 취하기 등을 통해 사기를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만약 취업 관련해 비용이 든다며 송금을 원하거나 수령 급여를 넘는 금액의 체크를 발송해 차액만큼 송금을 요구하는 것 모두 빈번한 사기 유형이라고 전문가들은 주의를 당부했다. 조원희 기자취업 사기 취업 사기가신분도용사기 신분도용 사기 사기 피해
2024.07.08. 19:05
#. LA에 거주하는 김모씨는 올해 세금보고 기한이 10월 16일로 연장되면서 지난해보다 늦게 소득세를 신고했다. 담당 공인회계사(CPA)는 납세자 본인 이름으로 이미 세금보고가 완료돼 소득세 신고서 접수가 국세청(IRS)으로부터 거부됐다고 알려왔다. CPA는 신분도용된 것이라며 IRS에 신고하고 올해는 전자보고(e-file)를 할 수 없다며 종이 신고서를 우편으로 제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미 두 달여가 지났지만, 해결이 안 돼 세금환급금을 받지 못했다며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김씨와 같이 신분도용 세금보고 사기 피해자가 최대 1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연방 재무부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3월 2일 기준으로 IRS가 타인의 개인정보를 이용해 연방 세금환급금을 가로채는 신분도용 사기 의심 신고서 110만 건을 적발했다. 세금환급금 규모로는 무려 63억 달러에 이른다. IRS가 밝혀낸 실제 신분도용 사기 건수는 1만2617건(3월 2일 기준)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9626건에 비해 31% 급증한 것이다. 특히 올해는 실제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것이라는 게 세무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LA카운티를 비롯한 가주 내 일부 지역은 지난 겨울폭풍으로 인한 홍수 피해 지역의 세금보고 기한이 오는 10월 16일까지 늦춰졌기 때문이다. 일부 납세자들은 실제로 작년보다 세금보고를 더 늦게 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영리단체 ‘납세자권리센터’의 니나 올슨 창립자는 “신분도용 범죄는 2004~2005년부터 문제 되어왔다”며 “점점 계획적이고 조직적으로 발전해 피해 규모가 매년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연방공정거래위원회(FTC)의 자료에 의하면 2022년 보고된 모든 사기 신고 중 신용도용 범죄가 가장 많았다. 이에 IRS는 세금 환급 사기 감지 목적으로 필터링 시스템을 강화했다. IRS가 세금보고서 처리에 적용하고 있는 필터링 수가 지난해 168개에서 올해는 236개까지 늘렸다. IRS의 필터링에 걸리면 납세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조사가 완료되기 전까지 세금 환급 처리는 보류된다. 윤주호 CPA는 “신분도용 세금환급 사기가 극성을 부리자 FTC와 IRS가 신분도용 세금환급 사기 신고 창구를 웹사이트(identitytheft.gov) 일원화하고 피해자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말했다. 세금보고에 필요한 신분보호용 핀(PIN)인 ‘IP PIN’을 더 빠르게 받을 수 있어서 사기 피해 처리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한편, 지난 3월 4일까지 재무부가 발행한 IP PIN 수는 총 80만2449개나 됐다. 세무 전문가들은 신분도용 피해를 보았다면 FTC 웹사이트에 신고하고 IRS로부터 받은 IP PIN을 이용해 세금 보고서를 우편으로 제출해야 한다고 전했다. 특히 추가 피해를 막으려면 크레딧 동결(Credit Freeze) 신청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크레딧 동결은 사기 경보(Fraud Alert)와 달리 본인 외에는 누구도 자신에 대한 신용 조회를 할 수 없도록 하는 조치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신분도용 세금보고 신분도용 세금환급 신분도용 의심 신분도용 사기
2023.05.17. 20:12
LA카운티에서 신분도용 사기가 다시 늘고 있다. 지난해 통계에서 한인타운은 신분도용 사기가 많은 지역에 속해 주의가 요망된다. 한인타운 지역에서는 총 241건이 발생해 밴나이스(302건), 할리우드(295건)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LA 전체로는 8943건이 발생해 전년도에 비해 44% 폭증했다. 신분도용 사기가 증가한 가장 큰 이유는 온라인 구매가 늘면서 개인정보 유출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코로나19가 처음 시작될 때와 비교해 지난해에는 외출이나 쇼핑 등이 많아지면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현금자동인출기(ATM) 사용으로 인한 도용도 전년도 451건에서 2021년에는 1590건으로 급증했다. 또한 우체함에서 훔친 우편물에 적힌 정보를 이용해 불법으로 신용카드를 발급하는 사례도 늘었다. 전문가들은 소셜시큐리티 번호를 유출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카드는 가급적 소지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한 카드에 운전면허증 번호, 소셜카드 번호, 주소 등을 동시에 적어 놓을 경우 분실시 신분도용의 표적이 된다. 전화나 이메일로 금융계좌 정보나 금품을 요구할 때도 응해서는 안 된다. 신분도용은 사소한 실수와 부주의로 금전적, 정신적 피해를 초래한다. 신분도용의 빌미를 제공하지 않도록 평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사설 신분도용 유의 신분도용 사기 분실시 신분도용 개인정보 유출
2022.03.02. 17:48
연말 쇼핑시즌을 맞아 온라인을 이용한 신분도용 사기가 크게 늘고 있다. 연방수사국은 추수감사절 이후 연말에 이르는 기간 이 같은 범죄가 급증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온라인 쇼핑을 위해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개인정보, 은행계좌와 크레딧카드 번호 등이 유출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최근에는 온라인 방문객들이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악성 프로그램을 심어 개인정보를 빼내는 수법이 늘고 있다. 또한 이메일에 첨부한 파일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정보를 도용하기도 한다. 전문가들은 온라인 쇼핑을 할 때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잘 알려진 유명 사이트를 이용해 줄 것을 당부한다. 또한 단체나 기관이 기부 요청을 하는 이메일을 받았을 때는 첨부파일을 열기 전에 확인이 필요하다. 전화를 통한 사기도 연말에는 많다. 공공기관 후원 단체를 사칭해 금품을 요구하는 수법이다. 특히 영어가 미숙한 소수계나 노년층에서 피해자가 많이 발생한다. 온라인 쇼핑이 많아지면서 관련 범죄는 크게 늘어나고 있다. 피해 금액도 커지고 수법도 점점 다양해진다. 범죄 수법이 변해도 신분도용을 방지하기 위한 철칙은 항상 동일하다. 어떤 경우에도 소셜시큐리티번호, 금융 정보 등을 제공하지 말아야 한다. 금품 사기와 신분 도용의 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때다. 사설 온라인 연말 연말 온라인 신분도용 사기 온라인 쇼핑
2021.12.01. 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