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회사 필립스 66은 2025년 4분기부터 LA 지역의 정유시설 운영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마크 래시어 회장은 “해당 정유소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이 불확실하며 시장 상황에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LA 항구 근처의 전략적 부지를 다른 방향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KTLA 방송은 전기차 이용자 및 신재생에너지 비중 증가에 따라 기존의 석유 사업으로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이번 결정은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정유업계로 하여금 일정량의 연료를 비축, 유가 급등을 방지하도록 한 법안에 서명한 지 며칠도 되지 않아 발표됐다. 필립스 66 측은 법안 서명과 정유시설 운영 중단 결정 사이에는 관계가 없다고 했다. 110번 프리웨이 인근에 위치한 650에이커 규모의 정유시설에는 약 600명의 직원과 300명의 하청업체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래시어 회장은 정유시설 운영 중단이 이뤄질 때까지 지역 공무원들과 협력해 실직자들의 재취업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했다. 팀 맥오스커 LA 시의원은 필립스 66가 해당 지역에 새로운 경제 개발 기회를 모색하려 한다는 계획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맥오스커는 성명을 통해 “LA 핵심 정유시설의 폐쇄는 상징적”이라며 “산업화 시대의 한 장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일자리와 개선된 공기 질, 창조적 경제 혜택으로 이어질 것을 고대한다”고 했다. 온라인 뉴스팀정유시설 필립스 66 신재생에너지 청정에너지 전기차 LA
2024.10.17. 16:01
아이엠이 최근 싱가포르 금융회사 지코캐피탈과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자본유치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동남아 자본유치의 첫 단추를 뀄다고 2일 밝혔다. 이번 MOU체결은 지난달 지코캐피탈 관계자가 울산 소재의 IM 재생에너지 공장을 방문, 투자협약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인 후 나온 후속조치다. 이번 MOU 체결로 지코캐피탈은 아이엠의 자본 유치와 투자자 및 파트너사 확보를 위한 전방위적인 지원을 약속했으며, 친환경 기업의 리더가 되기 위한 IM의 활동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앞서 아이엠은 지난 4월 컨소시엄을 통해 16년 역사의 재생에너지 솔류션기업 애너원을 인수한 바 있다. 월 1000억원대 인수금 규모의 젠파트너스 부산에쿼티 PEF(사모펀드)에 단독 후순위 투자자 자격으로 225억원을 투자한 것. 이로써 IM은 콜옵션(조기상환권)을 전량 보유, 실질적으로 에너원과 에너원의 자회사 '에펙'을 지배하게 됐다. 지코캐피탈 관계자는 이날 “아이엠처럼 많은 기업들이 친환경 기술을 통해 신재생에네지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면서 “이런 친환경화 추세는 기후변화의 악영향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아이엠 관계자는 "동남아 지역 폐기물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상황에서 에너원의 독자적인 기술 경쟁력이 지코캐피탈 사업 의지와 부합해 이번 협약이 가능했다”며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에 사업의 역량을 더 집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지코캐피탈은 비상장∙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금융 자문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 M&A 자문에서부터 ECM 서비스 및 IPO full 스폰서, 주식 발행 등의 재무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이동희 기자 ([email protected])신재생에너지 자본유치 동남아 자본유치 신재생에너지 분야 아이엠 관계자
2023.08.01.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