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음악으로 읽는 세상] 우연이 만들어낸 신화

알레그리의 ‘미제레레 메이’는 로마 시스티나 예배당에서 치르는 고난 주간 의식을 위해 작곡한 것이다. 다윗의 참회시를 바탕으로 만든 이 곡은 시스티나 예배당 밖에서는 들을 수 없었다. 교황이 악보의 반출을 금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 곡을 듣기 위해 로마를 찾았다.   멘델스존도 그중 한 사람이었다. 1831년, 그는 시스티나 예배당을 찾아 ‘미제레레 메이’를 들었다. 하지만 당시 그가 들은 것은 알레그리의 원곡을 4도 높여 부르는 것이었다. 이 곡에서 가장 아름다운 부분은 보이 소프라노가 청아한 목소리로 하늘 높이 ‘하이 C’를 부르는 대목이다. 마치 하늘에서 천사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듯한 이 효과 역시 원곡을 4도 높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누군가가 노래의 화려함을 더하기 위해 4도 높게 연주했는데, ‘우연히’ 멘델스존이 그것을 들은 것이다. 멘델스존은 자기가 들은 것을 그대로 악보에 옮겨 적었다.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1880년, 글로브 음악사전이 발간되었다. 이 사전의 ‘미제레레 메이’를 소개하는 항목에 곡 설명과 함께 악보가 실렸는데, 중간에 어떤 실수가 있었는지 모르지만 여하튼 멘델스존의 악보, 즉 원곡보다 4도 높은 악보가 들어가게 되었다. 그 후 이 악보는 알레그리의 ‘미제레레 메이’라는 이름으로 수없이 재생산되었다.   누군가 ‘우연히’ 4도 높여 노래했고, 그걸 ‘우연히’ 멘델스존이 들었으며, 음악사전의 편집자가 ‘우연히’ 이것을 오리지널 악보에 집어넣는 실수를 저질렀다. 이런 몇 개의 ‘우연’이 모여 오늘날의 ‘미제레레 메이’가 되었다. 오리지널 악보가 어떤 것이었든, 우리는 멘델스존의 ‘하이 C’를 들으며 영혼에 충만한 희열을 느낀다. 그리하여 알레그리의 ‘미제레레 메이’는 불후의 명곡이 되었다. 우연이 또 다른 신화를 만들어낸 것이다. 진회숙 / 음악평론가음악으로 읽는 세상 우연 신화 미제레레 메이 오리지널 악보 시스티나 예배당

2024.12.23. 19:03

[음악으로 읽는 세상] 우연이 만들어낸 신화

알레그리의 ‘미제레레 메이’는 로마 시스티나 예배당에서 치르는 고난 주간 의식을 위해 작곡한 것이다. 다윗의 참회시를 바탕으로 만든 이 곡은 시스티나 예배당 밖에서는 들을 수 없었다. 교황이 악보의 반출을 금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 곡을 듣기 위해 로마를 찾았다.   멘델스존도 그중 한 사람이었다. 1831년, 그는 시스티나 예배당을 찾아 ‘미제레레 메이’를 들었다. 하지만 당시 그가 들은 것은 알레그리의 원곡을 4도 높여 부르는 것이었다. 이 곡에서 가장 아름다운 부분은 보이 소프라노가 청아한 목소리로 하늘 높이 ‘하이 C’를 부르는 대목이다. 마치 하늘에서 천사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듯한 이 효과 역시 원곡을 4도 높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누군가가 노래의 화려함을 더하기 위해 4도 높게 연주했는데, ‘우연히’ 멘델스존이 그것을 들은 것이다. 멘델스존은 자기가 들은 것을 그대로 악보에 옮겨 적었다.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1880년, 글로브 음악사전이 발간되었다. 이 사전의 ‘미제레레 메이’를 소개하는 항목에 곡 설명과 함께 악보가 실렸는데, 중간에 어떤 실수가 있었는지 모르지만 여하튼 멘델스존의 악보, 즉 원곡보다 4도 높은 악보가 들어가게 되었다. 그 후 이 악보는 알레그리의 ‘미제레레 메이’라는 이름으로 수없이 재생산되었다.   누군가 ‘우연히’ 4도 높여 노래했고, 그걸 ‘우연히’ 멘델스존이 들었으며, 음악사전의 편집자가 ‘우연히’ 이것을 오리지널 악보에 집어넣는 실수를 저질렀다. 이런 몇 개의 ‘우연’이 모여 오늘날의 ‘미제레레 메이’가 되었다. 오리지널 악보가 어떤 것이었든, 우리는 멘델스존의 ‘하이 C’를 들으며 영혼에 충만한 희열을 느낀다. 그리하여 알레그리의 ‘미제레레 메이’는 불후의 명곡이 되었다. 우연이 또 다른 신화를 만들어낸 것이다. 진회숙 / 음악평론가음악으로 읽는 세상 우연 신화 미제레레 메이 오리지널 악보 시스티나 예배당

2024.09.16. 18:24

[아메리카 편지] 신화를 정말 믿었을까

그리스인은 계절의 변화를 신화로 설명한다. 그 유명한 페르세포네의 이야기다. 들판에서 꽃을 모으던 페르세포네는 하데스에게 납치돼 저승의 여왕이 됐지만, 이승의 어머니 데메테르에게는 딸이 죽은 것이나 다름없었다. 곡식의 여신인 데메테르가 딸을 찾아 헤매는 동안 지상의 곡물이 시들어갔다.   데메테르는 제우스신에게 딸을 되돌려 달라고 애원했지만 이미 페르세포네가 ‘저승의 음식’인 석류알 6개를 먹었기에 1년 중 6개월은 저승에 거주할 수밖에 없었다. 나머지 6개월은 페르세포네가 친정에 돌아와 살게 되었고, 딸과 재회하는 데메테르의 행복은 지상의 식물을 다시 자라게 했다.   이렇듯 자연현상을 우화적 인과관계로 설명하는 방식이 고대 그리스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전래동화도 7월 칠석날 견우(Altair)와 직녀(Vega)가 까치다리(은하수)를 건너 1년 만에 한 번씩 만나는 기쁨의 눈물로 보슬비를 설명한다. 어린 시절 해마다 칠석이 돌아오면 한결같이 보슬비가 내리는 것을 보고 신기해한 기억이 난다. 그렇다고 이를 진심으로 믿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그리스 신화는 그들의 종교에 직결되어 성격이 좀 다르다. 그들이 신화 이야기를 정말로 믿었을까 궁금하다. 농사를 지으면서 데메테르에게 정기적으로 제물을 바치는 것은 물론, 미혼의 딸이 요절했을 경우 페르세포네에게 바치는 석류를 든 모습으로 장례 석상을 만든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를 비롯한 많은 철학자는 신화를 대할 때 의외로 현실적인 태도를 나타낸다.   프랑스의 역사학자 폴 베이(1930∼2022)는 신앙에 대해 재미있는 관찰을 했다. 무언가를 믿고 동시에 안 믿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독실한 기독교인이 성경을 받들면서 다윈의 진화론과 현대 우주론을 연구하는 과학자일 수도 있듯이. 김승중 /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아메리카 편지 신화 신화 이야기 그리스 신화 어머니 데메테르

2023.06.23. 19:30

U-20 월드컵 4강 신화 … 우승가자

 월드컵 신화 월드컵 4강

2023.06.04. 19:33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