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게이트 단지도 뚫렸다...한인 주택 대낮 털이 '충격'

“게이트 주택단지도 안전하지가 않네요.”   LA한인타운에서 치과를 운영하는 정모씨는 지난 1일 퇴근 후 실버레이크의 집으로 돌아왔다 깜짝 놀랐다. 도둑이 8피트가 넘는 철제 펜스를 넘어와 2층 단독주택 내부를 모두 뒤집어 놓은 것.     절도범은 정씨 집 뒷마당으로 들어와 거실과 연결된 유리문을 박살내고 실내로 침입했다. 이후 1층과 2층 방을 돌며 1만 달러 상당의 명품가방 2개, 카메라 등을 훔쳐 달아났다.     정씨는 “게이트단지 내 112가구 중 한인 가정은 35가구 정도로 그동안 도둑이 든 적이 없었다”면서 “지난해 9월 집 앞에 세워둔 차를 도난당했는데, 이번에는 도둑이 들어와 집을 엉망으로 만들었다. 게이트 단지는 안전할 줄 알았는데 LA 치안이 갈수록 안 좋아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정씨에 따르면 절도범은 대범하게 대낮에 침입해 범죄를 저질렀다. 빈집 여부를 미리 파악한 뒤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정씨는 LA경찰국(LAPD)의 늑장 대응에도 불만을 나타냈다. 그는 “오전 10시에 집을 나서 오후 7시에 집에 들어왔다. 피해 확인 후 곧바로 경찰에 신고했지만 형사는 다음날에나 왔다. 이후 지역 경찰서까지 가서 피해 진술을 했지만 아직 별다른 소식은 듣지 못했다”고 답답해했다.       피해 수습은 온전히 정씨 몫이 됐다. 정씨는 유리문 수리비로 5000달러, 방범카메라와 경보장치 설치에 1800달러를 썼다고 한다.       정씨는 “LA시가 치안 강화를 외치지만 지난 3~4년 동안 이런저런 사고가 늘어난 것 같다”면서 “LA에서 20년 가까이 살았지만, 치안 문제로 오렌지카운티로의 이사를 진지하게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LA지역 절도범죄는 증가 추세다. LA한인타운을 관할하는 올림픽경찰서 통계에 따르면 지역 내 빈집털이 절도는 지난 2020년 392건에서 2024년 450건으로 15%나 늘었다. LA매거진은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LA전역 절도는 9226건에 달한다고 전했다.     LAPD는 절도범들이 방범카메라 방해용 와이파이 교란장치(Wi-Fi jammer)까지 사용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에는 LA와 글렌데일 지역을 돌며 빈집을 턴 남미 출신 원정 절도단 4명이 체포되기도 했다.  김형재 기자빈집털이 LA 한인타운 실버레이크 LAPD 김형재 절도

2025.02.13. 22:18

썸네일

타운 인근 연쇄 절도·성폭행범 활개…실버레이크·로스펠리스 등서

LA 한인타운 인근에서 연쇄 절도에 더해 성폭행 사건까지 발생해 경찰이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LA경찰국(LAPD)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30일까지 4건의 주택 절도 사건과 2건의 성폭행 사건이 발생했다. LA 한인타운에서 북쪽으로 불과 1.5마일 떨어진 곳에서 모두 일어났다.   LA경찰국(LAPD)은 모두 동일인의 소행으로 보고 있으며, 추가 범행을 막기 위해 강도 높은 수사를 하고 있다.     주택 절도 4건 중 3건이 지난달 27일 오전 시간대에 발생했다. LA타임스에 따르면 사건들은 오전 3시에서 10시 사이 발생했다.   범인의 절도 행각은 용의주도했다. 한 동네에서 범행을 저지르지 않고 서로 맞닿아 있는 지역으로 옮겨 다녔다. 용의자는 실버레이크, 이스트 할리우드, 로스펠리스 각각 한 주택씩 침입했다.     용의자는 거주자가 집 안에 있을 때 절도 행위를 저질렀다. 주로 창문이나 문을 통해 주택에 침입했으며, 철제 보안 울타리까지 뚫고 들어갔다고 경찰은 전했다.     이날 발생한 한 건은 성폭행 사건까지 함께 발생했다. 릴리안 카란자 LAPD 센트럴 지부 커맨더는 “용의자가 침실에서 자고 있던 여성을 성폭행했다”고 설명했다. LAPD는 수사를 진행 중인 관계로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고 전했다.     사흘 뒤인 지난달 30일 실버레이크 지역 맨자니타 스트리트와 선셋 불러바드 교차로 인근 한 집에서도 주택 절도와 성폭행 사건이 함께 일어났다.     앞서 지난달 27일 실버레이크 지역에서 발생한 절도 사건과 인접한 장소다. 이번에는 용의자가 오전 시간대가 아닌 밤 시간대에 범죄를 저질렀다. LAPD는 해당 사건의 주택 절도 및 성폭행 피해자가 여성이라는 사실 말고는 정확한 사건 경위에 대해 공개하지 않고 있다.     LAPD는 용의자를 20~35세 사이 마른 체격의 백인 또는 히스패닉 남성으로 보고 있다. 키는 약 5피트 10인치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범인은 마지막으로 CCTV에 포착됐을 때 흰색 선이 그려진 검은색 신발을 신고 있었고, 검은색 운동복 바지와 검은색 바람막이 점퍼를 입고 있는 상태였다. 또 검은색 모자도 착용하고 있었다.     LAPD는 주택 외부 조명을 켜두고 모든 창문과 문을 잠가야 한다고 안전에 각별한 주의를 요구했다. 또한, 의심스러운 행동을 하는 사람이나 활동을 목격했을 시 적극적인 911 신고를 당부했다. 김경준 기자성폭행 실버레이크 연쇄 절도 실버레이크 지역 실버레이크 이스트

2024.08.01. 20:54

타운 인근 실버레이크 연쇄절도 몸살…수일 새 같은 업소 3번 피해

LA한인타운과도 인접한 실버레이크 지역이 연쇄 절도 사건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LA경찰국(LAPD)은 지난 8일 소매점 한 곳에서 며칠 동안 수천 달러 상당의 물건을 훔친 제일렌 그레이풀(19)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그레이풀은 지난 4일 오후 4시 20분쯤 실버 레이크 불러바드와 벨레뷰 애비뉴 인근 한 소매점에서 1200달러 이상의 물건을 훔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이 공개한 주소에는 타켓 매장이 위치하고 있다.     용의자는 체포 당시 총 4000달러 상당의 물건 절도 혐의 10건으로 보호관찰 기간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체포되던 당일에도 매장에서 500달러 상당의 세탁 세제를 훔친 뒤 도주하던 그레이풀은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경찰에 적발됐다.     당국은 “용의자의 인상착의와 일치했던 그레이풀이 쇼핑카트를 끌고 가는 것을 발견했다”며 “카트 안에는 치약 등 훔친 물건들이 담겨있었다”고 밝혔다.     그레이풀은 현재 대형 절도 혐의로 기소됐으며, 새로운 혐의가 적용됨에 따라 보호관찰은 보류됐다.     한편 사건이 발생한 곳에서 1마일 남짓 떨어진 소매점에서는 나흘간 두 번이나 잇따라 강도를 당하면서 직원이 폭행을 당하기도 했다.     LAPD에 따르면 사건은 지난 2일 오후 3시 50분쯤 선셋 불러바드와 몰트먼 애비뉴 인근의 할인 매장 ‘99센트’에서 발생했다.   이날 용의자는 매장에 침입해 직원을 흉기로 위협하고 물건을 훔친 뒤 달아났다. 이어 사흘 뒤인 지난 5일 오후 4시 25분쯤 같은 용의자가 또다시 매장을 침입해 다른 직원을 주먹으로 가격해 의식을 잃게 만들고 물건을 훔쳐 도주했다고 경찰은 밝혔다.           그러다 지난 7일 또다시 매장에 모습을 드러낸 용의자 팀 포맨(31)을  발견한 한 직원이 즉각적으로 경찰에 신고해 현장에서 체포됐다. 포맨은  앞선 일련의 강도 사건의 용의자로 확인된 후 강도 혐의로 기소됐다.   장수아 기자실버레이크 연쇄절도 연쇄절도 몸살 실버레이크 지역 타운 인근

2023.12.12. 22:00

실버레이크에 116에이커 공원 세운다…저수지, 산책로·광장 등 전환

한때 LA 최대 상수원이었던 실버레이크 저수지가 대형 공원으로 탈바꿈한다.   한인타운에서 북쪽으로 불과 4마일 거리의 실버레이크 저수지가 각종 편의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전환되면 LA의 새 명소로 거듭날 전망이다.   LA시의회는 지난 23일 실버레이크 저수지 공원 개발안과 관련, 환경평가보고서(EIR)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   자금 조달 등이 확정되면 시의회는 최종 의결을 거쳐 본격적인 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공사 예상 비용은 2억6850만 달러다.   EIR에 따르면 실버레이크 저수지의 116에이커 지역을 녹지공간으로 전환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공사 예상 기간만 5년이다.   보고서에는 ▶저수지 내 기존 공원 공간을 놀이터, 정원, 교육 센터 개발 등으로 전환 ▶저수지 북동쪽 미사용 지역에 산책로 및 계단식 관람석 개설 ▶작은 저수지인 이반호의 산책로 확장 및 전망대 설치 ▶애견 공원, 광장, 레크리에이션 센터 등 다목적 시설, 자전거 도로 등 건설 ▶콘크리트 제방 제거 ▶동식물을 위한 서식지 마련 등 구체적인 계획이 담겨있다.   이는 LA시공공사업부, LA시 시설공학부서(BOE) 등이 공청회, 현장 환경 평가 등을 거쳐 지난 1년여간 작성해 시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다.   부동산 전문 매체 LA어바나이즈는 24일 “이 프로젝트는 지난 2016년 비영리 단체인 ‘실버레이크포워드’가 추진한 것으로 지역 주민들의 풀뿌리 운동을 통해 시작됐다”며 “연방 정부의 물 저장 규정이 변경되면서 지난 2006년부터 실버레이크 저수지의 물 사용이 단계적으로 중단됐는데 저수지가 방치되다 보니 지역사회 주도로 추진된 것”이라고 보도했다.   한편, 실버레이크 저수지는 지난 1907년 윌리엄 멀홀랜드가 설계해 만들었다. 당시 비상급수 시설로 운영됐던 저수지는 중단 조치 전까지 상시급수시설로 사용됐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실버레이크 에이커 실버레이크 저수지 저수지 북동쪽 산책로 확장

2023.08.24. 21:52

썸네일

[영상] 과속 오토바이 경찰과 추격 끝에 실버레이크서 체포

 영상 실버레이크 오토바이 과속 오토바이

2022.06.20. 11:52

썸네일

실버레이크 2.6 지진

LA한인타운 인근 실버레이크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연방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8일 오전 7시38분 실버레이크 인근에서 규모 2.6의 지진이 일어났다. 지진은 실버레이크에서 서남쪽 1.2마일, 에코 파크에서 1.6마일, 한인타운에서 2.9마일, 할리우드에서 3.4마일 떨어진 곳으로 진원 깊이는 5마일이다.     캄튼과 샌퍼낸도밸리를 포함한 LA 전역에서 가벼운 흔들림이 느껴졌다. 지진으로 건물이나 인명 피해 보고는 없었다. 한편 최근 열흘 남짓 남가주에서 규모 3.3~4.0에 달하는 지진이 잇따라 발생했다. 장병희 기자지진 실버레이크 실버레이크 인근 la한인타운 인근 에코 파크

2022.02.08. 21: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