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지루하고 의미가 느껴지지 않는가? 인생이나 직장에서 성과를 내고 싶고, 인정 받고 싶은가? 지금 하는 일에 열정을 불태우고 싶은가? 그렇다면 주저하지 말고 당장 몰입하라. 몰입이란,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한가지 활동에 깊이 집중된 상태’를 말한다. 집중력이 탁월한 사람들은 빠르게 몰입 상태에 도달하지만, 일반적인 사람들 역시 어떤 일을 일정시간 지속해서 몰두하다 보면 그 흐름 속으로 자연스럽게 빨려들어가게 된다. 몰입은 일과 삶의 효율을 극적으로 끌어 올리는 힘이다. 하루는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24시간이 주어진다. 그런데 동일한 업무를 맡겼을 때, 어떤 직원은 아직도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반면, 다른 직원은 이미 결과물을 제출하며 다음 과제를 준비하고 있다. 물론 경험이나 능력의 차이도 존재하겠지만, 그보다 중요한 요소는 몰입이다. 하루 종일 책상 앞에 앉아 있지만 아무런 성과 없이 퇴근하는 사람과 ‘도대체 언제 이 모든 일을 해낸 거지?’ 싶은 놀라운 성과를 보이는 사람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은 결국 얼마나 몰입했느냐 여부인 것이다. 몰입의 개념을 세상에 알린 이는 미국 시카고 대학의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다. 그는 몰입을 영어로 Flow, 즉 ‘흐름’이라고 명명했다. 그가 말하는 몰입의 상태란 다음과 같다. “삶이 고조되는 순간, 행동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시간과 공간, 심지어 자아에 대한 의식까지 사라지는 심리 상태.” 한마디로 말해, 완전한 집중을 통해 무아지경에 이르는 단계다. 칙센트미하이 교수는 이 상태에 도달한 사람은 자신감이 넘치고, 창의성이 폭발하며, 내면에서 깊은 만족과 행복을 느낀다고 설명한다. '직원을 몰입시켜라.' 이 말은 고용주 입장에서 보면 솔깃한 주제일 수 있다. 하지만 직장인의 입장에서는 마치 회사가 ‘몰입’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을 착취하려는 것처럼 들릴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이런 질문을 던져보자. ‘몰입’은 과연 조직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개인을 위한 것인가? 이에 대해 칙센트미하이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일을 필요악으로 여기고,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상태를 행복의 지름길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 반대다. 여가는 일보다 즐기기 어렵다. 시간이 아무리 많아도 그것을 의미 있게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하면, 삶의 질은 결코 높아지지 않는다.” 생각해보자. 쓸 데 없이 빈둥거리면서 진정으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시간을 허비하며, 남보다 뒤처지고 있다는 불안 속에서 살고 있지는 않은가? 반면, 열심히 일한 후 느끼는 뿌듯함과 성취감, 그 기쁨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혹시 당신이 회사가 자신을 ‘몰입’시키려는 것이 얄밉다고 느낀다면, 이제 시선을 바꿔야 한다. 몰입은 회사를 위한 것이 아니라, 결국 나 자신을 위한 것이다. 자신이 잘하는 분야에 몰입하고, 성과를 내며, 인정도 받고, 보상도 받는다면, 그 자체로 삶의 질은 높아지고, 행복은 따라오게 된다. 몰입은 지금 이 순간, 당신이 가장 확실하게 자신의 인생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변호사, 공인회계사) 손헌수손헌수의 활력의 샘물 몰입 인생 몰입 상태 심리 상태 심리학자 미하이
2025.05.22. 12:44
골프가 정신력에 의해 좌우되는 게임이라는 것은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스윙이 몸동작에 의해서만 지배받는 운동이라면 같은 사람이 한 장소에서 하나의 클럽으로 볼을 계속 친다 해도 구질은 일정해야 한다. 그러나 클럽 길이와 장소에 따라 스윙이 바뀌고 구질이 매번 달라지는 것 역시 정신적 측면이 골프의 배경에 깔렸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러한 심리 상태는 그린 위에서 확실히 나타난다. 짧은 퍼팅을 실수한 후 연습으로 쳐보면 십중팔구 홀(컵)에 들어간다. ‘기미(gimmie)’를 기대하던 불안한 거리의 퍼팅을 ‘OK’를 받지 못하면 그 퍼팅은 실패할 확률이 높고, 이는 퍼팅과 심리적인 요인과의 연관성을 입증한다. 테니스와 농구, 배구 등 다른 운동은 반사 동작에 의해 순간적인 대응으로 게임이 이뤄지지만 골프는 죽은 듯이 놓여 있는 볼을 자신의 몸을 움직여 쳐 나간다. 볼을 치는 것은 몸동작에 의해 진행되지만 어떤 방법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머리(뇌)를 쓸 수밖에 없다. 이것이 바로 정신이 스윙이라는 육체적 동작을 완전히 지배하고 있어 골프를 ‘멘탈게임’이라고 하는 이유 중에 하나다. 스윙 중에 골퍼가 가장 많이 생각하는 것은 테이크백(take back)부분이다. 티샷이나 어프로치, 특히 퍼팅에서 흔들림 없는 백스윙에 온 정신을 집중한다. 실질적으로 퍼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양손의 위치와 테이크백이며 이것을 퍼팅의 심장이라고 말한다. 테이크백을 정확하게 하려면 우선 양손이 좌우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면 안 된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 부드러운 퍼팅을 기대할 수 없다. 이것은 퍼팅뿐만 아니라 일반 스윙에도 통용되는 것으로 숙지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퍼터의 샤프트(shaft)가 지나치게 왼쪽 무릎이나 오른쪽 무릎 쪽으로 치우치지 말고 몸의 중앙, 즉 볼 뒤에 타면이 놓여 있는 상태에서 수직을 이루도록 양손의 위치를 확고히 해야 한다. 개인의 습관에 따라 볼의 위치가 몸의 중앙이던 왼발 쪽에 위치하든 상관없이 퍼터의 샤프트는 언제나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볼을 치는 힘은, 백스윙과 같은 템포(tempo)로 볼에 오버스핀(over spin), 즉 자전력이 생겨 구를 수 있도록 볼 위치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볼의 위치는 자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왼발 뒤꿈치 선상이 적합하다. 퍼터의 타면이 상승 궤도로 진입하는 순간 타면이 볼의 2/3 상단에 접촉돼야 한다. 주의할 것은 손목에 의한 조작으로 퍼터의 상승궤도를 유도하면 볼에 구름이나 거리를 맞출 수 없어 퍼팅에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연습이란 반복을 거듭하여 뇌가 근육에 전달, 생성된 흐름을 이어가야 흔들림 없는 스윙루틴(swing routine)을 찾아 수행능력을 키울 수 있다. ▶www.ThePar.com에서 본 칼럼과 동영상, 박윤숙과 동아리 골프도 함께할 수 있습니다. 박윤숙 / Stanton University 학장골프칼럼 스윙루틴 기억 심리 상태 일반 스윙 왼발 뒤꿈치
2025.01.23.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