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우주 탐사를 향한 인류의 꿈이 담긴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이 달을 다시 찾아 나섰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9일 오전 5시 33분~7시33분(LA시각) 사이에 프로그램 1단계 계획 핵심인 로켓을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의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한다고 밝혔다. 1972년 아폴로 17호 뒤 50년 만에 재개하는 유인 달 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의 첫 비행 미션이다. 사상 최강의 추력을 뽐내는 대형 로켓 ‘우주발사시스템’(SLS)에 실려 떠나는 유인 캡슐 ‘오리온’은 약 42일에 걸쳐 달 궤도에 다녀온다. 총 길이 98.1로 32층 건물 높이인 SLS는 아폴로 우주선을 달로 보낸 새턴 5(111)보다 짧지만, 최대 추력이 400만㎏ 정도로 15% 더 강화됐다. 오리온은 유인 캡슐이지만 우주복을 입은 마네킹 3개가 탑승한다. 우주 비행사가 달에 안전하게 다녀올 수 있도록 우주선과 장비가 제대로 제작됐는지 확인하는 게 이번 첫 비행 시험의 주목적이다. 마네킹은 실제 비행사를 모사해 뼈, 장기, 연조직 등 인체 조직과 같은 물질로 만들어졌다. 사진은 발사 하루를 앞둔 28일 발사대에 선 SLS. [로이터] 원용석 기자아폴로 우주선 우주 비행사 심우주 탐사
2022.08.28. 20:14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가 서부시간 4일 오후 4시 8분쯤 우주로 발사됐다. 다누리는 발사 40여분간에 걸쳐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을 마치고 우주 공간에 놓였으며, 발사 후 초기 과정은 순조롭게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누리는 발사 40여분간에 걸쳐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을 마치고 우주 공간에 놓였으며, 발사 후 초기 과정은 순조롭게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누리가 발사 이후 궤적 진입부터 올해 말 목표궤도 안착까지 까다로운 항행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다면, 한국은 달 탐사선을 보내는 세계 7번째 나라가 되면서 우주 강국의 지위를 굳히게 된다. 지금까지 달 궤도선이나 달 착륙선 등 달 탐사선을 보낸 나라는 러시아, 미국, 일본, 유럽, 중국, 인도 등 6개국이다. 달 탐사 궤도선을 보내는 것은 지구-달의 거리 수준 이상을 탐사하는 ‘심우주 탐사’의 첫걸음이기도 하다.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가 1992년 하늘로 올라간 이후 30년 만에 한국은 다누리를 통해 지구를 넘어 또 다른 천체를 바라보며 새로운 궁금증과 꿈을 품게 됐다. 매일 밤하늘에서 빛나 우리에게 친숙하지만, 뒷면은 보여주지 않고 있는 달이 가진 비밀의 일부를 밝히는 데 한국이 과학기술로 기여할 기회이기도 하다.탐사선 우주 심우주 탐사 우주 공간 우주 강국
2022.08.04. 2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