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머릿속은 그 사람이 일상적으로 들고 다니는 가방 속과 그 사람이 사는 집안 구조와 같다고 한다. 오래전, 겨울이 끝나가는 화창한 날 그녀의 전화를 받았다. 반가웠다. 중요한 서류를 룸메이트가 뒤질까 봐 몽땅 들고 다니는 그녀가 또 그 무거운 주홍색 백팩을 메고 나올까?‘ 궁금했다. 맨해튼 다운타운 워싱턴 스퀘어에서 만났다. 나는 봄볕에 달구어진 벤치에 등을 기대고 앉아 있었다. 멀리서 주홍색이 세월의 때가 묻어 갈색이 된 백팩을 메고 구부정하게 걸어오는 그녀를 금방 알아봤다. 그녀는 가방이 안전하고 편하도록 벤치에 기대놓고 자신은 의자 끝에 히프를 살짝 얹은 불편한 자세를 취하더니 쑥스러운 표정으로 나를 쳐다봤다. “백팩이 지난번 만났을 때보다 더 커진 것 같아요.” “무게는 별반 달라진 것이 없는데, 남편과 이혼한 서류를 넣었더니.” “결혼했었어요? 나는 싱글인 줄 알았는데.” “먹고 살길이 막막해서 어린 나이에 한국에 파견된 미군과 결혼하고 조지아로 왔어요. 미국 하면 화려하고 좋은 줄만 알았지 그렇게 깡 시골에 많은 식구와 일가친척이 모여 사는 줄은 몰랐어요. 남편은 술만 마시면 얼굴값 하는 화냥년이라며 저를 두들겨 패기 일쑤였어요. 그곳에서 버티다가는 죽겠구나 싶어 뉴욕으로 도망 왔지요. 보시다시피 제 얼굴이 조금 반반하지 않나요?” 얼굴에 여드름 자국이 드문드문 있긴 하지만, 흰 피부, 짙은 쌍꺼풀 눈, 적당히 솟아오른 코, 뚜렷한 인중 밑에 얇은 입술은 말할 때 떨리는 듯했다. 꾸미지 않고 뒤로 질끈 묶은 머리털은 거칠었다. 짊어진 커다란 가방에서 시선만 떼고 자세히 관찰했다며 예쁜 얼굴임을 알아봤을 것이다. 몸매 또한 옷만 제대로 걸치고 돌덩어리 같은 주홍색 백팩 없이 똑바로 섰더라면 팔다리가 길고 균형 잡힌 체형이다. 허스키 목소리는 쾌활하게 톤을 높였다가 금방 축 처지는 공허한 낮은 소리로 일관성 없이 수시로 변했다. 그녀의 기분 또한 각양각색으로 나타났다. 말을 멈추고 지나가는 사람들을 눈여겨보는가 하면 불안한 자세로 몸을 웅크리고 뭔가 두려운 듯 두리번거렸다. 나와 눈이 마주치면 깜빡했다는 얼빠진 표정의 씁쓸한 미소로 허리를 펴고 다시 이야기를 시작했다. 아마 자신의 지난 삶을 뒤돌아본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닌가 보다. “이혼을 해주지 않아 미루다가 그간 수없이 많은 서류가 오가면서 드디어 얼마 전에 서류 정리가 끝났어요.” 이혼으로 그녀의 몸과 마음은 홀가분하고 가벼워진 듯 미래에 대한 희망에 들떠 있었다. 그녀의 등에 업혀 바래고 피곤해져 갈색조로 변해가는 백팩이 마치 생명체를 띄며 이제는 그만 그녀의 등에서 내려서 쉬고 싶다고 진지하고 묵직한 표정으로 쳐다보는 듯했다. 이수임 / 화가·맨해튼글마당 싱글 주홍색 백팩 허스키 목소리 서류 정리
2025.01.09. 22:21
골프 시즌이다. 올해엔 더욱 향상된 샷 실력을 보여주고 싶은 골퍼들이 연습장을 찾아서 맹연습하고 있다. 동절기에 굳어있던 골프 근육도 풀어주고, 자기만의 스윙 기술을 잘 지키기 위해선 꼭 필요한 연습일 것이다. 그런데 필자가 연습장에서 항상 느끼는 것은, 대부분 골퍼가 한가지 목표 방향의 볼 포지션에 서서 똑같은 셋업 자세로 연습 시간을 모두 소비하는 것이 너무 안타까워 보인다. 실전에서도 볼을 효과적으로 칠 수 있는 연습 샷, 즉 각각 다른 목표 지점을 향한 어드레스와 몸의 정렬(Alignment), 셋업, 볼 포지션, 그립 등을 확인하면서 샷을 하고 있는지 의심스럽기 때문에 그렇다. 골퍼들이 라운드 도중에 “연습장 매트 위에서 연습 샷 할 땐 스윙이 만족스럽고 공도 잘 맞히는데 이상하게 골프 코스에만 나오면 샷이 망가지고 스코어는 엉망진창이다”라는 불평불만을 많이 한다. 연습장에서 잘되던 샷이 실전에만 나가면 안 되는 첫째 원인은 목표 지점과 볼 포지션이 다를 때를 대비해서 똑바로 서는 내 몸의 정렬 훈련을 연습장에서 전혀 안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골프장에는 내 시선과 방향에 도움을 주는 라인이 거의 없다. 코스의 잔디와 지형의 위치에 따라 양발의 넓이와 높이가 달라지고, 특히 업 다운 경사진 위치에서는 타깃 지점과 내 시선에 많은 시(視) 편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어드레스 자세가 불편해지고 볼 포지션이 바뀌면서 연습장에서처럼 스윙을 못 하게 되는 것이다. 잘 알고 있듯이 골프는 연습장과 골프 코스의 주변 환경이나 상황이 아주 다른 것이 사실이다. 연습장의 사각진 티박스 내에 잘 정돈된 매트의 사방에는 자세의 방향과 정렬을 도와주는 가이드라인이 너무 많아서, 타석 내에 들어서기만 하면 목표 지점을 향한 어드레스와 볼 포지션이 자동으로 셋업 된다. 매끈하고 평평한 매트의 정가운데 편하게 자리 잡고 서서 오직 스윙이 올바른가 그른가만을 생각하며 기계처럼 볼을 쳐내는 습관이 곧바로 연습장 고수가 되는 지름길이 되기도 한다. 골프 은어 중에 ‘연습장 싱글’이란 재미있는 표현이 있다. 70~80년대 일본 내에 골프 붐이 한창 일었던 시절 도심 빌딩 내 이곳저곳에 실내 골프 연습장들이 우후죽순처럼 늘어나며, 중산층 사이에서 골프 인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경제 사정이나 시간 때문에 골프장에 나갈 수 없었던 사람들이 연습장의 연습 샷만으로도 핸디캡을 인정(?)받으면서 연습장 싱글이란 은어가 유행했다고 한다. 이후 한국에서도 실내 연습장 골프 붐이 일어났으며 연습장 싱글이란 은어가 ‘닭장 싱글’이란 코믹한 은어로 바뀌었다는 설(說)이 있다. 정리하면, 한정된 실내의 좁은 공간에 그물망을 쳐놓은 연습장 모습이 마치 실내 닭장과 유사한 이미지라는, 표현 그대로 붙여진 은어다. 연습장 망 안에서는 마치 싱글 핸디캐퍼와 같은 수준의 샷을 하지만 막상 골프코스 실전에 나서면 백돌이(100타 정도) 수준도 잘 안 되는 골퍼를 ‘닭장 싱글 핸디캐퍼’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연습장에서 아무리 잘 치고 멀리 쳐도 골프 코스 실전 게임에서 볼의 방향이 타깃을 향하지 않으면 점수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 스코어를 줄일 수 있는 기본은 “목표 지점을 향하여 똑바르게 잘 서는 훈련을 하는 것이 최우선이다”라는 교과서 내용대로 목표물에 에이밍(Aiming)하는 방법과 정렬에 관련된 이론을 열심히 공부하고 타깃을 자주 바꿔가며 몸을 정렬하는 셋업을 반복적으로 연습해야만 시 편차 때문에 생기는 불안한 자세들을 조금씩 고쳐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정철호 / 골프칼럼니스트·티칭프로 Class A-1골프칼럼 연습장 싱글 연습장 싱글 실내 연습장들 연습장 매트
2024.04.08. 21:31
독신 생활을 위해선 연간 평균 7000달러 이상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로닷컴이 지난 12일 발표한 지역별 ‘독신세(Single Tax)’ 현황에 따르면 1베드룸 임대의 경우 싱글은 연간 평균 7110달러를 추가 비용으로 부담해야 한다. 전년도에 비해 100달러 이상 인상된 수치다. 독신세가 가장 높은 도시는 뉴욕으로 지난해보다 600달러가 오른 평균 2만100달러에 달해 전국 평균의 3배에 육박했다. 이어 북가주의 샌프란시스코와 샌호세가 각각 1만3438달러, 1만1967달러로 2, 3위를 차지했다. 이어 워싱턴DC(1만1452달러), 보스턴(1만1399달러)이 뒤를 이었다. 남가주 도시로는 샌디에이고가 1만849달러로 6위, LA는 8857달러로 10위를 기록했다. 7~9위는 시애틀(1만825달러), 애틀랜타(9000달러), 덴버(8994달러) 순이었다. 결국 둘이 따로따로 생활할 때보다 함께 생활할 경우 전국 평균으로는 최대 1만4220달러, 뉴욕시에서는 최대 4만200달러까지 절약 가능해지는 셈이다. 독신세가 높은 도시는 전국에서 주택비용이 가장 높은 지역들로 나타나 뉴욕시 1베드룸 아파트의 평균 임대료는 월 3350달러로 전국 평균치 1185달러의 2.8배에 육박했다. 가주 도시로는 샌프란시스코 월 2240달러, 샌호세 1994달러, 샌디에이고 1808달러, LA 1476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거비뿐만 아니라 식비, 의료비, 교통비, 여가비 등 기타 비용을 포함할 경우에도 싱글이 커플보다 생활비 부담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매사추세츠공대가 추산한 2022년 인플레이션 반영 뉴욕시 1년 생활비는 싱글이 3만9130달러에 달했다고 CNBC가 14일 보도했다. 이에 반해 커플은 5만6033달러로 싱글에 비해 1만6903달러 추가에 그쳐 결국 연간 최대 2만2227달러, 28.4%를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같은 결과는 커플이 식료품 및 생활용품 대량 구입, 차량 공유 등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박낙희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가주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LA 주거비 생활비 독신세 싱글 커플
2024.02.19. 23:00
“다인 아빠, 다인 아빠.” 서너 번을 불렀지만, 대답이 없다. 눈을 간신히 뜨고 침대 앞 서랍장 위를 보니 양말과 속옷이 없다. 남편은 이미 목욕하고 속옷을 갈아입고 스튜디오로 출근했다. 시계를 보니 6시 30분이다. 남편이 오트밀을 끓여 먹고 출근 준비를 하면 나는 일어나 다음날 도시락을 위해 남겨 둔 음식으로 도시락을 싸준다. 오늘은 잠에 빠져 남편의 기척을 듣지 못했다. “좀 쉬지. 무리하지 마. 그러다 쓰러진다”라고 수시로 나에게 말하는 남편의 이름은 ‘이 일’이다. 이름에 걸맞게 남편은 눈뜨자마자 이일 저일 누울 때까지 일한다. 인간의 삶이 이름 따라가나? 아들 이름은 ‘다인’이다. 차 다에 어질 인이다. 여유롭게 차 마시며 착하게 살라고 남편이 지었다. 아이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어릴 적부터 일만 하는 제 아빠를 보고 자라서인지 쉬지 않고 움직거린다. 직장을 옮길 때도 쉬는 것이 더 힘들다고 바로 새로운 직장을 잡았다. 새벽 4시부터 일어나 일하신 시할머니 그리고 시부모님도 “죽으면 썩어질 몸인데 움직거릴 수 있을 때까지는 쉬지 않고 움직거려야지. 멀쩡한 사지는 그냥 놀리는 게 아니야” 하셨다. 사람은 이름 따라 산다기보다는 오히려 보고 듣고 자란 대로 산다는 것이 더 일리가 있는 것 같다. 친정아버지를 닮은 나는 일할 때는 일 하고 놀 때는 열심히 끝까지 논다. 일 좋아하는 남편을 밖으로 끌어내기란 쉽지 않다. 남편은 마지못해 따라나선 바닷가에서도 수영복으로 갈아입지 않고 그늘에서 책을 읽거나 신문을 뒤적거린다. 그나마 남편은 크루즈 여행은 좋아한다. 마누라를 배 안에 풀어놓고 베란다에서 바다를 보며 드로잉을 하려는 속셈에서다. 늘 일만 하려는 남편을 만나 크루즈 안에서도 나는 혼자 놀 거리를 찾아 싱글인 양 헤매는 팔자가 됐다. 항상 혼자 다녀서일까? 어느 날 집 가까운 길에서 훤칠한 남자가 “하이, 반갑다. 그동안 잘 지냈어?” 하도 반가워하며 잘 아는 사이처럼 말을 건네길래 자세히 들여다봤다. 전혀 모르는 남자다. “나 너 몰라. 너 사람 잘못 본 것 같다” 말하고 재빨리 돌아서 가려는데 “나 너 파리바게뜨에서 봤어.” “나 그 빵집에서 일하는 사람 아니야.” “알아. 나 너 여러 번 봤어. 잠깐, 건너편 파리바게뜨에 들어가 커피 마시며 이야기 좀 하자.” “미안, 나 싱글 아니야. 남편 있어.” 퇴근해 돌아온 남편에게 말했다. “사람들이 나 항상 혼자 다니니까 싱글인 줄 알아. 당신이 스튜디오에만 처박혀 있으니까 그렇지.” “왜 그 훤칠한 남자와 커피 마시며 수다 좀 떨지 그랬어.” “미쳤냐. 그동안 힘들게 모은 조금 있는 재산 제비에게 뜯길 일 있어. 멀쩡한 놈이 늙은 나에게 왜 그러겠어? 그냥 당신을 돈 버는 기계로 생각하고 싱글처럼 사는 것이 낫지. 근데 좀 이상하네. 명품도 걸치지 않은 늙은 나에게. 제비 아닌가?” 이수임 / 화가·맨해튼글마당 싱글 다인 아빠 아들 이름 건너편 파리바게뜨
2022.11.04. 17:23
오렌지카운티와 인근 지역 골프 티칭프로, 시니어 투어 멤버 등이 주축을 이룬 미주한인골퍼모임(KAPGA, 회장 크리스 차)이 신규 회원 모집에 나섰다. 40세 이상 남성으로 싱글 핸디(핸디가 한 자릿수)면 가입할 수 있다. 크리스 차 회장에 따르면 KAPGA는 2009년 처음 창립됐다. 초창기엔 티칭프로, 라이선스 보유자 등 프로 골퍼들의 모임이었지만, 2015년부터는 아마추어에게도 문호를 개방했다. 현재 회원은 60명이며, 이 중 프로의 비율은 약 30%다. 차 회장은 “창립 초기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포함해 중간에 활동을 중단했다 재개한 적이 몇 번 있지만, 이제 다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서기 위해 회원을 모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KAPGA가 출범한 이유는 한인사회에 프로 수준의 토너먼트가 없기 때문이었다. 차 회장은 “수준 높은 대회에서 경기를 치르지 않으면 기량이 쇠퇴한다. 우린 매달 1회 골프 대회를 열어 기량을 유지하며 시니어 투어 도전을 돕고 있다”라고 말했다. KAPGA는 매달 두 번째 주 목요일마다 남가주 곳곳의 골프장에서 정기 토너먼트를 연다. 지난 8일엔 엘도라도 골프장에서 40여 명이 모여 대회를 치렀다. KAPGA는 5월과 11월엔 다른 달에 비해 큰 규모(27~36홀)의 메이저 대회도 연다. 존 홍 디렉터는 “KAPGA에 가입하면 골프 실력도 키우고 친목도 다질 수 있다”라며 가입을 권유했다. 가입 문의는 존 홍 디렉터(562-640-1177) 또는 홀든 김 토너먼트 위원장(714-588-2369)에게 하면 된다.싱글 핸디 싱글 핸디 프로 골퍼들 티칭프로 라이선스
2022.09.15. 1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