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태어났을 때 상황이 어려웠을 수 있음을 이해하고 누구도 원망하지 않아요. 친부모를 만나 여전히 남아있는 마음속 빈자리를 채우고 싶습니다.” 미국 입양 한인 니콜 스패로우(한국명 박은희·41·사진) 씨는 3일 한국의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팀에 보낸 뿌리찾기 사연을 통해 “친가족을 찾아 그들과 가까워지고 싶다”며 이렇게 말했다. 입양 기록에 따르면 박씨는 1983년 6월7일 오전 11시15분 대구시 북구 김용은 조산소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그는 키 52㎝, 몸무게 3.8㎏으로 태어났다. 친모 최모(당시 29세) 씨는 박씨를 키울 수 없는 형편이라며 조산소에 그를 맡기고 떠났다. 병원 관계자는 최씨를 160㎝의 키에 동그란 얼굴을 가져 지적으로 보였다고 기억했다. 이후 박씨는 동방사회복지회를 통해 같은 해 11월7일 워싱턴주의 한 가정에 입양됐다. 외동딸로 자란 그는 양부모의 따뜻한 사랑과 보살핌을 받았고, 대학에 진학해서는 경영학 및 회계학을 전공했다. 현재 워싱턴주의 한 회사에서 회계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결혼해 가정을 꾸렸고, 평소 스포츠 경기 관람과 승마, 독서, 낚시 등을 좋아하는 편이다. 4년 전부터 입양기관 등을 찾아 친가족의 행방을 수소문하는 등 뿌리 찾기에 나섰지만, 원하는 답을 찾지 못했다. 그는 미국에서 유전자 검사 결과로 가족과 친척을 찾는 사이트에 검사 결과도 올렸다. 몇 개의 사이트에서 2촌 등 비교적 가까운 정보를 찾았지만, 친가족이 아닌 다른 입양인들이었다. 박씨는 친가족 찾기에 대한 끈을 놓지 않고 있다며 “행복하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가정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신 친부모의 선택에 언제나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친부모 원망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팀 친가족 찾기 한국명 박은희
2024.12.04. 21:29
“나이 들기 전에, 더 늦기 전에 친부모를 만나 건강히 잘 지내고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미국 입양 한인 에릭 레이네어트(한국명 강수창·39) 씨는 5일 한국의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팀에 보낸 뿌리 찾기 사연을 통해 “아내와 6개월 된 딸이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입양 기록에 따르면 강씨는 1985년 7월 9일 오후 7시13분 인천 중구 성애의원에서 태어났다. 강씨를 키울 형편이 되지 않았던 친모는 그가 좋은 가정으로 입양될 수 있게 해달라고 부탁하고 병원을 떠났다. 이후 강씨는 보육원인 명성원을 거쳐 대한사회복지회에 입양 의뢰됐고, 같은 해 11월 미국의 한 가정에 입양됐다. 강씨는 “양부모로부터 사랑받으며 자랐지만, 오래전부터 친부모를 찾고 싶었다. 항상 뭔가 모르는 게 있다는 생각이 끊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가 친가족을 궁금해 하는 것처럼 친가족도 나에 대해 궁금해 하고 찾고 싶어하는 건 아닐까 생각해 왔다”며 “내가 누군지 알고 싶고, 친가족은 어떻게 지내는지 궁금하다”고 덧붙였다.미국 강수창 입양 한인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팀 한국명 강수창
2024.09.05. 19:53
입양 한인 마이클 리 베일리(한국명 이철호·43)씨가 친가족을 찾고 있다.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팀에 따르면 이씨는 지난달 28일 뿌리 찾기 사연을 보내 친가족을 찾는다고 알렸다. 입양 기록에 따르면 이씨는 1981년 6월 21일생으로 추정된다. 그는 1982년 12월 또는 1983년 1월 부산역에서 혼자 남겨진 채로 발견됐고, 부산시청을 통해 남광아동복지회로 인계됐다. 이씨는 당초 한국인 부부에게 입양됐지만, 알 수 없는 사유로 돌아왔다. 이후 홀트아동복지회를 통해 위탁 가정의 보호를 받다가 1983년 11월 30일 미국의 한 가정에 입양됐다. 이씨의 특징은 왼쪽 뺨에 있는 점으로 태어날 때부터 있었던 것 같다고 이씨는 설명했다. 이씨는 “한국 이름과 생년월일은 발견된 후에 만들어졌을 것”이라며 “건강한 남자아이였기 때문에 길을 잃었거나 어떤 사정으로 부모님과 떨어졌을 거라고 추측한다”고 말했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입양한인 게시판 게시판 입양한인 한국명 이철호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팀
2024.04.30. 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