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폴로의 쌍둥이 누이인 아르테미스는 달의 여신이다. 미국의 첫 번째 달 탐사 계획이 아폴로였고 그래서 이번에 새로 추진하는 달 탐사 계획의 이름이 아르테미스다. 사실 달에 가장 먼저 착륙한 나라는 구소련이었다. 당시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미소 냉전 시대가 한창이던 때였는데 갑자기 구소련이 먼저 달 탐사 성과를 냈다. 이에 자극을 받은 미국은 어떻게든 달에 유인 우주선을 착륙시켜서 구소련을 앞지를 계획으로 1969년 아폴로 11호를 발사해서 두 명의 우주인이 인류 최초로 지구 밖 천체에 발을 디뎠다. 그 후 돈은 엄청나게 들어가고 가시적인 투자 효과가 없어 보이는 달 탐사는 시들해졌다. 그러나 최근 들어 달의 군사적, 상업적 가치가 다시 평가되면서 이제는 미국과 러시아(구소련) 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경쟁적으로 달 탐사를 하고 있다. 벌써 중국은 달 뒷면 착륙에 성공했고, 인도도 달의 남극 지방에 착륙했으며, 이웃 나라 일본도 비록 뒤집힌 채로지만 목표 지점에 거의 정확하게 착륙하는 데 성공했다. 달에 많은 헬륨-3는 미래의 에너지원인 핵융합 발전의 원료다. 게다가 첨단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지구에서는 구하기 힘든 희토류 광물도 상당량 매장되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궁극적 목표인 화성 탐사의 발판이 되기 때문에 지금 세계 각국은 대한민국을 포함해서 경쟁적으로 달 탐사에 열을 올리고 있다. 2017년에 시작한 아르테미스 계획에는 루나 게이트웨이라는 우주정거장 건설이 포함되어 있다. 달의 궤도를 공전하는 우주정거장을 만들어 향후 더 먼 우주로 나가는 기반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그 후 달 표면에 기지를 건설하여 화성을 비롯하여 태양계 외행성과 그 위성 탐사의 발판을 만드는 것이다. 원래는 2025년에 여성 우주인을 포함한 달 착륙을 시도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연기되었다. 워낙 원대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계획인 만큼 아폴로 때처럼 미국 혼자서 하지 않고 유럽, 캐나다, 일본, 대한민국 등 달 탐사를 계획 중인 나라들과 연대하는 것이 아르테미스 계획이다. 단 경쟁국인 중국은 빠졌고, 러시아도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제외되었다. 미국은 앞으로 달이 국제 분쟁의 소지가 있을 것을 대비해서 투명하고 평화적인 달 탐사를 위한 아르테미스 협정을 정해서 지금까지 대한민국을 비롯한 총 36개국이 서명했다. 미국의 아폴로 계획은 정부가 독점적으로 추진했지만, 이번 아르테미스 계획에는 민간 기업도 참여하게 된다. 미국은 달의 남극에 인류가 임시로 머물며 탐사할 수 있는 전초 기지를 건설할 예정인데 기지의 이름은 Neal Armstrong Lunar Outpost가 될 것이라고 한다. 달의 남극은 기온의 일교차가 적고 마실 물이나 숨 쉴 수 있는 공기를 만들 수 있는 얼음이 풍부한 곳이다. 이전 아폴로 계획은 달이었지만 아르테미스 계획은 태양계의 행성과 그 위성은 물론이거니와 다른 항성까지 넘보는 야심 찬 계획의 첫걸음이다. 달 궤도에 우주정거장을 만들고 달 표면에 기지를 짓고 나서 인류는 화성, 그리고 더 멀리 향할 예정이다. 미래 어느 날, 우리 별 태양을 떠난 일단의 인류 후손은 은하수 속의 다른 별을 향해 빛에 버금가는 속도로 여행할 날이 올 것이다. (작가) 박종진아르테미스 박종진 아르테미스 계획 탐사 계획 화성 탐사
2025.03.07. 12:36
아르테미스 발사 발사 성공 복귀 첫발
2022.11.16. 18:04
50여년 만의 유인 달 탐사 계획인 ‘아르테미스(Artemis)’의 첫 로켓 발사가 오늘(3일) 재시도될 예정이다. 2일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아르테미스Ⅰ 미션 로켓인 ‘우주발사시스템’(SLS)의 발사 예정 시간이 동부시간 기준 3일 오후 2시 17분(서부시간 오전 11시 17분)부터 2시간으로 설정됐다. NASA는 당초 지난달 29일 로켓을 우주로 쏘아 올릴 예정이었으나 엔진 결함, 수소 연료 누출, 발사장 인근 기상 조건 등을 고려해 첫 발사를 연기했다. NASA는 이날 브리핑에서 두 번째 발사 준비가 “본궤도에 올랐다”면서 수소 연료 누출 문제를 해결하는 등 모든 것이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NASA는 발사 당일 기상 조건이 양호할 것이라며 날씨가 좋을 가능성은 최대 80%라고 밝혔다. 한편 우주 관련 잡지 ‘스페이스닷컴’은 케네디 우주센터가 있는 플로리다 브러바드 카운티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앞서 1차 발사 시도 당시 모였던 군중의 2배 이상인 20만~40만명이 이날 로켓이 발사되는 것을 보기 위해 몰릴 것으로 예측했다. 플로리다주 스페이스 코스트 관광청의 미간 하펠 홍보 매니저는 “항구에 4척의 선박이 출항하는 날이자 주말 및 공휴일이기 때문에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이 몰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NASA는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약 50년 만에 사람을 달에 보내기 위한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아르테미스 1호는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로켓이라고 불리는 SLS 로켓에 인간 대신 마네킹을 태운 무인캡슐 ‘오리온’을 탑재해 달 궤도에 진입, 약 42일 뒤에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장수아 기자아르테미스 재발사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오늘 아르테미스 1호
2022.09.02. 19:53
항공우주국(NASA)은 엔진 결함으로 발사가 연기된 유인 달 탐사 계획인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의 첫 로켓의 발사가 다음달 2일 재시도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NASA의 아르테미스Ⅰ 미션 매니저인 마이크 새러핀은 이날 발사 연기 직후 기자회견에서 발견된 로켓 엔진의 문제점을 48∼72시간 이내에 해결한다면 발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새러핀은 “로켓은 여전히 발사 카운트다운 배치 상태에 있다”고 말했다. 앞서 NASA는 이날 오전 8시 33분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로켓을 발사하기로 했지만, 엔진 결함이 발견돼 발사예정시간을 2분 앞두고 연기를 결정했다. NASA는 지금껏 제작한 추진체 중 가장 강력한 추진력을 가진 대형 로켓인 ‘우주발사시스템(SLS)’에 인간 대신 마네킹을 태운 캡슐 ‘오리온’을 탑재해 달까지 가서 달 궤도를 도는 등 42일간 임무를 수행하고 10월 10일 귀환할 예정이었다. 새러핀은 “SLS가 NASA가 지금까지 만든 가장 강력한 로켓이란 점을 고려하면 발사 연기는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이라며 “새로운 기술을 테스트하는 과정의 일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날 발사 실패가 SLS와 오리온을 우주로 보내는 것을 막진 못할 것이라며 “우린 50년 넘게 하지 않았던 일을 하려는 것으로 엄청 어려운 일이다. 우리는 모두 다음 이정표를 보길 원한다”고 강조했다. SLS 발사를 위한 ‘리셋’에는 나흘간의 시간이 필요하고 발사의 창은 내달 2일 낮 12시 48분부터 두 시간 동안 열린다. 이 시간 내에 발사해야 한다는 뜻이다.아르테미스 발사 아르테미스 발사 nasa 아르테미스 발사 연기
2022.08.29. 1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