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이기희의 같은 하늘 다른 세상- ‘아름드리’ 나무에서 안목을

안목은 하루 아침에 생기지 않는다. 안목은 사람이나 사물을 제대로 볼 줄 아는 능력을 말한다. 사물을 보고 분별하는 견식이다. 안목을 키우는 것은 더 현명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갖기 위해서다.     안목을 키우려면 일단 발품을 팔아야 생긴다. 안 보고 안 듣고 남의 말에 귀 안 기울이고 독야청청 자기 생각만 하면 안목이 생기지 않는다. 예술적인 심미안을 갖거나 훌륭한 미술 작품을 선택하가 위해 안목이 필요한 것만이 아니다. 안목은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마주하는 모든 상황 속에서 현명하고 보다 나은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비즈니스 결정이나 중대 사안을 논의할 때,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과정에 있어서도 안목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다.   크고 작은 안목들이 쌓여 내공을 거치면서 실력이 발휘된다. 안목은 스스로의 경험과 사고를 통해 훈련된 자기 설득이다.   사랑도 마찬가지다. 곁눈질 안하며 세기의 커플로 하트를 쏘아올려도 신뢰와 믿음없이 땅만 파다가는 가뭄에 동이 날 수도 있다. 사랑은 스스로 등장인물을 제한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판단과 거시적인 안목으로 사랑을 키우기 어렵다.   좋은 그림 훌륭한 작품을 판별하는 안목을 키우려면 미술관이나 박물관, 전시장을 다니며 부지런히 발품을 팔아야 한다. 많은 작품을 눈여겨 보고 만나면 눈과 가슴이 먼저 미세한 떨림의 작은 반응을 일으킨다. 시각적인 만남을 지나 가슴의   떨림이 영혼 속으로 침투하는 미동을 느낀다. 작가가 누군지 작품의 의미가 무엇인지 몰라도 된다. 무식이 탄로날까 봐 지례 겁먹고 뒷걸음 칠 필요가 없다.   안목은 돈으로 살 수 없다. 인사동이나 아트페어, 전시회 등을 부지런히 다니며 발품을 팔다 보면 어느날 갑자기 창공을 날던 새가 내 품으로 날아드는 환희를 느낀다.     작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탐구하는 과정은 큐레이터의 몫이다. 화랑을 찿는 손님들이 제일 많이 하는 말이 ‘그림에 대해 잘 몰라요’라며 꽁무니를 뺀다. 예술에 대한 무식이 탈로날까 봐 걱정하는 눈치다. 하드웨어 스토어에 가서 어느 쪽에 찿는 연장이 있는지 몰라 내가 해매는 것과 다르지 않다.     ‘저도 다 알지는 못합니다. 매일 조금식 배우고 있어요.’라고 일단 안심시킨다. 화상과 큐레이터, 바이어가 서로 믿고 한 몸이 되야 판매를 성사시킬 수 있다.   고객에게 좋은 작품을 권하기 전에 전시된 작품 중에 고객에게 느낌으로 다가오는 작품을 눈여겨 살핀다. 고객이 눈을 반짝이며 흡사 나비가 꽃봉우리에 날아들 듯 주시하는 작품이 판매의 대상이다.     일단 좋아하는 작품이 생기면 구매가 가능한 지(Affordble)를 파악해 판매를 진행한 것이 큐레이트의 전략이다.   고객이 창공을 날아오르는 기쁨을 민끽할 때 성공적인 거래를 성사시키고 장래를 기약할 수 있다. 유명 화가의 작품이라도 영혼을 끌어안는 에너지가 없으면 투자의 목적은 되겠지만 고객과 궁합이 맞지 않는 선택이다   안목은 사물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눈이다. 귀하고 좋은 것들을 찾아 헤매지만 보석을 손에 쥐고 있어도 알아볼 수 없으면 값싼 사금파리에 지나지 않는다.   ‘아름드리’는 둘레가 한 아름이 넘는 큰 나무를 말한다. 겉모습만 보지 않고 안목을 키워나가면 아름드리 나무의 작은 잎새에서 사물을 통찰하고 꿰뚫어 보는 안목과 혜안(慧眼)이 생긴다. (Q7 Editions 대표)     이기희아름드리 이기희 아름드리 나무 미술 작품 큐레이터 바이어

2025.07.15. 14:14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