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전체

최신기사

아시안 성인, 정부 신뢰도 가장 높다

아시안 성인의 연방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타인종 대비 가장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여론조사 기관 퓨리서치센터가 발표한 ‘미국인의 정부 역할에 관한 견해: 이어지는 분열과 합의의 지점 그 어디쯤에서’ 리포트에 따르면, 연방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최근 들어 상승한 22%를 기록한 가운데 아시안의 신뢰도는 36%로 ▶히스패닉(30%) ▶흑인(27%) ▶백인(19%) 대비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항상, 대부분 신뢰한다’(36%) ▶‘가끔 그렇다’(56%) ▶‘절대 아니다’(8%)로 집계됐고, 부정적 응답 역시 모든 인종중 가장 낮아 아시안의 연방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 역할의 적절성 질문에는 아시안의 66%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등 큰 정부를 원했고, 이는 히스패닉(70%)에 이어 2위였다.   인종을 통틀어 전체 응답자 기준으로는 49%가 큰 정부를 원했고, 48%는 그렇지 않았으며, 전체 응답자의 53%는 정부가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했고, 46%는 내버려두는 게 낫다고 했다.   아시안 민주당원의 80%는 큰 정부의 적극적 문제 해결을 원했다. 아시안 공화당원의 경우 유의미한 응답 수를 확보하지 못했다.   개인·비즈니스를 그냥 내버려두는 게 나을 정도로 정부 개입이 너무 많다며 작은 정부를 희망한 아시안은 34%로, 백인(54%)에 이어 2위였다.   다만 비즈니스 규제에 대한 의견을 직접적으로 물을 때는 긍정적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정부의 비즈니스 규제와 관련해선 아시안의 70%가 필요하다고 답해 전인종 중 1위였고, 이어 ▶흑인(69%) ▶히스패닉(62%) ▶백인(53%) 순이었다.   취약계층 공공부조와 관련해선 아시안의 40%가 더 지원해야 한다고 답해 흑인(67%)에 이어 2위였으며, 줄여야 한다는 아시안도 26%로 백인(32%)에 이은 2위였다.   사회보장제도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아시안의 38%가 대상자를 더 늘리고 혜택을 확장해야 한다고 답했지만, 흑인(58%)·히스패닉(51%)보다 적었다. 현행을 유지하자는 아시안은 34%로, 백인(45%)에 이어 2위였다.   반면, 사회보장제도에 부정적인 아시안의 비중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감축하자는 아시안은 20%로, 백인(15%)·흑인(11%)·히스패닉(8%)보다 높은 비율이었다.     이번 조사는 4월 8~14일 7166명의 등록 유권자를 포함한 870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됐고, 일부 데이터는 5월 13~19일 성인 8638명을 조사한 결과를 반영했다. 오차범위는 ±1.5%포인트다. 강민혜 기자아시안 정부 아시안 성인 아시안 민주당원 아시안 공화당원

2024.06.25. 21:41

인플레 우려 여전히 심각

미 전역 성인 대다수는 인플레이션을 아직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미 전역 성인의 62%는 중대 문제로 인플레이션을 꼽았다. 이는 지난해(65%)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주요 문제로 이를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뒤이어 ▶여야 협치 (60%) ▶헬스케어 감당 여력(57%) ▶약물 중독(55%) ▶연방 예산 부족(53%) ▶불법 이민(51%) ▶총기 폭력(49%) ▶폭력 범죄(48%) ▶도덕적 가치(46%) ▶공립교 교육 수준(42%) ▶기후 변화(36%) ▶국제 테러(31%) ▶도로 기반 시설(30%) ▶국내 테러(29%) ▶인종차별(29%) ▶실업률(25%) 순이다.   정당별로는 공화당원(80%)이 민주당원(46%)보다 인플레에 대한 우려가 컸고, 불법 이민(78%)에도 민주당원(27%)보다 높았다.   반면 민주당원(68%)은 공화당원(27%)보다 총기폭력에 대한 걱정이 컸고, 인종차별(민주당원 42%)에도 공화당원(14%)보다 높은 우려를 표했다.   현재 국가의 경제 상황이 좋다고 응답한 이들은 전체의 23%에 불과했는데, 이중 인종별로는 아시안 민주당원(37%)이 같은 정당의 ▶흑인(30%) ▶히스패닉(26%)보다는 많이, 백인(44%)보다는 적게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조사는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아시안만 대상으로 했으며,  유의미한 아시안 공화당원 응답자를 확보할 수 없었다.   민주당원 응답자 중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시니어(55%)가 상황을 가장 긍정적으로 봤고, 이어 ▶50~64세(47%) ▶30~49세(29%) ▶18~29세(21%)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공화당원은 경제상황에 대한 낙관이 각각 ▶7% ▶8% ▶12% ▶16% 등으로 집계돼, 민주당원보다 현저히 낮은 긍정적 인식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 중 자신의 재정상태가 양호하다고 응답한 이는 41%였고, 이들 중에선 40%가 국가 경제 상황이 좋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43%는 국가 경제 상황이 향후 똑같을 것이라고 답했다. 나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는 이들은 24%에 불과했고, 32%는 악화될 것이라 답했다.     다만 개인의 재정 상황에 대한 질문에는 49%가 현재와 같을 것이라 응답했고, 34%는 나아질 것이라 답했다. 16%만이 나빠질 것이라 응답했다.   조사는 이달 13~19일 미 전역 성인 8638명을 대상으로 시행했으며, 오차범위는 ±1.5%포인트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인플레 심각 민주당원 응답자 아시안 민주당원 아시안 공화당원

2024.05.28. 21: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