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재를 보면 등장인물의 이름을 만드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닙니다. 가끔 교재에 등장하는 이름이 저자의 자녀이거나 친구의 이름인 경우도 있습니다. 교재의 이름은 일반적이고, 발음하기 쉬운 게 좋습니다. 그런데 교재에 등장하는 외국인 이름을 부를 때는 좀 더 복잡해집니다. 예를 들어 교재에 등장하는 ‘마이클’은 어떻게 불러야 할까요? ‘마이클아!’는 아무래도 어색합니다. 그리고 마이클은 이름일까요, 성일까요? 교재에 서양인은 성과 이름이 다 안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중국인은 성과 이름이 같이 나오는 게 일반적입니다. 기준이 뭘까요? 이름이라는 말에는 두 가지 의미 또는 사용이 있습니다. 보통은 성과 이름을 포함한 전체를 이름이라고 합니다. 저의 경우는 조현용이 이름이지요. 그런데 금방 이야기한 것처럼 성을 제외한 부분을 이름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름이 뭐냐는 질문에 ‘현용입니다’와 같이 대답하기도 합니다. 그러고 보면 한국어는 이름에 관한 질문부터 어렵습니다. 성까지 이야기해야 할지 망설이게 되는 겁니다. 한국어는 다른 말과 달리 부모의 이름을 입에 올리는 것을 꺼립니다. 어쩔 수 없이 부모의 이름을 이야기할 경우에는 무슨 자, 무슨 자와 같이 표현합니다. 제 이름을 예로 들자면 ‘현 자, 용 자를 쓰십니다’와 같이 이름을 설명합니다. 한자 이름을 쓰는 주변의 나라에는 이러한 금기는 없다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예전에는 이름 자체를 잘 부르지 않았습니다. 남의 이름을 부르는 것 자체가 실례처럼 느껴진 것 같습니다. 이름은 부모만 부르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그것도 자식이 크고 나면 이름을 부르지 않았습니다. 지금도 할아버지는 아버지의 이름을 잘 부르지 않습니다. 이름 대신 다양한 호칭이 만들어집니다. 예전에는 ‘호’나 ‘자’를 부르기도 했습니다. 고향을 따서 ‘무슨 댁’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아이들의 경우라면 별명이나 아명을 부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예전에는 서로 이름도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는 농담 아닌 농담도 있습니다. 부르라고 만든 이름을 거의 아무도 부르지 않는 특이한 문화입니다. 물론 요즘에는 이름에 대한 문화가 변하고 있습니다. 이름에 관한 현상은 연예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어쩌면 더 심했을 수도 있습니다. 본명은 드러내지 않고, 예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름만 바꾸는 경우도 있고, 성만 바꾸는 경우도 있습니다. 때로는 모두 바꾸거나, 이름만 새로 만들어서 쓰기도 합니다. 그래서 종종 성이 무언지 혼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나와 같은 성인 줄 알았던 사람이 나와 성이 다르고, 나와 성이 다른 사람이 알고 보면 같은 성이기도 합니다. 가수 나훈아는 나 씨가 아니고, 남진은 남 씨가 아닙니다. 서태지도 서 씨가 아닙니다. 성을 찾아보시면 재미있는 결과를 발견할 겁니다. 저는 종종 조용필이 조 씨라는 점이 왠지 다행스럽습니다. 훌륭한 대중음악가죠. 한편 어느 순간부터는 아예 성 자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특히 케이팝 가수의 경우는 성을 쓰는 경우가 드물 정도입니다. 예를 들어 BTS나 블랙핑크, 레드벨벳는 열렬한 팬이 아니라면 성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가수들이 성을 쓰지 않는 것은 기억하고 부르기 좋다는 측면과 자유롭고 싶다는 생각이 합쳐진 것이라고 봅니다. 성을 물어보는 퀴즈를 내면 얼마나 맞힐까요? 저는 세종학당재단 홍보대사였던 레드벨벳의 ‘강슬기’는 맞혔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가수가 연기할 때는 본명을 쓰는 경우가 있다는 점입니다. 가수인 자신과 배우인 자신을 구분하고 싶은 동기가 있다고 봅니다. 아마도 그런 시도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가수 ‘비’가 배우 ‘정지훈’으로, 가수 ‘아이유’가 배우 ‘이지은’으로 활동하면서인 것 같습니다. 이제 이런 현상은 하나의 규칙처럼 되고 있습니다. 수지는 배수지로, 윤아는 임윤아로, 민호는 최민호로 활동합니다. 한국의 문화를 이해할 때 이름을 잘 살펴보는 재미도 솔솔 합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아이유 이지은 성과 이름 외국인 이름 한자 이름
2024.09.08. 17:54
4세대 대표 걸그룹 '아이브(IVE)'와 싱어송라이터이자 배우로 활동하는 '아이유' 등 케이팝 가수들이 속속 애틀랜타를 찾는다. 먼저 아이브는 3월 24일 일요일 오후 8시 다운타운 스테이트팜 아레나에서 콘서트를 펼친다. 아이브는 데뷔 후 첫 월드투어를 돌며 아시아, 북미, 유럽, 남비, 호주 등 19개국 27개 도시에서 콘서트를 진행한다. 미국에서는 애틀랜타를 포함해 오클랜드, 뉴어크, 잉글우드 등 6개 도시에서 콘서트가 예정돼 있다. 월드투어의 제목은 '쇼 왓 아이 헤브(Show What I Have)'로, 데뷔부터 화제를 모은 인기곡들을 선보일 계획이다. 애틀랜타 콘서트 티켓은 현재 티켓 마스터 혹은 라이브네이션(livenation.com) 홈페이지에서 구매할 수 있다. 아울러 아이유는 7월 19일 금요일 애틀랜타 스테이트팜 아레나에서 콘서트를 개최한다. 현재 아이유는 2년 만에 컴백을 앞두고 있으며, 3월 2일 서울 콘서트를 시작해 ‘H.E.R.’이라는 이름으로 월드투어를 떠난다. 북미는 뉴어크, 워싱턴 D.C., 오클랜드, 로스앤젤레스 등을 찾을 예정이다. 애틀랜타 콘서트 티켓 예매 일정 및 자세한 사항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한편 두 콘서트가 개최되는 스테이트팜 아레나 주차장 티켓은 사전에 온라인에서 구매하면 더 할인받을 수 있다. 아이브 콘서트=tinyurl.com/mtdye9cu 윤지아 기자애틀랜타 아이유 아이유 애틀랜타 애틀랜타 콘서트 금요일 애틀랜타
2024.01.19. 15:17
“한사람씩 돌아가면서 ‘건배사’를 하자는데, 내 순서가 돌아올 때까지 무슨 얘기를 할까 진땀 뺐어.” 최근 회사 송별회식에 참석했다는 지인의 말이다. 휴대폰 메모장을 열어보니 정확히 3년 전, 이런 때를 대비해 적어둔 건배사 ‘흥청망청(흥해도 청춘 망해도 청춘)’ ‘누죽걸산(누워 있으면 죽는다 걸어야 산다)’ ‘청바지(청춘은 바로 지금부터)’ 등이 남아 있었다. 요즘의 MZ세대도 건배사 때문에 고민할까. 또래 모임이라면 몰라도 여러 세대가 모이는 회사 회식에선 아직도 이게 ‘추억의식’처럼 존재한다.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스트레스 받는 당신을 위해, 요즘 필요한 센스 있는 회식 건배사’를 정리한 글이 꽤 보인다. 가장 먼저 눈에 띈 건 연예인 이름을 딴 것이다. ‘박보검-(박)수를 (보)냅니다 올 한 해 (검)나 수고한 당신께’ ‘아이유-(아)름다운 (이)세상 (유)감없이 살다가보자/(아)름답게 (이)쁘게 (유)쾌하게 살자’ ‘소녀시대-(소)중한 (여)러분 (시)방 잔 (대)보자’. MZ세대 신조어인지는 알 수 없으나 요즘 써먹기에 재밌는 것도 눈에 띈다. ‘오바마-(오)직 (바)라고 (마)음먹은 대로’ ‘고사리-(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이)해합니다’ ‘원더풀-(원)하는 것보다 (더)잘 (풀)리기를’ ‘갈매기-(갈)수록 (매)력 있고 (기)분 좋은 사람’ ‘해당화-(해)가 갈수록 (당)당하고 (화)려하게’ ‘진달래-(진)하고 (달)콤한 (내)일을 위하여’ ‘오뚜기-(오)래도록 (뚜)벅뚜벅 (기)쁨기쁨’ 등등. 그저 ‘모바일-(모)든 것이 (바)라는 대로 (일)어나시길’! 서정민 기자밀레니얼 트렌드 사전 아이유 회식 건배사 회사 회식 건배사 때문
2023.07.17. 18:25
영상 아이유 정치인 가수 아이유
2023.02.28. 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