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래스카 앵커리지의 한인이 소유한 호텔이 수년간 마약 유통의 본거지로 드러나 당국이 대규모 급습 작전을 진행했다. 수사 당국은 “알래스카주 역사상 처음으로 마약 유통과 관련한 첫 호텔 급습이며, 작전은 최대 규모였다”고 밝혔다. 연방검찰 알래스카주 지검은 호텔 소유주인 서경수(62) 씨와 매니저 챈텔 필즈(36)를 마약 관련 시설 유지 및 운영 공모 혐의로 기소했다고 25일 밝혔다. 두 사람은 앵커리지 지역에서 지난 2020년 10월부터 ‘첼시 인 호텔(Chelsea Inn Hotel)’을 마약 유통의 거점으로 운영해왔다. 급습 작전은 지난 22일 연방검찰, 연방수사국(FBI), 앵커리지 경찰국 등이 함께 진행했다. 합동 수사팀은 이날 세 개로 나뉘어 첼시 인 호텔을 비롯해 서씨가 사는 주택, 매니저가 살던 집을 동시에 급습했다. 수사팀은 현장에서 11정의 총기, 수천 발의 탄약, 4만 5000달러 현금, 펜타닐을 포함한 다량의 마약을 압수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수년간 호텔 객실 등을 범죄 조직원들에게 제공하고 마약 거래와 성매매 등을 위해 호텔을 찾는 이들에게 20달러의 입장료까지 받았다. 검찰 측 관계자는 “호텔 직원들은 사실상 ‘출입 통제원’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서씨가 운영해 온 이 호텔은 객실이 40개로 최근 수년간 지역 사회에서 범죄의 온상으로 악명이 높았다. 앵커리지 경찰국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이 호텔에서만 1214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 건은 폭행, 영장 집행, 공공 소란뿐 아니라 살인, 총격 사건도 잇따랐다. 지난 2020년에는 이번에 서씨와 함께 기소된 매니저의 부친이자 전 직원이었던 듀안 필즈도 이 호텔에서 피살된 것으로 전해졌다. 앵커리지 총영사관에 따르면 알래스카에는 앵커리지를 중심으로 약 7000명의 한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번에 급습 작전이 진행된 첼시 인 호텔도 앵커리지 국제공항에서 동쪽으로 약 2마일 거리로 앵커리지 한복판에 위치해 있다. 호텔 인근 1마일 이내에서 알래스카한인관광을 운영하는 김락희 대표는 “첼시 인 호텔은 평소에도 이 지역에서 범죄의 소굴로 소문이 자자했다”며 “이 지역 한인들도 이번 당국의 급습 소식을 다 알고 있을 정도로 시끌벅적했다”고 말했다. US마샬은 현재 이 호텔에 재산 몰수 조치를 취했다. 호텔 입구에는 ‘미국 정부 압류 재산’이란 안내문이 붙었고, 건물 창문 등은 모두 합판으로 가려졌다. US마샬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형사재판 유무와 관계없이 정부가 진행하는 민사 몰수 절차에 따른 것이다. 민사 몰수는 피고인의 유죄 판결 여부와 관계없이 범죄에 사용됐거나 범죄로 얻은 재산 자체를 대상으로 정부가 소송을 제기하는 절차다. 검찰은 법원에서 해당 재산이 범죄와 연관됐다는 점만 입증하면 된다. 피고인의 신병 확보나 유죄 확정 여부와 무관하게 진행할 수 있어, 해외로 도주한 범죄자 등의 재산도 몰수할 수 있다. 검찰은 이번 사건을 ‘미국 되찾기 작전(Operation Take Back America)’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마이클 헤이먼 알래스카 연방검사는 “이번 조치는 마약 카르텔 활동 차단과 지역 사회 보호를 위한 강력한 신호”라며 “계속 수사가 진행 중인 만큼 추가 체포도 예상된다”고 말했다. 서씨와 필즈는 현재 앵커리지 구치소에 구금 중이다. 유죄가 인정될 경우 최대 징역 20년형에 처해질 수 있다. 한편 이번 수사는 FBI, 앵커리지 경찰국, 국세청, 연방마약단속국, 연방마샬, 우편검열국, 알코올·담배·총기·폭발물단속국, 국토안보부 등이 합동으로 참여했다. 송윤서 기자 [email protected]앵커리지 호텔 알래스카 앵커리지 앵커리지 지역 앵커리지 경찰국 LAFC 미주한인 재미동포 재외국민 미주 한인 한인 남가주 가주 캘리포니아 한국계 미국인 한국계 재외동포 LA 마약 첼시 인 호텔 FBI
2025.08.26. 21:28
“알래스카에는 한인 이민 1세대와 영어권인 2세대가 살고 있습니다. 앵커리지 코리안 뉴스를 통해 한인끼리 더 뭉치고, 지역사회와 교류하는 커뮤니티를 만들고 싶어요.” 연방센서스 통계에 따르면 알래스카 앵커리지에는 한인 4400여 명이 살고 있다. 1970~80년대 한인 이민 행렬이 시작됐고, 지금은 현지에서 태어난 2세들이 30~40대가 됐다. 대도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한인사회를 형성해서일까. 앵커리지 한인사회는 한국어 주간지 두 매체를 통해 각종 소식을 주고받고 있다. 지난 25일 지역 매체 알래스카 퍼블릭미디어는 한국어 주간지가 2세 한인 대표 등장으로 새바람을 일으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변화의 주인공은 30대인 조유진(사진) 대표다. 앵커리지 토박이인 조 대표는 얼마 전 한국어 주간지 중 한 곳인 앵커리지 코리안 뉴스를 인수했다. 조 대표는 곧바로 한국어로만 발행하던 주간지에 영어 기사를 추가했다. 1세대가 한국어 기사를 작성하면 영어 기사로 번역하고, 2세대가 영어 기사를 작성하면 한국어로 번역해 동시 발행하는 방식이다. 실제 앵커리지 코리안 뉴스 주간지 종이신문은 1면에는 한국어 ‘주요기사’와 영어 ‘HEADLINES’ 기사가 동시에 인쇄된다. 매주 700부씩 발행되는 주간지는 앵커리지 한인사회 100여 곳에 무료로 배부되고 있다. 이 주간지가 한영기사 동시 게재로 눈길을 끌자, 경쟁 주간지인 한인신문도 한영기사를 내보내기 시작했다. 조 대표는 종이신문 산업이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기회와 도전을 생각했다. 그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1세대와 2세대를 아우르는 소통의 장을 만들고 싶다”고 강조했다. 그의 철학은 코리안 뉴스의 모토인 ‘한미 문화를 잇는다’에도 담겨있다. 조 대표는 “이곳 한인사회 미래를 이어 나갈 2세대는 한국어를 할 줄 모른다”면서 “동시에 1세대는 영어와 디지털 온라인 환경이 아직도 낯설다. 한국어와 영어를 통해 세대 및 한인사회 소통을 강화하고, 우리 이야기를 지역사회에도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특히 조 대표는 한국전쟁 참전용사 이야기를 취재하는 등 2세대 한인에게 한국의 역사와 문화 정체성도 알리고 싶어한다. 미국에서 태어나 영어가 편한 코리안이지만 뿌리를 잊어서는 안 된다는 신념이다. 현재 조은진 대표는 앵커리지 코리안 뉴스 주간지 한영 동시 발행에 이어 온라인 웹사이트 홍보에도 한창이다. 조 대표는 앵커리지 등 알래스카 곳곳에 떨어져 사는 한인사회가 온라인 세상에서 소식을 주고받는 미래를 꿈꾸고 있다. 김형재 기자알래스카 주간지 한국어 주간지 알래스카 앵커리지 앵커리지 한인사회
2024.09.26.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