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카운티가 코로나 감염자를 위해 경구용 치료제를 본격적으로 배포한다. LA카운티공중보건국은 12일 "코로나 확진자를 위해 화이자가 개발한 알약 치료제 '팍스로비드(paxlovid.왼쪽 사진)'와 머크사가 만든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오른쪽 사진)'를 카운티내 CVS 약국을 통해 공급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경구용 치료제를 제공하는 CVS는 총 20군데다. 해당 지점에 대한 위치 등은 보건국 웹사이트(ph.lacounty.gov/covidmedicines) 또는 전화(833-540-0473)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카운티보건국 바버러 페러 국장은 "이 치료제들은 코로나 감염시 가벼운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 효과가 좋다. 확진시 감염 초기에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 치료제들은 처방전이 필요하다. 치료제 공급을 CVS 외에도 다른 약국에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무보험자이거나 주치의가 없는 경우에도 감염 판정을 받으면 치료제를 받을 수 있다. 보건국이 치료제 제공 업체로 지정한 CVS 지점에 코로나 검사 예약을 한 뒤 양성 판정을 받은 경우 무료로 받을 수도 있다. 페러 국장은 "의료 기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환자들도 있기 때문에 원격 의료 프로그램도 곧 시행할 예정"이라며 "보건국이 지정한 검사 장소에서 양성 판정을 받으면 원격 의료를 통해 담당자가 처방전을 승인한 뒤 치료제를 무료로 집까지 배송해주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단, 복용, 처방 등에 앞서 주의할 점이 있다. 보건국에 따르면 ▶팍스로비드는 체중이 88파운드 이상, 12세 이상만 복용 가능 ▶중증 간 질환, 중증 신장 질환을 겪는 경우 팍스로비드 복용을 권장하지 않음 ▶팍스로비드 복용시 미각 손상, 설사, 혈압 상승, 근육통 등의 부작용 우려 ▶몰누피라비르는 성인용 치료제이며 임신부, 모유 수유중인 경우에는 복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이 치료제들은 복용에 앞서 여러 제약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다. 만약 처방을 받았다면 팍스로비드의 경우 12시간 마다 하루에 두 번(각각 3정씩)씩 총 5일을 복용해야 한다. 몰누피라비르의 경우도 12시간 마다 하루에 두 번(각각 4정씩)씩 총 5일을 복용하면 된다. 페러 국장은 "현재 많은 주민이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가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그 부분이 우려된다"며 "주민들을 대상으로 치료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계속 홍보 활동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 가운데 LA카운티의 코로나 환자 입원율은 지난해 7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보건국에 따르면 13일 LA카운티내에서 코로나로 인해 입원한 환자 수는 537명이다. 이 중 107명은 중환자실에 있다. 입원 환자 수는 지난 6일(755명), 7일(731명), 8일(706명), 9일(666명), 10일(632명), 11일(588명), 12일(565명) 등 계속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 2일 백악관 코로나 대응 태스크포스팀이 코로나 대응 전략인 '검사에서 치료로(Test to Treat)' 방안에 따라 시행되는 것이다. 장열 기자코로나 치료제 알약 치료제 경구용 치료제 코로나 감염자
2022.03.13. 21:06
1월 중 일리노이 주에서 코로나19 알약 치료제가 판매된다. 일리노이 주 보건부는 6일 "새로 승인 받은 두 가지의 코로나19 알약 치료제가 이달 내 월그린스, 월마트 등의 약국에서 처방전으로 구입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지난달 연방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화이자'(Pfizer)의 '팩스로비드'(Paxlovid)와 '머크'(Merck)의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는 심각한 코로나19 증상을 보이는 이들에게 처방전을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팩스로비드'와 '몰누피라비르'는 각각 병원 입원 위험을 89%와 30%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 보건 당국은 "여전히 백신 접종이 코로나19 감염을 방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지만 새로운 알약 치료제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몰누피라비르'는 임신부 및 18세 이하의 사용은 아직 승인 되지 않은 상태다. Kevin Rho 기자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판매 알약 치료제 지난달 연방식품의약국
2022.01.07. 14:35
연방 식품의약국(FDA)이 23일 제약사 머크앤드컴퍼니(MSD)가 개발한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몰누피라비르’ 사용을 승인했다. FDA는 전날 화이자의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팍스로비드’ 사용을 승인한 바 있다. 몰누피라비르가 고위험군 감염자의 입원 및 사망률을 낮추는 비율은 약 30% 정도로, 90% 가까이인 화이자 치료제에 비해 크게 낮다. FDA는 노령층과 비만 및 심장 질환자 등 고위험군을 포함해 입원 가능성이 높은 경증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다른 치료제 대안이 없거나 의학적으로 적합한 경우에 대한 몰누피라비르 사용을 허가했다. 18세 이하 환자의 경우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로 사용이 금지됐다. 약품은 선천적 결손증(birth defects)을 포함한 심각한 안전 문제에 대한 경고를 부착한 상태로 판매될 예정이다. 가임기 여성은 약 복용 기간 및 이후 몇일간 피임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남성의 경우 최종 복용 이후 3달간은 피임해야 한다고 FDA는 제한했다. 화이자 치료제의 경우 이 같은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코로나 치료제 머크 코로나 화이자 치료제 알약 치료제
2021.12.23. 20:27
제약사 화이자가 16일 연방 식품의약청(FDA)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긴급사용 승인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팍스로비드’라는 이 코로나19 치료제는 알약 형태의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로, 자체 임상시험 결과 입원과 사망 확률을 89%까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신청에 대해 FDA는 연말까지 긍정적인 결정을 내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했다. 화이자의 알약 치료제가 FDA의 승인을 받으면 겨울철 코로나19가 재확산할 경우 보건당국의 대응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감염자가 많이 늘어나더라도 그중 다수는 병원에 가지 않고 집에서 간편하게 알약을 복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팍스로비드가 FDA의 승인을 받으면 미국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가 될 전망이라고 CNBC방송이 전했다. 앞서 미국 제약사 머크앤드컴퍼니(MSD)가 개발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인 ‘몰누피라비르’는 영국에서 지난 4일 최초로 사용 승인을 받았다. 한편, 연방정부는 이번 주중 팍스로비드 1000만명 치료분 구매를 공식 발표할 전망이라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심종민 기자코로나 치료 알약 치료제 코로나 치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2021.11.16. 21:02
제약사 화이자가 16일 연방 식품의약청(FDA)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긴급사용 승인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팍스로비드'라는 이 코로나19 치료제는 알약 형태의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로, 화이자의 자체 임상시험 결과 입원과 사망 확률을 89%까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신청에 대해 FDA는 연말까지 긍정적인 결정을 내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또 워싱턴포스트(WP)는 연방정부가 이번 주중 팍스로비드 1000만명 치료분 구매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가 보도했다. 화이자의 알약 치료제가 FDA의 승인을 받으면 겨울철 코로나19가 재확산할 경우 보건당국의 대응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감염자가 많이 늘어나더라도 그중 다수는 병원에 가지 않고 집에서 간편하게 알약을 복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팍스로비드가 FDA의 승인을 받으면 미국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가 될 전망이라고 CNBC방송이 전했다. 이에 앞서 제약사 머크가 개발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인 '몰누피라비르'는 영국에서 지난 4일 최초로 사용 승인을 받았다. 김지민 기자 긴급사용 코로나 긴급사용 신청 코로나 치료 알약 치료제
2021.11.16. 14:46
제약사 화이자는 5일 자사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알약 치료제가 입원과 사망의 중증 질환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임상 시험 결과 발표는 다국적 제약회사 머크앤드컴퍼니(MSD)의 '몰누피라비르'에 이어 두 번째다. 화이자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알약 형태의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를 증상 발현 3일 이내 투여할 경우 입원 또는 사망 위험을 89%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팍슬로비드’라는 상표가 붙을 예정인 이 코로나19 경구 치료제는 1회 3알씩 하루 2회 투여로 구성되며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제인 ‘리토나비르’와 함께 먹는다. 연구진은 코로나19 환자 1219명을 대상으로 약의 효과를 측정했다. 시험 대상자들은 비만이나 고령 등 중증 질환 발병 요인을 하나 이상 갖고 있는 경증 또는 중증 환자였다. 연구진은 치료제군과 위약(가짜약)군에 5일 간 약을 투여했다. 투약 시점은 증상발현 3일과 5일로 나눴다. 그 결과 증상 발현 3일 이내 치료제를 투여한 결과 환자의 0.8%가 입원했고, 치료 후 28일까지 사망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같은 기간 위약을 투여한 환자의 입원율은 7%였고, 사망자는 7명이었다. 증상 발현 5일 이내 투여한 경우에도 결과는 비슷했다. 치료제군의 입원율 1%, 사망자는 0명인 반면 위약 투여군의 입원율은 6.7%, 사망자10명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약을 5일 연속 투여하고 한달 뒤 위약군과의 비교에서 중증으로 발전해 입원하거나 사망하는 확률을 89% 감소시킨 것으로 평가됐다고 화이자는 밝혔다. 화이자는 “해당 데이터를 토대로 빠른 시일 내에 연방 식품의약청(FDA)과 여러 나라에 허가 신청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연설에서 화이자 알약 치료제를 이미 수백만 용량을 확보했다며 보건 당국의 승인 즉시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 이 약품이 FDA의 승인을 받으면 미국은 치료제를 곧바로 가질 수 있게 된다면서 "이 치료제는 코로나19로 인한 최악의 결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우리 도구상자 속의 또 다른 수단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지민 기자 코로나 치료제 알약 치료제 입원과 사망 경구 치료제
2021.11.05. 1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