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저지주에서 알코올 남용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수와 사망자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겹쳐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뉴저지병원협회(New Jersey Hospital Association)는 지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알코올을 지나치게 섭취한 것이 원인이 돼 간 손상을 당해 주 내 병원에 입원한 환자수와 사망자수를 조사해 발표했다. 이 조사 기간 중에는 2020년 봄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사태 기간이 포함돼 입원과 사망에 팬데믹 사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1년 사이 병원에 입원한 환자수는 21%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중에서 주목할 것은 젊은 여성들의 음주가 크게 늘면서 여성 입원 환자수는 남성보다 높은 28%가 증가했다. 조사에서 병원에 입원한 전체 환자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2019년에 10만 명당 11.9명이던 알코올로 인한 간 손상 입원 환자수는 2021년에는 10만 명당 14.7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간 손상으로 인한 병원 입원 환자수는 특정 연령대에 집중된 것으로 드러났는데, 남녀 통틀어 35세부터 44세 사이가 48%로 가장 높았고, 25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층도 41%나 증가했다. 또 이와 함께 알코올 남용으로 인한 간 손상이 원인이 돼 목숨을 잃은 사망자수는 2019년에는 357명이었으나, 2021년에는 444명으로 큰폭으로 늘었다. 조사진은 간 손상으로 인한 환자수와 사망자가 늘어난 첫 번째 원인을 ‘스트레스’라고 봤는데, 특히 팬데믹과 겹쳐 ▶실업 ▶자녀 교육 ▶나이 든 부모 봉양 등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박종원 기자뉴저지 알코올 알코올 남용 뉴저지 알코올 입원과 사망
2022.09.26. 20:11
코로나 장기화로 다양한 방역용품이 일상에 굳건히 자리 잡았다. 이젠 어린이도 집 밖을 나설 땐 마스크를 자연스레 쓰고, 청소년들도 소주 대신 손소독제에서 생애 처음으로 알코올의 독한 향을 접하게 됐다. 그런데 이렇게 자주 사용되는 손소독제 도수는 대략 얼마쯤 될까. 향으로 미루어 짐작하면 흔히 마시는 술보다 한참 높은 건 알겠으나, 구체적인 수치를 꼽아본 이는 드물 테다. 답은 “제품마다 천차만별이지만, 최소 70%는 넘어선다는 나름의 기준은 있다”라는 약간 김빠지는 내용이다. 이 숫자는 어디서 왔을까. 독주를 삼키면 식도가 따가운 건, 알코올이 식도에 있는 세포에 흡수돼 국소적인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술이야 식도를 아프게 하는 게 목적이 아니지만, 알코올 소독은 세균에 이런 식의 손상을 최대한 일으킬 수 있는 농도를 골라내야만 한다. 얄궂은 건 알코올 100%가 되려 소독 효율이 낮다는 점이다. 너무 고농도의 알코올은 마치 센 불에 고기를 굽는 것처럼, 겉만 바싹 태우고 내부는 전혀 익히질 못한다. 실험을 통해 70~80% 정도의 알코올 농도가 세균 내부까지 스며들어 세균을 죽이는 덴 최적이란 결과가 나왔고, 그 값이 표준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안타까운 건 비슷한 부류의 실험이 세균이 아닌 인간을 대상으로도 진행됐다는 점이다. 주류업계가 여성을 새로운 공략 목표로 삼으면서 소주 도수를 낮추는 초장기 실험을 진행했기 때문이다. 1990년대 말 23도이던 소주는 2019년엔 16.9도까지 떨어졌다. 덕분에 2013년을 기점으로 국내 인구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은 증가세로 돌아섰고, 이런 추세를 견인하는 건 남성보단 저 도수 소주로 음주 습관을 처음 형성한 젊은 여성들이었다. 주류업계에는 좋은 일이었겠지만, 2005년 이후 한국의 고위험 음주율은 나날이 고점을 갱신하고 있다. 남성 애주가 비율은 정체했으나, 여성 고위험 음주율이 계속 높아지는 탓이다. 고위험 음주 기준이 너무 강퍅하다곤 하더라도, 국내 알코올중독 환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19.1%에서 2020년 22.7% 수준으로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음주 경향을 넘어 질병의 영역에서 뚜렷한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그럼에도 술의 마력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재원 마련은 난항을 겪고 있다. 담배에는 담배가 끼치는 해악을 건강증진부담금의 형태로 책임을 묻고 있으나, 술에 대해서는 ‘서민 증세’를 앞세운 주류업계의 반발을 무마하지 못하는 탓이다. 손소독제가 세균을 죽이는 최적 도수를 구해냈듯, 주류업계는 여성에게 알코올 의존을 유발하는 최적 도수를 어느 정도 산출해냈다. 코로나가 벌어 준 ‘회식 공백’이란 골든타임도 이제는 끝나가고 있다. 대책이 나오길 빈다. 박한슬 / 약사·작가전문가 칼럼 손소독제 알코올 손소독제 도수 국내 알코올중독 알코올 소독
2022.02.20. 12:37
올 연말 음주운전 사고로 사상자가 급증할 것이라며 크리스마스 연휴 기간 동안 안전운전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19팬데믹이 끝났다는 안일함과 부주의에 빠져 음주운전을 시도하다 사고와 사망자가 늘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우려다. 캘리포니아주에서 두번 째로 큰 샌디에이고카운티 검찰청을 비롯해 새크라멘토, 프레즈노, 컨, 엘도라도 등 주요 카운티 검사장들은 23일 “주 전역에 걸쳐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와 사망자가 증가하고 있다”며 “모임이 잦은 연말 연휴 기간에 음주운전을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가주고속도로순찰대(CHP)도 이날 오후 6시부터 25일 오후까지 ‘음주운전 단속’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팬데믹으로 단속 인원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CHP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월 한 달 동안 가주에서 발생한 음주운전 관련 교통사고 건수는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15% 늘었다. 사망자가 발생한 음주운전 사고는 2018년 700건에서 2019년 720건, 2020년 824건으로 증가했다. 부상자가 나온 교통사고도 2018년 816건, 2019년 818건, 2020년 941건으로 뛰었다. 지난해 발생한 음주운전 사고는 14만 건이며 이 중 2만1000명이 부상을 입었다. 특히 지난해 크리스마스 연휴 기간에 최소 38명이 음주운전 등으로 사망했으며, 573명이 음주운전하다 체포된 것으로 파악됐다. 관계 당국은 이같은 원인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을 꼽았다. 스트레스로 인한 알코올 소비가 증가하면서 음주운전과 과속이 늘어났지만, 경찰들의 관련 단속 활동은 축소됐다고 카운티 검찰청장들은 지적했다. 한편 가주는 올해부터 음주운전자에 대한 단속 조항을 강화했다. 초범이 3년 내에 두번 째로 적발됐을 경우 ▶390달러에서 1200달러의 벌금 추가 ▶평균 90시간~1년 징역 ▶3년간 엔진 점화 연동장치 설치 ▶면허정지 2년이 적용된다. 단, 직장이 있거나 학생일 경우 조건부로 면허증을 받을 수 있다. 장연화 기자음주운전 알코올 음주운전 단속 연말 음주운전 음주운전 사고
2021.12.23.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