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최신기사

[이작품과 만났다] 극장에서 다시 박수를…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거의 모든 문화적 추천사항을 추호의 의심 없이 섭취해왔던 서울의 친구 그룹이 PTA(Paul Thomas Anderson) 감독의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One battle after another)’ 라는 작품, 꼭!!! 봐줘야 한다, 하여 나도 드디어 영화관을 찾았다. 영어울렁증을 안은 채.     2007년, PTA 감독이 만들었던 ‘데어 윌 비 블러드(There will be blood)’라는 영화가 엄청 회자할 때, 나도 그 영화를 두 번 봤었는데, 그 영화성향을 떠올리며 시작했던 영화 초반부는 사실 좀 실망스러웠다. 뭔지 대중적이어야 한다는 초조함이 실린 시도였을까. 아무리 세상이 제멋대로래도 이 웬 도에 넘치게 선정적인 화면들일까 싶은.   그러나 투명한 아름다움과 기지를 지닌 윌라 라는 주인공격 16세 소녀의 등장과 함께, ‘I am Sam’ 이후 처음 보는 숀 펜 배우의 광기 서린 연기로 인해, 바로 몰입에 들게 되었다. 불법 이민자를 돕더니, 은행털이하기도 하는, 별반 심각한 정체성을 가진 것 같지는 않은 ‘프렌치 75’라는 자칭 혁명가들과 그들의 적수가 영화의 등장인물들인데, 혁명가라는 단어가 주는 심오함과 달리, 영화는 의외로 정치적이거나 살벌하지 않다. 그들의 임무실행 중 모호한 쾌락에 기반을 둬 야기된 남녀의 성적인 접촉, 그로 인한 한 여자아이의 탄생, 16세로 성장한 그 아이를 둘러싸고 일어나는 숨 막히는 쟁탈전, 백인우월주의에 편입하고픈 한 백인의 비극적 종말, 와중에 멕시칸 불법 이민자들에게 공동체를 제공하며 혁명의 맥을 이어가는 카라데 학원장의 인류애 등이 주요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 영화의 매력은 무엇보다, 딸을 홀로 키운 아버지의 끈끈한 사랑과 책임이 주제일 것 같으면서도, 여러 이야기가 촘촘하게 잘 짜여있다는 점일 것이다. 휴머니즘적인 면면들이 자연스럽게 그려지면서도 각 장면은 어디서 본 적 없이 신선하고 정교해서 2시간 40분 동안 지루할 틈이 없었다.     그리고 음악!!!     재즈풍이면서도 여리게 깔린 피아노 음률 위에 비트로만 스릴을 가미한 들어본 적 없는 세련된 흐름으로 누가 작곡한 것일까. 귀를 쫑긋하게 했는데, 찾아보니 무려 그룹 Radio Head의 작곡자라고 한다. 오!!   그리고, 친구들이 열광 극찬했던, 사막 고속도로에서의 질주 장면!! 거의 10여 년 만에 만난 최고의 영화장면이 아닐까. 내가 지금 롤러코스터를 탄 거야 싶은 울렁임. 그곳을 나도 꼭 차로 달리고야 말겠다는 다짐을 안겨준 초현실적인 장대함과 스릴은 거의 창의력의 끝판왕이라 해야 할 경지였다.     영화 초반의 살짝 도를 넘는 성적인 장치, 그리고, 윌라라는 16세 소녀의 위태로운 목숨 앞에서 갑자기 우군으로 돌변한 인디언 혼혈남자가 개연성의 측면에서 좀 부족한 것이 아닌가 하는 두 가지 점만 뺀다면, 타란티노 감독의 ‘거친 녀석들(Inglorious Basterds)’이나 코엔 형제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No country for Old men)’, 우리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처럼 보고 또 보고 싶다는 별난 그리움이 물씬 일게 하는 수작이었다.   영화가 마쳐지고, 내 옆에 앉은 20대 청년이 손뼉을 치기 시작해서 나도 덩달아 있는 힘껏 박수를 보냈다. Netflix 같은 OTT 시장에 밀려 한없이 추락하던 ‘극장에서 영화 보기’에 다시 불을 지펴준 그 감사함에. 그리고, 너무 큰 엇박자를 내는 트럼프 행정부의 반이민 정책이 상기되는 시대상을 배경으로, 자잘 복잡한 인간군상들의 단면과 인간애를 두루 만나게 해 준 PTA 감독에게.       극장 관람의 진수를 보여줄 IMAX로 꼭 한 번 더 보고 싶다는 소망이 인다. 팝콘과 함께. 박영숙 / 시인이작품과 만났다 애프터 극장 영화 초반부 극장 관람 영화 보기

2025.10.29. 22:29

한인 감독, 미래 인류의 정체성을 예감하다

2021 오스카 여우조연상 수상자 윤여정의 세계무대 차기작은 3월 애플TV에서 공개될 예정인 ‘파친코’가 될 것이라는 소식이다. ‘파친코’의 연출자로 코고나다(Kogonada)라는 특이한 이름이 보인다.     코고나다는 한인 작가이자 감독이다. 경력 또한 이름만큼 특이하다. 학자에서 영화감독으로 변신하기 전에는 크라이테리온 컬렉션(Criterion Collection)을 통해 ‘베리만의 거울(Mirrors of Bergman)’, 히치콕의 ‘눈(Eyes of Hitchcock)’, 브레송의 ‘손(Hands of Bresson)’ 등 고전 영화 감독들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비디오 에세이들을 발표해 이름을 알렸다.     ‘애프터 양’은 고요하고 회화적인 영상미를 배경으로 다정한 인간미를 표현했던 코고나다의 데뷔작 ‘콜럼버스’(2017)에 이은 2번째 작품이다. 그가 매달려 있는 주제 ‘인간관계’는 ‘애프터 양’에 들어와 보다 심오해진다. 미래의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그의 몽상이며 인류의 정체성에 대한 우려이기도 하다.     중국에서 입양한 딸 미카와 함께 살고 있는 부부 제이크(콜린 패럴)와 카이라(조디 터너 스미스)는 딸에게 중국 문화를 가르쳐주기 위해 로봇 인간 양(저스틴 민)을 선물했었다. 육아 도우미로 ‘구입’했지만 양은 어느덧 가족 구성원의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고 미카와는 친남매처럼 지내 오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양이 갑자기 이상 행동을 하기 시작하고 작동이 멈춰버린다. 카이라는 남편에게 양이 ‘반품(Refurbished)’이었던 사실을 상기시키며 새것을 구입하지 않았음을 후회하는 투로 말한다. 서비스 센터를 찾아간 제이크는 양이 리퍼비시이기 때문에 워런티 적용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가족은 혼란에 빠진다. 가족들의 마음은 양이 떠나고 없는 집 공간만큼이나 허전하다. 제이크는 양을 복구하고자 전문가들을 찾아다닌다. 편리한 명령 체계로 유지되던 수직 관계는 아이러니하게도 양이 사라지자 불안과 걱정으로 대체된다.     입양이란 연결고리를 통해 모든 것이 기계화된 첨단사회, 그렇다고 인간성도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인공지능에 인간성을 부여한 건 인간 스스로였다. 공상과학 영화(SF)로 시작된 영화는 어느덧 우울한 미래를 암시하는 휴머니즘 드라마로 바뀌어 있다. 미래 인류의 정체성과 혼란을 짚어 내고자 하는 코고나다의 은유적 스토리텔링 ‘애프터 양’은 74회 칸영화제에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되어 상영됐다. 한인 배우 저스틴 민이 양으로 열연한다.   김정 영화평론가온라인 애프터 영화 애프터

2022.02.25. 19:12

썸네일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